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Resistance Covering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8초

고온에 노출된 PCM 충진형 바닥 시스템의 거동 특성 (Behavior Characteristics of PCM Infilled Floor System at Elevated Temperature)

  • 박민재;민정기;윤성원;주영규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33-41
    • /
    • 2017
  • Composite Floor system infilled with PCM(Phase Change Material) between upper and lower steel plates was developed to apply the steel frame. When steel frames were applied this system, it can absolutely reduce the duration of construction due to dry construction method. However to apply this system as a structural floor member without fire resistance covering, it must have 2 hours fire resistance performance. Because PCM consisted of three quarters of section with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is floor system was expected to easily have 2 hours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PCM infilled floor system at elevated temperature using FEM analysis to develop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it.

무기질계 영구거푸집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f Inorganic Performanent내s of Fire Resistance Evaluation)

  • 김영진;백민수;정근호;김우재;정상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5-50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o apply this permanent cement mortar form as one of those system forms to improve existing form's problems. (1) In the fire proof test with combined specimen, the fire proof covering including form section thickness is satisfied with the fire proof criterion. It is considered that form section thickness has no problem (2) The suitable method of normal pressure steam curing for the form's mass production is 4 hours in 65℃ considering production cost, the silica fume admixture is economic.

  • PDF

잔골재 종류에 따른 내화피복용 모르타르의 고온 성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High Temperature Properties of Fireproof Mortar Using Various Types of Fine Aggregate)

  • 임서형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100-106
    • /
    • 2014
  • 고강도 콘크리트는 구조적으로 우수하며 사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 건축물에서 그 활용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처럼 고온에서 고강도 콘크리트는 폭렬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며, 폭렬 원인은 콘크리트 내부의 수증기압이 가장 큰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콘크리트의 폭렬을 제어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은 콘크리트 표면에 내화피복을 사용하여 화재 시 부재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는 방법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각종 골재와 유기섬유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내화피복용 모르타르를 제조하고 그 고온 성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실험결과 퍼라이트와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사용한 모르타르는 내부공극과 밀도를 변화시켜 내부온도 상승을 지연시킨다. 그 결과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 피복재로 활용 가능하다.

고강도 콘크리트 내화피복 특성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fire protection covering for high strength concrete)

  • 송영찬;이세현;김우재;양완희;박동철;백병훈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9-432
    • /
    • 2006
  • In this study a board was made with good fireproof materials of which tes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ireproof test for KS F 2257 construction members, and the temperature in coated steel which has a possibility to explode with concrete surface was measured. It is not appropriate to use normal mortar or mortar covering mixed with P.P. fiber to take a measure to prevent the explosive splalling of high-strength concrete. To finalize an Al-Si (aluminosilicates) board-requires over 30mm in thickness at the minimum for the required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nd explosion prevention.

  • PDF

중인방을 포함한 목골조 경량벽체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Wood Framed Lightweight Wall which Including a Middle Lintel)

  • 여인환;조범연;민병렬;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91-98
    • /
    • 2011
  • 이 연구는 전통 벽체 형식으로서 중인방을 포함한 목골조 경량벽체의 내화성능에 대한 것이다. 대상으로 한 경량벽체는 $38{\times}89$ mm($2"{\times}4"$) 목재를 골구로 하고 방회석고보드로 마감하는 형식의 비내력구조 이다. 벽체의 중간부에는 $150{\times}150$ mm 단면의 집성목 중인방을 설치하였다. 실험체는 단열재 유무 등에 따라 3가지 타입으로 제작하였다. 내화실험 결과 실험체-1, 2, 3 모두 90분 이상의 내화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각 92분, 98분, 99분만에 중인방의 측면과 하부에서 불꽃이 발생하여 실험을 중단하였다. 가열면의 방화석고보드($12.5mm{\times}2$겹)는 약 45분간 내화성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인방의 연소는 일반적인 목재의 탄화속도와 유사한 거동을 보였다 벽체 내부의 목재스터드는 방화석고보드의 기여로 연소가 지연되는 동안 탈수가 일어나 고온에 노출된 이후에는 수분에 의한 온도상승 지연효과가 일어나지 않고 비교적 빠른 연소가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성능 콘크리트의 폭렬특성 및 대책 (Countermeasure and Spalling Property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 한민철;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1105-1108
    • /
    • 2008
  • 본 고에서는 화재 시 구조물 콘크리트의 안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폭렬방지대책 및 메커니즘에 대해 고찰 분석한 것으로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외에 알려져 있는 고성능 콘크리트의 폭렬방지 방법으로 함수율 및 C/W를 낮추는 방법,내화피복을 실시하여 고온을 차단하는 방법, 횡구속 실시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횡변위에 저항하는 방법, 섬유를 혼입하여 수증기압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법 등 4가지 방안이 있다. 2) 기존의 폭렬관련 이론과 WPB이론에 의한 폭렬메커니즘 분석을 토대로 폭렬방지 방안을 제안하면 기존 건축물에 한해서는 내화피복을 실시하는 방법이, 신축 건축물에 한해서는 섬유를 혼입하는 방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방화석고보드의 두께 및 접착방식 변화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특성 (Fire Resist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followed by Thickness of Fireproof Plaster Board and Change of Adhesive Method)

  • 장기현;김원기;김호림;이진우;양성환;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7-71
    • /
    • 2008
  • The study analyzed on fire resist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followed by thickness of fireproof plaster board and change of adhesive method. In spalling characteristics after fire resistance test, all four-side covering concretes were left out of testing screens. Thus, serious spalling was happened by exposing their internal reinforcing rods. in partial testing screens, spalling was happened till the internal concrete of main reinforcing rod. Only, temperature history didn't have special differences among changes of adhesive method. However, thickness of fireproof plaster board is very important. Namely, mock member reinforcing 25mm general adhesive + Bending was 583℃ in the highest temperature of surface part and 479℃ in the highest temperature of the main reinforcing rod, which was relatively good temperature history.

  • PDF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향상을 위한 합성내화보드 개발에 관한 연구 - 1 면 간이가열로 방식 - (A Study on the Development Composite Fireproof Board Type for Fire Resistance Improvement of High Strength Concrete One Side Simplicity Heating Furnace Type - One Side Simplicity Heating Furnace Type -)

  • 신재경;최진만;이성찬;문형재;김정진;박순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233-234
    • /
    • 2009
  • 본 연구는 고강도 콘크리트부재의 폭렬방지 대책에서 종래의 내화피복 방법의 문제점윤 개선하고 내화재료의 내화성능향상을 위한 합성내화보드 개발에 관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동일 내화뿜칠 피복조건에서 표준화재에 노출된 합성보의 강재 온도이력 및 단면형상계수와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Shape Factor and Temperature History of Steel of Composit Beam in Standard Fire under Same Thickness Condition of Spray-type Fire Resistant Materials)

  • 여인환;조경숙;조범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72-77
    • /
    • 2012
  • 콘크리트-강재 합성보가 고온에 노출된 경우 콘크리트는 강재를 피복하여 온도상승을 지연시키거나 보 내부의 수열용량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한편 재료 간 일체화로 부재의 강도가 보완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단순 강재 보 보다 합성보의 내화성능이 유리하게 나타난다. 합성보에서 외부에 노출된 강재의 온도상승은 부재 단면의 형상 및 강재의 노출정도와 직접 관련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보와 일반철골보에 내화인정을 받은 내화뿜칠재를 동일 두께로 피복하여 표준화재조건의 내화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로 나타난 강재의 온도이력과 단면형상계수와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강재 온도 측정결과와 부재별 단면형상계수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부재의 내화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명확한 조건에 의해 비교우위의 성능예측이 가능한 경우 부재별 개별 인정 없이 표준구조 인정을 통한 보편적인 사용이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