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Extinguishers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7초

노후 분말소화기의 폭발사고 원인과 예방대책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the Precautionary Measures and Causes on Explosion Accidents of a Old Dry Chemical Powder Extinguisher)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91-99
    • /
    • 2012
  • 분말소화기를 조작하거나 해체하는 과정 중에 아주 드물게 사상자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부식된 분말소화기는 조작 중 또는 해체(폐기)과정 중에 폭발하면 로켓과 같이 위쪽으로 솟아오르면서 소화기 조작자나 해체과정 중인 사람의 머리나 가슴, 목 부위 등을 쳐서 사상사고를 발생하게 한다. 이 논문에서는 분말소화기파열사고사례를 알아본 후, 파열사고의 원인과 파열로 인한 반동력, 예방대책에 대해 알아보았다. 소화기 파열사고의 예방대책으로 훈련이나 교육에 부식된 소화기의 사용 자제, 부식된 소화기에 대한 위험성 교육 및 홍보, 기설치 가압식분말소화기에 파열위험성 표시, 내용연수 표시 의무화, 일정기간 경과 소화기에 대한 수압검사 제도의 도입 검토, 폐소화기 회수시스템 구축, 폐소화기의 재활용시스템 구축, 노후소화기관련 상담창구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조사연구-선박용 소화기에 관한 지침

  • 박영근
    • 방재기술
    • /
    • 통권18호
    • /
    • pp.21-27
    • /
    • 1995
  • This paper is aimed to introduce the related marine type fire extinguishers standards between the domestic and the abroad. This is based on the fire extinguishers at chapter 2 -2 Regulation 6.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at Sea. 1974, and Guidelines for Marine Portable Fire Extinguishers at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Annexed Resolution A. 602 (15)

  • PDF

위험관리정보 - 소화기의 선택과 배치

  • 유호정
    • 방재와보험
    • /
    • 통권106호
    • /
    • pp.59-63
    • /
    • 2005
  • 이 글에서는 ISO 11602-1, Fire Protection - Portable and Wheeled Fire Extinguishers - part 1 : Selection and installation(2000년판)과 NFPA 10, Standard for Portable Fire Extinguishers(2003년판)에 설명된 소화기 선택과 배치에 대한 개괄을 한다.

  • PDF

소비자의 적합성 실증분석을 통한 가정용 소화기의 디자인 개선방안 (Methods to Improve the Design of Household Fire Extinguisher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Consumer Compatibility)

  • 이성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3호
    • /
    • pp.58-66
    • /
    • 2020
  • 주택의 경우에는 소방법에서 제외 대상으로 되어 있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초기 소화에 골든타임을 놓쳐 대부분 인명사고로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주택에서 화재와 사망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소방법을 개정하여 정부에서는 2017년부터 단독 주택에도 소화기를 의무적으로 비치하도록 하였다. 소방청 2018년 주택용 기초 소방시설 설치 실태조사 자료에 의하면 전체 비치율이 34.8%에 불과하다. 소화기는 화재 시에는 꼭 필요한 기구이지만 가정집에서는 기피 대상으로 생각하고 있다. 투박하고 빨간 색상으로 되어 있어 집안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이제 소화기도 평상시에는 장식품과 팬시용품처럼 집안에 비치해 두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심플하면서도 디자인이 다양한 소화기가 있어야 한다. 집안 어디에 두어도 장식물처럼 어울릴 수 있는 제품이라면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 이제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심플한 소화기가 개발되도록 관련업체의 디자인 개발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져 상품화를 기대한다.

RULA 평가기법을 활용한 분말소화기 디자인 연구 (A Study on Powder Fire Extinguisher Design with RULA Technique Used)

  • 강채우;김덕남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7-123
    • /
    • 2017
  •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methods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designs that can improve the equipment's usability. In this study, the fire suppression experiment through fire extinguishers and the data drawn through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and then the guideline for the improvement of designs was presented. The procedure is as follows. A fire suppression experiment with the use of fire extinguishers was done by 43 average adults. The whole process of the fire suppression was videotaped, and then captured major scenes were analyzed with the use of RULA, a human engineering measurement tool. The analyzed data were divided into 4 steps, and then the guideline for design improvement was presented.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Step 1, Fire extinguisher distance step. To reduce overload occurring at the process of holding fire extinguishers suddenly, wheels are attached to the body of extinguishers, or pedestals are installed. Step 2, Fire extinguisher transportation step. The length of hose is extended, or fire fighting water is sprayed far, so that overload of legs occurring at the process of travel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weight of fire extinguisher shouldn't be over 2 kg. Step 3, Safety pin removal stage. Safety pins should be applied with button type, so that excessive posture of lower limbs and excessive twisting of wrists won't happen during safety pin removal process. Besides, safety pins should be designed for easy identification and operation. Step 4,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ing step. To reduce overload occurring at sudden spraying of fire fighting water, pressure should be increased gradually until high pressure. With the above study results applied to existing fire extinguisher design, it may contribute to reducing any fire damage.

아파트 지하주차장 소화기의 유지관리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Method of Fire Extinguisher Maintenance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 이영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
    • /
    • 2016
  • The definition of an apartment is a building more than 5 stories high and which is the standard law. Currently, the number of apartments is increasing much faster than detached houses. Owning an apartment is a normal trend these days. However, the increasing number of apartments has been increasing the number of apartment fires which also has been making social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fire extinguisher among other fire facilities because it is important for initial fire suppression. The research subject is on the fire extinguisher that is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40 apartment complexes which are more than 10 stories. Survey and analysis were conducted for 80 fire extinguishers. There are two fire extinguishers for each apart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all installed fire extinguishers are ABC dry chemical type, 92% of them is 3.3kg and that meet the legal height(less than 1.5m). However, the condition such as appearance, inspection, manufactured year, appearance of signs, material of signs, size of signs, etc. was insufficiency. So improvement of law and system that are fire facility construction, maintenance implementation and additional designation of type approval about sign will be needed in my opinion.

폐 소화기 재활용 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motion of Recycling of Old Fire Extinguishers)

  • 진영배;정명원;오정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156-163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국외 폐 소화기 재활용 제도를 분석하고 국내 재활용 운영실태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폐 소화기 재활용 제도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폐 소화기 재활용 촉진 방안은 첫째, 폐 소화기의 재활용 처리에 대한 제도 마련이다. 둘째, 폐 소화기 재활용처리 시스템 구축, 소화기의 회수 및 수집 운반 재활용 홍보 교육 등 전문성을 고려한 매뉴얼 개발이다. 셋째, 폐 소화기 수거에 대한 체계적이고 안전한 처리를 위한 다각적인 홍보 및 기술지원을 위한 교육 상담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넷째, 정부와 소화기 관련기관 차원에서 폐 소화기 재활용 촉진을 통해 환경의 오염을 막고 재활용이 가능한 부품들이 재생산되어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소방안전산업의 육성을 통해 소화기 품질 강국이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기술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일상생활 환경에서의 소화기 비치 실태와 소화기 인식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Installation and Awareness of Fire Extinguishers and Awareness of Fire Extinguishers)

  • 이원주;권신영;이창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26-32
    • /
    • 2015
  • 본 논문은 우리나라 성인남녀의 일상생활의 소화기 비치실태 및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화재안전교육에서 소화기 부분에 대한 교육 방향 및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설문분석 결과, 소화기 비치 현황에서 연구 대상자의 47.9%는 가정에서 소화기를 비치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생활공간(학교, 직장 등)은 93.2%가 소화기를 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화기 교육 경험에서 연구 대상자의 약 90%는 소화기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생활공간(학교, 직장 등)에서 정기적인 소방교육은 65.8%만이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1년 동안 소화기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을 한 번도 받지 못한 사람들은 42.5%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화기 지식분야에서 연구 대상자는 소화기 사용방법에 대해 평균 3.95점/5.00점의 점수를 보여 가장 높은 값을 보이고 있는 반면 ABC 소화기에 대한 의미에 대해서 평균 3.00점/5.00점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이고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가정에서의 소화기 비치 현황' 및 '현재 생활 영역에서 정기적 소방안전교육의 실시'는 '소화기 지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더하여 연구대상자의 '최근 1년 동안 소화기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 횟수'와 '소화기 지식'에 대한 연관성을 보기 위해서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 = 30.45, p <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