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Official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3초

소방공무원의 동기부여와 조직몰입간의 관계 (A Study on th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ire Officials)

  • 최은숙;이인수;곽명순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3-52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or, hygiene fact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ire official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8 fire officials in Kongju and Choengju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 during the period from 1st to 25th of February 2006.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program. Real number,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rried out. Resul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 follows: The motivator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rtificate(F=3.29, p= .002), aptitude(F=15.49, p= .000). The hygiene factors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rtificate(F=2.59 p= .01), aptitude(F=6.72, p= .000).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F= 2.625, p= .036), religion(F=3.869, p= .005).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erience(F=3.746, p= .001), aptitude(F=13.743, p= .000), wish of practice change(F=8.907, p= .000). The commitment was found to be in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motivator(r= .436, p= .000) and hygiene factors(r= .336, p= .000). Conclusion: From the results, we recommend that the organization management program develops for increasing motivator in fire officials be used.

  • PDF

소방공무원 채용시험에 관한 소고 (A Thought on the Fire Fighting Official Selection Examination)

  • 현성호;송윤석;이창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80-86
    • /
    • 2005
  • 소방공무원은 주로 각종 현장활동을 수행하고 있고, 순환보직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현장활동 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기획$\cdot$행정 업무의 내실을 기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어 현장경험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이처럼 소방업무는 타 직종에 비하여 현장업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특성이 있으며, 그에 따른 엄격한 신체조건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고찰에서는 소방공무원에게 구체적으로 필요한 신체기준과 주요 임무는 무엇인지 살펴보고, 현행 소방공무원 채용을 위한 필기시험, 신체검사, 체력검사, 면접시험 등이 이에 부합되는지를 분석하여 그 개선 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소방공무원의 심리적 응급처치 필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Psychological First Aid for Firefighters)

  • 김주현;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385-390
    • /
    • 2023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 응급처치 필요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0명의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1:1 심층 인터뷰를 통해 구급대원의 근무환경, 외상 후 스트레스 경험, 심리적 응급처치 경험 등을 분석하여 소방관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심리적 응급처치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소방공무원을 현장에 배치해 외상 후 스트레스와 그로 인한 신체 증상을 미리 교육한 뒤 외상 사건에 노출될 필요가 있다. 둘째, 소방공무원은 외상환자에 노출된 후 적절한 시기에 심리적 응급처치를 해야 한다. 셋째, 정신건강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인력과 제도적 장치의 보완이 필요하다. 넷째, 소방공무원에 적합한 맞춤형 전문의료서비스와 심리지원을 위해서는 소방복합치유센터와 국립 소방병원의 연계가 필요하다.

소방공무원의 지진 대응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arthquake Response Perception on Fire official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김지윤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43-352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지진재난 대응을 위한 소방조직구성, 소방지휘능력, 여론운영 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소방조직이 지진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실무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전국 소방공무원 1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방조직구성, 소방지휘능력, 여론운영 등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인의 종속변인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는 소방조직구성, 소방지휘능력, 여론운영 순서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정부가 지진대응을 위해 사전에 소방조직 구성, 소방지휘능력 배양, 여론운영이 필요함을 실무적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하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비하고자 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내부고객으로서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경험적 연구 - 대전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A Empirical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Fire Official's Job Satisfaction as a Inner Client - With Special Reference to Daejeon Metropolitian City's Case -)

  • 송용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70-83
    • /
    • 2008
  • 본 연구는 직무만족 영향요인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와 직무만족도와 근무성과 간에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향후 소방공무원들의 직무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관리적소를 찾아내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한 자료에 바탕을 두고 있다. 가설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변수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5가지 독립변수(직무동기요인, 조직관리요인, 인사관리요인, 근무환경요인, 인간관계요인)중 직무동기와 인사관리요인은 직무만족도와 커다란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외의 조직관리요인, 근무환경요인, 인간관계요인은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다소의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회귀분석에서는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인구 사회학적 변수 즉 성별, 연령별, 직급별, 학력별, 근무기간별, 부서별에 따른 상관관계는 부서별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경소방청의 인사제도 및 인재양성제도의 분석 (Analysis on Personnel System and Talent Cultivation System of the Tokyo Fire Department)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05-114
    • /
    • 2008
  • 이 논문에서 동경소방청 소방공무원의 신규채용제도, 능력인정제도, 능력검증에 의한 승진제도, 전문가 양성제도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신규채용은 전문계, 1류, 2류, 3류로 분류되며 모두 임용계급은 소방사이다. 소방공무원으로 재직 중 신규채용구분에서 정한 일정한 자격을 갖추면 자신의 실력에 따라 3류$\rightarrow$2류, 1류, 전문계로, 2류$\rightarrow$1류, 전문계로, 1류$\rightarrow$전문계로 채용구분을 바꿀 수 있는 능력인정제도를 갖추고 있다. 또한 열심히 일하고 계급에 걸맞은 실력을 갖추고 이를 철저히 검증받아야 승진할 수 있는 제도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위탁연수와 자격제도를 마련하여 직원 및 간부들의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

The Development of Forest Fire Statistical Management System using Web GIS Technology

  • Jo, Myung-Hee;Kim, Joon-Bum;Kim, Hyun-Sik;Jo, Yun-W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83-190
    • /
    • 2002
  • In this paper forest fire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s constructed on web environment using web base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echnology. Though this system, general users can easily access forest fire statistical information and obtain them in visual method such as maps, graphs, and text if they have web browsers. Moreover, officials related to forest fire can easily control and manage all information in domestic by accessing input interface, retrieval interface, and out interface. In order to implement this system, IIS 5.0 of Microsoft is used as web server and Oracle 8i and ASP(Active Server Page) are used for database construction and dynamic web page operation, respectively. Also, Arc IMS of ESRI is used to serve map data using Java and HTML as system development language. Through this system, general users can obtain the whole information related to forest fire visually in real time also recognize forest fire prevention. In addition, Forest officials can manage the domestic forest resource and control forest fire dangerous area efficiently and scientifically by analyzing and retrieving huge forest data through this system. So, they can save their manpower, time and cost to collect and manage data.

  • PDF

법과 제도적 관점에서 본 소방특별조사의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gal Study on Special Fire Safety Inspection System)

  • 이재욱;정기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545-552
    • /
    • 2021
  • 2011년 8월 4일에 개정된 법률에 따라 소방특별조사는 소방시설의 유지·관리 등을 관계인(소유자·관리자·점유자)이 하고 이에 대한 책임도 관계인에게 주어졌다. 소방특별조사는 기존의 모든 소방대상물에 직접 출입하여 소방시설의 유지·관리 상태 등을 조사하는 대신에 매년 일부 대상물을 선별하여 방문하고 소방시설의 유지·관리 상태 등을 확인하고 잘못된 부분에 대하여 시정하고 그 책임에 대하여 과태료 등의 처분을 하는 것이다. 이 제도를 도입한 이유가 관계자의 책임을 강화하여 민간자율정정제도의 정착, 소방전문 인력의 부족, 빈번한 대민접촉에 따른 부패의 개연성과 소방검사에 따른 소방기관의 책임 등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소방특별조사제도를 도입하여서도 여러 가지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소방안전을 위한 제도 중 하나인 소방특별조사는 관계 법령에 따라 소방대상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에 대하여 적합하게 설치·유지·관리되고 있는지를 관계 공무원, 특히 소방공무원이 확인하는 것이다. 소방특별조사는 1958년 소방법이 제정된 당시에 소방검사로 도입되어 최근까지 30여 차례의 개정과정을 거쳐, 현행 소방특별조사는 2003년 기존의 소방법체계가 4개의 법률로 분법화되면서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로 기존의 소방검사 소방특별조사로 변경되어 수용되었다.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수준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Fire-Fighting Officials)

  • 이광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96-506
    • /
    • 2021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수준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의 5개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330명을 대상으로 2019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피로수준은 직무스트레스 총점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하위영역별로는 업무요구도가 높을수록(p=0.046), 업무의 자율성이 낮을수록(p=0.006), 상사의 지지가 낮을수록(p<0.001), 동료의 지지가 낮을수록(p<0.001) 유의하게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피로수준과 직무스트레스 내용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피로수준은 직무스트레스 총점(r=0.348, p<0.05) 및 업무의 요구도(r=0.301, p<0.05)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업무의 자율성(r=-0.306, p<0.05), 상사의 지지(r=-0.340, p<0.05) 및 동료의 지지(r=-0.355, p<0.05)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피로수준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총점이 낮은 집단(Q1)에 비해 매우 높은 집단(Q4)에서 「고위험 피로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ORs=3.03, 95% CI=1.13~8.12).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소방공무원들의 피로수준은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직장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요인들을 줄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