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isher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7초

옥수수 주정박의 수준과 Phytase의 첨가 유무가 육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Levels of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and Phytase on Performance and Nutrient Utilization of Broilers)

  • 홍의철;나승환;유동조;김학규;박미나;정기철;추효준;박희두;정완태;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47-255
    • /
    • 2009
  • 본 시험은 육계 사료내 CDDGS의 첨가 수준과 phytase의 첨가유무가육계의생산성과영양소이용률에미치는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시판 육계(Ross 308) 수컷 384수를 공시하였으며, CDDGS 4처리(0, 5, 10, 15%)와 phytase 2처리(0, 500 FTU/kg)의 $4{\times}2$ 복합 요인으로 총 8처리구,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2수를 체중별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사양 시험이 끝난 육계는 체중이 유사한 개체를 12수씩 선별하여 1주간 동일 사료 급여 후 1주간 소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사료는 육계 초기(0~2주), 전기(2~4주)와 후기(4~6)의 기본 사료에 CDDGS를 0, 5, 10 및 15% 첨가하였으며, ME가와 CP는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육계 사양기간 동안의 증체량과 사료 효율은 phytase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사료 섭취량은 모든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일반성분의경우, 건물과조단백질의소화율은 전처리 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조지방의 소화율은 CDDGS 5% 처리구에서 75.8%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조섬유의 소화율은 CDDGS와 phytase 첨가구에서 소화율의 증가를 보였다(P<0.05). 필수 아미노산의 경우, iso-leucine, lysine, threonine 및 valine에서 소화율이 증가하였으며(P<0.05), 비필수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proline, serine 및 tyrosine에서 소화율이 개선되었다(P<0.05). 따라서, 본 시험에서 육계 사료 내 CDDGS와 phytase 첨가는 육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률을 개선시켰다.

Cu-Soy Proteinate(Cu-SP)와 Herbal Mixture(HBM)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소장 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Cu-Soy Proteinate (Cu-SP) and Herbal Mixture (HBM) on the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roa, Immune Response in Broilers)

  • 김찬호;신광석;강환구;김지혁;황보종;최희철;문홍길;백인기;방한태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5-171
    • /
    • 2014
  • 본 실험에서는 Cu-soy proteinate(Cu-SP)와 Herb-Mix(HBM)을 단독 또는 혼합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혈액 성상, 면역 및 분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육계(Ross308) 1,000수를 공시하여 5처리 4반복으로 반복 당 5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여, 자유 섭식하게 하였으며, 35일간 전기(0~21일), 후기(22~35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처리구들은 대조구(Control : negative control), 항생제구(Antibiotics : avilamycin 6 ppm 첨가구), Cu-SP(Cu-soy proteinate로 Cu 100 ppm 첨가구), HBM(지황 10%, 산약 10%, 당귀 20%, 오미자 5%, 감초 5%, 천궁 10%) 0.15% 첨가구, Cu-SP + HBM(Cu-soy proteinate로 Cu 100 ppm 첨가구 + HBM 0.15%) 첨가구 총 5 처리구였다. 35일의 사양 시험 결과, 전기 기간(0~21일)은 증체량,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량, 폐사율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후기 기간(22~35일)에 사료 섭취량과 사료 요구량은 대조구가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전 기간(0~35일)에 증체량은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반면,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량은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림프구(LY)는 Cu-SP + HBM구가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HE : LY 비율은 대조구가 유의적으로(P<0.05) 가장 높았다. 혈장 IgG 함량은 HBM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혈장 IgA 함량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해균인 Cl. Perfringens는 대조구가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E. coli와 Lactobacillus는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Cu-SP와 HBM의 단독 급여나 혼합 급여는 둘 다 생산성을 증가시키며, 면역성상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소장 내 유해 미생물을 억제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효모변이균주 유래 β-글루칸과 복합균종 생균제의 혼합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장내 균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ombination Feeding of β-glucan and Multi-species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and Microflora in Broiler Chickens)

  • 조병임;유선종;김은집;안병기;백현동;윤철원;장효일;김승욱;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1호
    • /
    • pp.89-98
    • /
    • 2008
  • 본 실험에서는 복합균종 생균제를 단일급여하거나 효모변이균주에서 추출한 β-글루칸과 혼합급여했을 때 성장 성적, 혈액 내 지질 분획 농도, 항체생산 반응 및 장내 균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두 5개 처리구에 4반복 반복당 30수 씩, 총 600수의 1일령 Ross 수평아리를 공시하여 35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사료는 옥수수와 대두박을 위주로한 항생제 무첨가 시판사료를 급여하는 대조구와 T1 처리구에는 복합균종 생균제만을 0.15%, T2 처리구에는 β-글루칸 0.10%+복합균종 생균제 0.15%, T3 처리구에는 복합균종 생균제만을 0.30%, T4 처리구에는 β-글루칸 0.10%+복합균종 생균제 0.30%를 혼합급여하였다. 실험 기간 중의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을 평가하였고, 실험 4주째에 ND 및 IB를 분무백신한 후 항체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맹장 내용물을 채취하여 장내 균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사료 섭취량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후기에서는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거나(P<0.05)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 비장, F낭, 가슴근육 및 다리부위의 상대적 중량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콜레스테롤 에스터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복합균종 생균제 0.3% 첨가구(T3 및 T4)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유리형 콜레스테롤 농도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ND 및 IB 항체 생산량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한 차이 없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균 및 coliform bacteria 수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lactic acid bacteria 수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P<0.05). 본 실험에서는 육계사료 내 복합균종 생균제의 단일급여 또는 β-글루칸과의 혼합급여가 증체 및 사료요구율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복합균종 생균제 급여에 의해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고, 맹장 내 lactic acid bacteria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났다.

소나무 수피 알칼리성 아황산염-안트라퀴논 증해폐액이 사료결착제로서 펠렛 내구성과 가금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ne Bark Spent Liquor Prepared by Alkaline Sulfite-Anthraquinone Cooking as a Pellet Binder on Pellet Durability and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or Laying Hens)

  • K. S. Ryu;H. L. Li;S. P. Mun;H. J. Song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1-98
    • /
    • 2001
  • 소나무 수피로부터 alkaline sulfite-anthraquinone cooking을 통하여 생산된 Pine Bark Spent Liquor(PBSL)의 펠렛 내구성(ellet durability index(PDI)과 사료결착재로서 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육계와 산란계 사료에 첨가·급여하였다. 실험1에서는 실용계 사료인 대조구, 소맥 10%와 (W10), 20% 첨가구(W20), PBSL 0.25, 0.50, 1.00, 2.00, 3.00% 첨가구, 두 종류 시판용 사료결착제 0.1, 0.2%(CPB A와 CPB B), W10+0.1% CPB A or B로 14개 처리구를 4반복으로 하여 펠렛 내구성 조사를 시행하였다. PDI는 PDI tester(Oriental motors, Japan)로 측정하였다. 실험2에서는 1일령 육계수컷 200수를 무첨가구인 대조구외에 실험 1에서 최적으로 판단되는 처리구인 W10, PBSL 0.5%, 0.2% CPB A and B의 5개 처리구를 4반복으로 배치하여 시행하였다. 기초사료는 사육전기에 3,169와 3,149kca./kg ME와 21% CP를 급여하였고, 사육후기에는 3,192와 3,172 kcal/kg ME와 19% CP사료를 급여하였다.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주간별로 5주간 측정하였으며 실험 종료시에 장내 혐기적인 미생물 수를 조사하였다. 실험 3에서 24주령 로만 갈색계 450수를 이용하여 처리구는 실험 2와 동일하게 8주간 시행하였다. 처리구당 반복은 18수씩 5반복으로 90수 전체 450수를 이용하였다. 사료는 대상에너지 2,720 kcal/kg와 CP는 18.5%로 하였다. 처리구당 산란율, 난중,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계란의 품질을 주간 별로 조사하였으며, 실험종료시에 혈액의 성상을 조사하였다. 실험 1에서 PBSL 0.5%, W10 0.5%, CPB A, B 0.2% 처리구의 PDI는 95.9, 95.9, 95.8. and 95.7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P<0.05).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는 실험2와 3에 적용하였다. 실험 2에서 PBSL 처리구의 증체량은 대조두와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W10과 CPB A와는 현저하게 차이가 있었다. (P<0.05). 사료요구율은 PBSL이나 다른 사료결착제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Phytase 수준별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인의 배설과 흡수 및 회장과 분에서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atry Phytase on Performance, Excretion and Retention of P, and Ileal and Feces Digestibility in Broilers)

  • 황보종;안정현;정완태;오상집;이현정;김원;이선업;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7-215
    • /
    • 2007
  • 본 시험은 파이타제의 수준별 첨가(0, 300, 600 FTU/kg)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장내 미생물 성상 및 영양소 이용률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 동물로서 1일령 Ross종 육계$(44.5{\pm}2.0\;g)$ 216수를 선별하여 육계전기($0{\sim}2$주) 및 육계 후기($2{\sim}5$주)의 5주 동안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파이타제의 첨가 수준에 따라 P0(대조구), P1(300 FTU/kg), P2(600 FTU/kg)의 3처리구로 나누고, 처리당 6반복, 반복당 12수씩 216수를 체중별로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사양 시험이 끝난 후 체중이 유사한 5주령 육계$(1.7{\pm}0.2\;kg)$를 처리구당 9수씩 선별하였으며, 처리구는 파이타제의 첨가 수준에 따른 3처리구와 회장과 분의 소화율에 따른 2처리구로 나누어 $3{\times}2$의 총 6처리구, 처리당 9수씩 54수를 공시하여 소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증체량과 사료 효율은 P0 처리구에 비해 P1과 P2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사료 섭취량은 처리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P>0.05). 인의 배설량과 흡수량은 파이타제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배설량이 크게 감소하였다(P<0.05). 영양소와 아미노산의 소화율은 회장 소화율이 분 소화율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P>0.05), 파이타제 첨가구(P1, P2)에서 대조구(P0)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그러나 고형물과 조단백질의 소화율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파이타제의 첨가는 육계의 생산성이나 인의 흡수량과 배설량 및 영양소와 아미노산 소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약재 추출물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장내 미생물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Herb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and Blood Component Profile in Broiler Chickens)

  • 박성복;나재천;유동조;방한태;황인호;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9-84
    • /
    • 2008
  • 본 실험은 한약재 추출물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장내 미생물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육계 Ross 종 1일령 수컷 320수에 사료내 한약재 추출물 HE 0%, HE 0.1%, HE 0.2%, HE 0.4% 수준으로 급여하였으며,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16수를 평사에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실험 사료는 초기($0{\sim}2$주), 전기($3{\sim}5$주), 후기($6{\sim}7$주)로 나누어 급여하였으며, 대사 에너지 수준은 3,100, 3,100, 3,200 kal/kg, 조단백질은 22, 20, 18%가 되도록 배합하였다. 초기($0{\sim}2$주)와 후기($6{\sim}7$주)에 증체량은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3{\sim}5$주령 증체량은 HE 0%에 비해 HE 0.2%와 HE 0.4%에서 개선되었으며, 사료 섭취량은 HE 0%에 비하여 HE 0.1%와 HE 0.2%에서 증가하였다(p<0.05). 전실험 기간의 증체량은 HE 0.2% 첨가구에서 HE 0%에 비하여 개선되었으며(p<0.05), 사료 섭취량은 HE 0.1%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사료 요구율은 HE 0.2%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청 내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total protein, albumin, glucose 함량에 대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HE 0.4%가 혈청 내 total cholesterol 함량에 있어서 HE 0%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장 내 Lactobacillus spp., Yeast, E. coli 균수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유용 미생물 첨가가 육계 생산성, 맹장 내 균총 및 유해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Effective Microorganism (EM) on Growth Performance, Microflora Population and Noxious Gas Emission in Broiler)

  • 강환구;김찬호;방한태;김지혁;김민지;김동운;나재천;황보종;양영록;최희철;문홍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27-233
    • /
    • 2014
  • 본 연구는 유용미생물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장내 미생물 균총, 유해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육계(ROSS308) 720수를 공시하여 6처리 4반복으로 반복 당 30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여 자유 섭식케 하였으며, 35일간 전기(0~3주), 후기(4~5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무항생제 처리구), 항생제구, 0.1% 생균제, EM은 0.1, 0.5, 1.0% 등 총 6개로 하였다. 사양실험에서 체중, 증체량, 사료섭취량은 전체 사육기간에 처리구간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사료 요구율은 EM 처리구에서 유의하게(P<0.05) 개선되었으며, total cholesterol(TC), triglyceride(TRG), glucose(GLU), total protein(TP), calcium(CA),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와 alanine aminotransferase(ALT)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white blood cell(WBC), hemoglobin(Hb), heterophils(HE), lymphocyte(LY), monocytes(MO) 및 eosinophils(EO)는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E : LY 비율은 EM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P<0.05) 개선되었으며, 소장 내 Lactobacillus 함량은 EM 처리구에서 현저하게(P<0.05) 증가하였으며, E. coli와 Salmonella에서는 처리구 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분변 내 암모니아 가스와 이산화탄소 배출은 EM 첨가구들이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다. 본 실험 결과, EM 첨가는 육계에서 사료 요구율을 개선하였으며, 소장 내 미생물 균총과 유해가스 배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Plasma Mineral Chemistry as Affected by Dietary Chloride and Chloride Salts Fed to Broiler Chickens Reared under Phase Feeding System

  • Mushtaq, M.M.H.;Pasha, T.N.;Akram, M.;Mushtaq, T.;Parvin, R.;Choi, H.C.;Hwangbo, J.;Kim, J.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6호
    • /
    • pp.845-855
    • /
    • 2013
  • Requirements of dietary chloride (dCl) and chloride salts were determined by using $4{\times}2$ factorial arrangement under four phase feeding program. Four levels (0.31, 0.45, 0.59 and 0.73%) and two sources ($NH_4Cl$ and $CaCl_2$) of the dCl were allocated to 1,472 chicks in eight dietary treatments in which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four times with 46 birds per replicate. The four phase feeding program was comprised of four dietary phases: Prestarter (d 1 to 10), Starter (d 11 to 20), Grower (d 21 to 33) and Finisher (d 34 to 42); and diets were separately prepared for each phase. The cations, anions, pH, dissolved oxygen (DO), temperature, electrical conductivity (EC), total dissolved solids (TDS) and salinity were analyzed in drinking water and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BW gain (BWG; $p{\leq}0.009$) and feed:gain (FG; $p{\leq}0.03$) were improved in $CaCl_2$ supplemented diets during d 1 to 10. The maximum response of BWG and FG was observed at 0.38% and 0.42% dCl, respectively, for d 34 to 42. However, the level of dCl for BWG during d 21 to 33 ($p{\leq}0.04$) and d 34 to 42 ($p{\leq}0.009$) was optimized at 0.60% and 0.42%, respectively. The level of dCl for optimized feed intake (FI; $p{\leq}0.006$), FG ($p{\leq}0.007$) and litter moisture (LM; $p{\leq}0.001$) was observed at 0.60%, 0.38% and 0.73%, respectively, for d 1 to 42. Water intake (DWI) was not affected by increasing dCl supplementation (p>0.05); however, the ratio between DWI and FI (DWI:FI) was found highest at 0.73% dCl during d 1 to 10 ($p{\leq}0.05$) and d 21 to 33 ($p{\leq}0.009$). Except for d 34 to 42 ($p{\leq}0.006$), the increasing level of dCl did not result i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tality during any phase. Blood pH and glucose, and breast and thigh weights (percentage of dressed weight) were improved while dressing percentage (DP) and gastrointestinal health were exacerbated with $NH_4Cl$ as compared to $CaCl_2$ supplemented diets ($p{\leq}0.001$). Higher plasma $Na^+$ and $HCO_3{^-}$ and lower $Cl^-$ and $Ca^{{+}{+}}$ were observed in $NH_4Cl$ supplemented diets ($p{\leq}0.001$). Increasing supplementation of dCl increased plasma $Cl^-$ ($p{\leq}0.04$; quadratically) and linearly reduced plasma $K^+$ ($p{\leq}0.001$), $Ca^{{+}{+}}$ ($p{\leq}0.003$), $HCO_3{^-}$ ($p{\leq}0.001$), and $Na^+$ ($p{\leq}0.001$; quadratically). Consequently, higher requirements of dietary chloride are suggested for feed intake; nevertheless, lower levels of dietary chloride are sufficient to support optimal BWG and FG with increasing age. The $NH_4Cl$ supplemented diets ameliorate breast and thigh meat yield along with overall energy balance (glucose).

Bacillus sp. 접종 우모분이 비육돈의 생산성과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Bacillus sp. Inoculated Feather Meal on the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 김재황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525-536
    • /
    • 2005
  • 본 시험은 우모분의 사료적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모 단백질 분해균인 Bacillus sp.를 우모분에 접종하여 비육돈의 단백질 공급원인 대두박에 수준별로 대체하여 총 5처리구로 설정하였으며, 각 처리구당 3반복으로 임의배치하였다. 시험사료 급여구의 증체량, 사료요구율, 육의 아미노산 함량 및 도체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사양시험은 5처리$\time$3반복$\time$10두로서 총 150두를 공시하여 70일간 실시하였다. 비육 전기간(0-70일간) 동안의 일당증체량은 Bacillus sp. 접종 우모분으로 대두박의 20%를 대체․급여한 BSM 20구가 0.95kg으로서 일반 우모분으로 10%와 20%를 대체․급여한 CSM 10구와 CSM 20구의 0.80-0.81kg에 비하여 증가 하였으며, 사료요구율도 2.94로서 우수하였다(P<0.05). 도체중은 BSM 10구와 BSM 20구가 각각 81.84kg과 83.77kg으로서 CSM 10구와 20구의 74.75kg과 76.07kg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 A등급 출현율은 BSM 20구가 35.03%로서 대조구의 32.78%에 비하여 뚜렷하게 향상되었다. 육색의 CIE L*값은 BSM 10구가 45.56으로서 가장 낮았으며, CSM 20구는 59.96으로서 가장 높았다(P<0.05). CIE a* 값은 대조구가 9.35로서 BSM 10구와 BSM 20구의 7.56과 7.42에 비하여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비육돈을 사육할 경우에는 Bacillus sp. 접종 우모분으로 대두박의 20%를 대체․급여함으로서 체중의 증가 및 사료요구율이 개선되었으며, 돼지 등심의 육색과 지방색에도 이상이 없을 뿐 아니라 육질 A등급 출현율도 크게 향상되었다. 특히, 일당 증체량으로 환산할 경우에는 출하일령을 약 8일 정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대체 단백질 사료자원의 확보 뿐만 아니라 농가 소득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재래오골계의 유전 및 경제형질에 관한 연구 IV. 체성장과 산육능력 (Studies on the Hereditary Characters and Some Economical Traits of Korean Native Ogol Fowl IV. Body Growth and Meat Production Ability)

  • 한성욱;오봉국;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9
    • /
    • 1988
  • 본 연구는 한국재래오골계의 품종보존과 육종개량을 위하여 주요 경제형질중의 하나인 산육능력을 규명하고자 천연기념물 265호로 지정된 연산오골계 총 300수를 공시하여 4주까지는 육계전기식료, 5주부터 16주까지는 육계후기사료로 사육하였다. 조사항목은 체중, 증가율, 가식부와 불가식부의 중량 및 비율, 흉부와 퇴경부의 체형 등이며,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동오골계의 체중은 6주령부터 암수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컷과 암컷의 기중은 8주령 $659.0{\pm}154.9$$588.3{\pm}68.0$g이었고, 10주령시 $938.1{\pm}72.6$, $810.1{\pm}104.4$g이었다. 암수의 평균체중은 8주령 $623.7{\pm}121.9$, 10주령 $874.1{\pm}109.4$g으로 나타났다. 2) 증체율은 암수간에 큰 차이가 없었고, 암수의 평균증체율은 2~4주, 4~6주, 6~8주, 8~10주에 각각 166%, 106%, 41% 그리고 40%로 나타났다. 3) 총가식부의 증가양상은 12주령까지 암수 모두에서 고도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성간에는 6주령부터 익부, 배부 퇴경부 및 총가식부의 중량은 8주와 10주령시 수컷은 $395.4{\pm}98.5$$597.54{\pm}7.25$이고 암컷은 $355.6{\pm}42.0$$518.7{\pm}69.7$g이었다. 암수 평균총가식부 중량은 8주와 10주령시 각각 $375{\pm}72.7$g이었고 체중에 대한 비율은 60~63%정도로 나타났다. 4) 가식내장의 체중에 대한 비율은 8주와 10주령시 암수간에 큰 차이가 없었고, 암수 평균은 4~6%정도로 나타났다. 5) 불가식부의 체중에 관한 비율은 주령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암수간에는 비슷한 비율을 나타내었다. 암수평균한 8주령시 비율은 혈액 4%, 우모 7%. 불가식내장 12% 그리고 총불가식부 31%를 차지하였다. 6) 흉부와 퇴경부 체형구성요소들에서는 흉각과 각경을 제외하고는 10주령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8주와 10주령시 암수간에는 흉위, 흉골장, 퇴경부 둘레 및 각경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체중과 가식부중량에 대하여 체형구성요소중에 흉위와 퇴경부 둘레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고, 체중구성요소중에는 가식부의 비율들이 체중에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흉부와 퇴경부의 비율과 총가식부비율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