• 제목/요약/키워드: Fire Safety Inspection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9초

화재와 관련된 국가배상 사례의 분석 (Analysis of Fire-Related State Compensation Cases)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109-117
    • /
    • 2019
  • 화재발생의 직접적인 원인 제공자들이 그 화재로 인한 피해자들에게 손해배상을 할 능력이 없으면 피해자들은 소방기관에 국가배상책임을 물어 피해구제를 받으려는 경향이 있다. 2가지 국가배상 사례 분석에서 화재로 인한 손해와 소방공무원의 화재예방 또는 소방특별조사 활동과 관련된 과실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으면, 법원은 소방기관에서 피해자에게 손해를 배상하도록 판결함을 알 수 있었다. 2017년 12월 26일 「소방기본법」이 개정되어 '소방활동에 대한 면책' 조항이 마련되었지만 면책을 받으려면 그 활동의 불가피성이 입증되어야 하는데, 화재예방이나 소방검사 활동은 구조·구급활동과 달리 그 활동의 불가피성을 입증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화재와 관련된 국가배상 청구 소송은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산업용 로봇 셀 안전기능 제어시스템 성능수준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Level of Industrial Robot Cell Safety Function Control System)

  • 이중남;이동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9
    • /
    • 2023
  • Most existing industrial robots have fences installed around them to ensure safety. However, industrial sites are recently being transformed into workspaces shared by both robots and humans working cooperatively, wherein the robots are without security fencing owing to the development of sensor technology. However, in the last five years (2017-2021), 16 deaths have occurred due to robots at industrial sites, with the main cause of the accidents being workers approaching an industrial robot in operation and getting entangled with or colliding into the robot and its peripherals. To prevent such accidents, multilateral research is needed.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the nonconforming contents of safety inspections for industrial robots and demonstrates the safety performance of the safety function control system implemented in an industrial robot cell. In addition, to ensure the fundamental safety of industrial robots, this study proposes the introduction of a safety certification system so that safety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in the design,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stages of the robots.

Current Status of Safety Management of Protestant Religious Facilities

  • Lee, Yongtaeg;Hong, Seonguk;Kim, Seunghun;Jang, Kiyoung;Park, Mirae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185-190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protestant religious facilities are maintained appropriately for people and regular inspections are conducted. As a study method, survey and site investigation were conducted. The survey questionnaire aimed to know the perception of users or responsible persons about safety management and current status of safety management systems while the site investigation aimed to inspect structural conditions by a visual inspection such as proper installation of fire protection equipment and whether regular inspection were conducted. It was found, through the inspection of the current safety management status, that the safety management related persons did not know which parts and how much they manage incorrectly, and did not know the follow-up actions in case of accidents. Therefore, it is essentially required to assign a proper person to the facilities for safety management and to have safety consciousness education. Furthermore, although more than 80% of the surveyed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were familiar with the way to use safety management related facilities and overall instructions, the respondent were concerned about the correspondent training for emergent circumstances.

소방검사제도의 개선방안 (Imporovement Plan of Fire Inspection System)

  • 이종영;기태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81-195
    • /
    • 2009
  • 현대 헌법은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함으로써 그 정당성을 인정받고 있다. 헌법상 기본권은 국가권력으로부터 방어권의 차원을 넘어서 현대적 의미로 국가가 기본권을 실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다른 개인에 의하여서도 기본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보호할 의무가 도출되고 있다. "헌법" 제34조제6항은 "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함으로써 다시 국가의 재해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화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국민의 생명권 건강권 재산권에 대한 피해를 예방하는 국가의 의무는 현대국가의 기본이념인 사회국가원리에 국민의 인간답게 살 권리로 강화되어 더욱 중요한 국가의 존립정당성으로 대두하고 있다. 법률에서 도입하고 있는 소방검사제도는 헌법적으로 정당성은 인정되고 있으나 국민의 권리보호에 보다 최적의 제도인가에 관하여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소방검사의 운영현실을 고려할 때에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이 논문은 검토하였다. 현행 소방검사제도를 소방자체점검제도와 통합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소방검사의 운영상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소방당국에서 직접 수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방검사제도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은 신뢰성 있는 기관을 설립하여 위탁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옥내소화전의 방수압 실측에 의한 실태조사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Waterproof Pressure of Indoor Hydrant Proportioner by a survey)

  • 최규출;정상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55-263
    • /
    • 2009
  • 건축물 실내에서의 화재발생 시 초기 소화설비로 시설하고 있는 옥내소화전은 초기화재 진압용으로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시설되어 있는 옥내소화전 시설이 국가화재안전기준(NFSC)에서 규정하고 있는 일정 방수압을 유지하여야 화재발생 시 소화설비로서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대부분의 건축물에 설치되어 있는 옥내소화전의 방수압을 실측하여 본 결과 건물내에 설치된 소화전의 방수압이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 제시하는 기준치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매우 바람직한 현상으로 정기적인 소방검사에 따른 소방시설 유지관리의 결과로 보여진다. 앞으로도 소방시설물에 대한 TAB를 통하여 화재진압시설의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안전관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 PDF

가압기 지지대 볼트 연결부의 건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The Assessment for Coupling Integrity of Pressurizer Support Bolting)

  • 조남진;김우창;김학중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26-31
    • /
    • 2013
  • 원전의 가압기 지지대에 사용되는 볼트는 설계 시 안전율 측면에서 충분한 경도의 볼트를 사용하지만, 현장실사를 통해 허용 경도 범위를 초과하는 볼트가 일부 확인되었다. 이러한 높은 경도의 볼트는 응력부식 및 재료의 파괴인성이 취약하고, 가압기는 부식에 취약한 환경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사를 통해 원전 가압기 지지대에 사용되는 볼트의 경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통해 응력부식과 부재의 파괴인성에 의한 균열을 제한할 수 있는 최대 허용응력을 계산하였다. 또한 정상운전 및 사고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지지대 볼트의 응력을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사용하여 예측하였고, 이 응력이 응력부식을 제한할 수 있는 최대 허용응력 내에 있는 지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정상 및 사고운전 조건에서 볼트의 응력은 응력부식에 대해 허용응력 안전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향후 가압기 지지대의 구조물 체결방법을 체결 절차에 반영하여 정비 시 가압기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검토가 필요하다.

임대주택단지의 생활안전 위해요인 해소방안 (Resolution Method of Hazard Factor for Life Safety in Rental Housing Complex)

  • 손정락;조건희;김진원;송상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8권1호
    • /
    • pp.1-11
    • /
    • 2017
  • The government has been constructing and supplying public rental housing to ordinary people in order to stabilize housing since 1989. However, the public rental houses initially supplied to ordinary people are at high risk for safety accidents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propose a solution to solve the life safety hazards of the old rental housing complex as a follow-up study of Analysis of Accident Patterns and Hazard Factor for Life Safety in Rental Housing Complex. Types of life safety accidents that occur in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es are sliding, falling, crash, falling objects, breakage, fire accidents, traffic accidents and criminal accidents. The types of safety accidents that occur in rental housing complexes analyzed in this study are sliding, crashes, falling objects, and fire accidents. Although the incidence of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breakage, traffic accidents and crime accidents in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es is low, these types are likely to cause safety accidents. The method of this study utilized interviews and seminar results, and it suggested ways to solve the life safety hazards in rental housing complexe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residents and managers of rental housing complexes. Seminars were conducted twice with experts in construction, maintenance, asset management, housing welfare and safety. Through interviews and seminars, this study categorizes the life safety hazards that occur in rental housing complexes by types of accidents and suggests ways to resolve them as follows. (1) sliding ; use of flooring materials with high friction coefficient, installation of safety devices such as safety handles, implementation of maintenance, safety inspections and safety education, etc. (2) falling ; supplementation of safety facilities, Improvement of the design method of the falling parts, Safety education, etc. (3) crash ; increase the effective width of the elevator door, increase the effective width of the lamp, improve the lamp type (U type ${\rightarrow}$ I type), etc. (4) falling objects and breakage ; design of furniture considering the usability of residents, replacement of old facilities, enhancement of safety consciousness of residents, safety education, etc. (5) fire accidents ; installation of fire safety equipment, improvement by emergency evacuation, safety inspection and safety education, etc. (6) traffic accidents ; securing parking spaces, installing safety facilities, conducting safety education, etc. (7) criminal accidents; improvement of CCTV pixels, installation of street lights, removal of blind spots in the complex, securing of security, etc. The roles of suppliers, administrators and users of public rental housing propos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Suppliers of rental housing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risk factors that may arise not only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but also in the maintenance phase and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easily repairing old facilities considering the life cycle of rental housing. Next, Administrators of rental housing should consider the safety of the users of the rental housing, conduct safety checks from time to time, and immediately remove any hazardous elements within the apartment complex. Finally, the users of the rental housing needs to form a sense of ownership of all the facilities in the rental housing complex, and efforts should be made not to cause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user's careless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enable residents of rental housing complexes to live a safe and comfortable residential life. It is also expected that this information will be used to reduce the incidence of safety accidents in rental housing complexes.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농촌지역 실태조사 연구 (A Research on the On-Site Inspection to Establish Safety Village in Rural Areas)

  • Koo, Wonhoi;Shin, Hojoon;Baek, Minh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421-42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재난안전마을을 구축하기 위해 농촌지역의 재난 발생 현황 및 사례를 검토하였다. 또한 과거 재난발생이력이 있는 6개 마을에 대해 실태조사를 통하여 재난 발생 현황 및 문제점 등을 알아보고 주민 의식조사를 실시해 농촌지역 재난안전에 대한 의식수준 및 필요사항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수행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농촌의 지역별 특성을 충분히 반영한 맞춤식 재난안전관리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둘째, 재난안전에 대한 농촌주민의 관심과 참여를 위한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지속적인 교육 및 훈련을 통하여 주민방재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맞춤식 컨텐츠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정부에서는 지속적인 예산 지원과 사업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여 농촌지역의 안전도 향상에 이바지해야 한다.

연구실 점검 및 진단 대가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cing Criteria of the Laboratory Safety Inspection and Diagnosis)

  • 이종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70-176
    • /
    • 2018
  • Laboratory inspection and diagnosis is a means of investigating and assessing various hazards or the state of research equipment in a laboratory, then taking appropriate safety measures to prevent accidents and injury. In many cases, laboratory inspection and diagnosis carried out by agencies are performed in a perfunctory manner that only barely satisfies the legal requirement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clearly established pricing criteria for laboratory inspection and diagnosis, so as to prevent recurrence of laboratory accidents and to establish a safe laboratory environment. In order to clarify previously unclear matters, such as the lower limit for bids submitted by laboratory inspection and diagnosis agencies, technical manpower requirements, and number of laboratories inspected and diagnosed per day,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agency personnel. First, when asked what the lower limit for bids submitted by agencies should be in order to improve reliability of inspection and diagnosis results and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of the lowest-bidder-wins system, 85.5%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lower limit for bids should stand at no lower than 90% of the estimated price. The level of technical expertise among the technical personnel committed to laboratory inspection and diagnosis was shown to impact the reliability of results, and questionnaire results indicated a need to vary technical expertise levels depending on the degree of hazard, substances handled, and equipment used in a given laboratory. Level of technical expertise(67.1%) and number of personnel(52.6%) were shown to have a greater impact on reliability of diagnosis than on reliability of insp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determined that three persons(specialist, advanced and intermediate) should be committed to inspections, while four persons(professional, specialist, advanced and intermediate) should be committed to diagnoses. The respondents indicated a larger number of laboratories could be inspected than diagnosed per day. This can be attributed to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work each task involves, and the time each task takes. Assuming a six-hour work day not counting transportation, paperwork and rest, it is thought that inspection of up to 36 laboratories will be possible if each laboratory is assigned no more than 10 minutes(34.7%), while up to 24 laboratories could be inspected and diagnosed if each laboratory is assigned 15 to 20 minutes(35.1%).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활용한 NATM (철근)의 라이닝 결함 종류별 발생원인 및 분석 - Part I (Analysis and cause of defects in reinforced cement concrete lining on NATM tunnel based on the Precise Inspection for Safety and Diagnosis - Part I)

  • 추진호;이인모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29
    • /
    • 2019
  • NATM (무근)터널의 라이닝 균열을 분석한 논문과 연계하여 NATM (철근)터널의 결함을 정밀안전진단 사례를 정리하여 결함별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NATM (철근)터널에서 콘크리트라이닝은 그 역할에 따라 철근과 같은 보강재를 사용하게 된다. 지반이 불량하거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라이닝 두께의 증가는 굴착단면의 증가와 라이닝 타설 물량의 증가를 유발하나, 철근보강 단면을 설계하여 경제성과 안전성을 함께 도모하게 된다. 시설물안전법에 의한 국내 1종 터널 시설물 중에서 NATM으로 시공된 구간에 철근보강을 실시한 라이닝의 결함 특성을 정리하여 형태별 발생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단철근, 복철근과 무근라이닝에 발생되는 균열을 비교하여 철근으로 인한 균열제어 효과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위치에서의 철근노출 사례와 함께 기술하였고 터널에서 고려될 수 있는 라이닝 두께 부족의 원인으로 정밀시공 미흡, 박락, 공용중 라이닝 화재에 의한 폭열, 지진, 용탈의 사례를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정밀안전진단(터널) 세부지침의 보완 및 개정방향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