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d employment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8초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취업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stomized Employment Strategy for Utilizing Big Data)

  • 구건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75-183
    • /
    • 2015
  • 본 논문은 취업하고자하는 학생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취업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취업 전략 구축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취업 방향을 잘 결정하지 못하여 취업률이 낮은 2년제 여자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으며, 기존 취업 전략의 중대한 문제점은 구직업체의 요구에 의해 학생들의 학교 성적 정보, 외모, 성격 등 단순한 정보만으로 구직에 참여하게 된다. 이로 인해 취업하려는 학생들의 만족도가 떨어지고, 취업 후 부적응 사례로 중도 직장을 포기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하여 취업 전략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전년 대비, 2014년 취업 통계 데이터로 증명했으며, 취업의뢰건도 전년 대비 21.3%가 상승했고, 기업과 학생간 취업 매칭률도 전년대비 81.4%증가 했다. 가장 중요한 최종 취업성공률도 전년 대비 63.1%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의 이질성과 자영업 선택에 관한 실증분석 - 임금근로에서 자영업으로의 진입을 중심으로 - (Heterogeneity of Workers and the Entry into Self-employment - Focusing on the Entry of Wage Workers into Self-Employment -)

  • 김우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36권2호
    • /
    • pp.1-36
    • /
    • 2013
  • 본 연구는 임금함수 추정으로부터 얻어진 잔차, 즉 보이지 않는 이질성이 자영업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Joona and Wadensjo(2013)에 따라 이 잔차를 개인 능력의 대리변수로 간주하고, 과연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자영업자가 되는지, 아니면 능력이 낮은 사람이 자영업을 선택하는지를 한국노동패널 1-11차를 이용하여 검증한다. 전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할 때 능력의 양극에 있는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자영업 진입확률이 높지만, 남녀를 구분할 경우 이러한 U자형의 관계는 존재하지 않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능력이 낮은 사람이, 여성의 경우에는 능력이 높은 사람이 자영업으로 진입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1998-2008년 사이 능력과 자영업 진입과의 관계에 변화가 있었으며, 능력이 높은 사람이 대체로 자영업 성과도 좋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고용탄력성 추정과 정책적 시사점: 비안정적 시계열 분석 방법론을 이용한 고찰 (Estimation of the Elasticity of Employment and Policy Implications: The Use of Methods for the Analysis of Non-stationary Series)

  • 허재준;고영우
    • 노동경제논집
    • /
    • 제34권3호
    • /
    • pp.59-80
    • /
    • 2011
  • 본 연구는 비안정적 시계열 자료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장단기 고용탄력성을 추정하고 그 변화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지난 25년간 고용탄력성이 유의하게 감소했다는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의 취업자 수 증가율 감소가 고용탄력성 감소보다는 성장률 감소에 크게 기인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일자리 창출력을 높이려는 정책적 노력은 성장잠재력 강화에 경주되어야 한다. 통계적 유의성을 떠나 고용탄력성 감소경향을 사실로 받아들인다고 하더라고 그것은 장기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구조적 요인에 기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어진 성장률 아래에서 일자리 창출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장기적인 체질 강화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 PDF

경기변동과 고용 동학에 대한 분석: 집단 간 취업-미취업 이행확률 비교를 중심으로 (Business Cycle and Labor Market Transitions : A Comparison among Demographic Groups)

  • 고영근;안태현
    • 노동경제논집
    • /
    • 제41권2호
    • /
    • pp.31-59
    • /
    • 2018
  • 본 연구는 2000~2013년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월별로 재구성하여 취업과 미취업 간의 이행확률이 경기변동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노동시장 침체 시 취업 및 미취업으로의 이행확률에서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기 침체 시 취업으로의 이행확률 감소보다는 취업에서 미취업으로의 이행확률, 즉 노동시장을 이탈할 확률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고령층, 고졸 미만 집단은 각각 남성, 노동시장 주 연령층(36~55세), 고졸 집단보다 취업에서 미취업으로의 이행확률이 경기에 더 강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Th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Life Satisfaction for Employees

  • Jung, Myung-Hee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5호
    • /
    • pp.35-42
    • /
    • 2017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small business members' cognition of happiness in accordance with changes of employment environment at the nation's industrialization. The study verified effects of labor workers' psychological wellbeing conditions upon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the effects of job burden and family burden of employment instabil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bjects were small business worker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The author collected 150 copies of effective questionnaires.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analysis and 3-stage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Results -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as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factors alleviated job burden and family burden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life. Employment instability moderated between job burden and satisfaction with life, job burden between environmental control and satisfaction with life, and family burden between goal and satisfaction of life. Members needed sub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especially reflection for self-acceptance. Conclusions - This study inspected effects of small business workers' psychological wellbeing upon life satisfaction at changes of management environment as well as labor environment to verify effects of job burden, family burden and employment instability and to find out conditions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from point of view of small business and workers.

에코세대의 취업변화와 자살생각 (Employment Transitions and Suicide Ideation among Echo Generation)

  • 라채린;이현경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69-375
    • /
    • 2013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transitions and suicide ideation among the echo generation. Methods: This study used survey data from the 2008 and 2010 Seoul Welfare Panel Study (Wave I, II). The sample population was restricted to the echo generation aged between18 and 31, and the total of 882 sampl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dataset. Employment transition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The groups were defined as 'employed-employed', 'unemployed-employed', 'employed-unemployed', and 'unemployed-unemployed'. We used logistic regression to find out the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transitions and suicide ideation among the echo generation. Results: 'Employed-unemployed' and 'unemployed-unemployed' groups were likely to have an association with depression (odds ratio [OR], 1.49; 95% confidence interval [CI], 1.46 to 1.51; OR, 1.57; 95% CI, 1.56 to 1.59) accordingly. 'Unemployed-unemployed' group also was related to suicide ideation (OR, 1.39; 95% CI, 1.36 to 1.42). Interestingly, 'unemployed-employed' group showed a strong association with suicide ideation among the echo generation (OR, 3.85; 95% CI, 3.75 to 3.95). Conclusion: Experience in unemployment increases the risk of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Moreover, the precarious job also increases the risk of suicide ideation.

The Impact of Robotics on Employment and Motivation of Employees in the Service Sector, with Special Reference to Health Care

  • Qureshi, Mohammed Owais;Syed, Rumaiya Sajjad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5권4호
    • /
    • pp.198-202
    • /
    • 2014
  • Background: The economy is being lifted by the new concept of robotics, but we cannot be sure of all the possible benefits. At this early stage, it therefore becomes important to find out the possible benefits/limitations associated with robotics, so that the positives can be capitalized, established, and developed further for the employment and motivation of employees in the health care sector, for overall economic development. The negatives should also be further studied and mitigated. Methods: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research, based on secondary data, such as books on topics related to robotics, websites, public websites of concerned departments for data and statistics, journals, newspapers and magazines, websites of health care providers, and different printed materials (brochures, etc). Results: The impact of robotics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n the employment and motivation of employees in the retail sector. So far, there has been no substantial research done into robotics, especially in the health care sector. Conclusion: Replacing employees with robots is an inevitable choice for organizations in the service sector, more so in the health care sector because of the challenging and sometimes unhealthy working environments, but,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s propose that it should be done in a manner that helps in improving the employment and motivation of employees in this sector.

경력단절여성 자격증 취득과 취업률과의 연관성분석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terrupted Women's Certification Acquisition and Employment Rate)

  • 이정원;이충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87-489
    • /
    • 2021
  • 우리나라 여성의 대부분은 결혼부터 재취업에 이르는 생애사건으로 인한 노동시장으로의 재접근이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 생애과정에서 경제활동 및 비경제활동 인구를 오가며 지위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이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자격증을 고려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데이터의 분석 방법으로는 구조적 특성을 알아내기 위한 통계적 기법인 탐색적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 : EDA) 방법을 사용하였다. 우리나라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직업훈련과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격증 취득이 취업에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되는지 연구하였다.

  • PDF

독일의 고용유연성 확대와 고용안정 (Increasing Employment Flexibility and Job Stabilization in Germany)

  • 이정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966-973
    • /
    • 2013
  • 본 연구는 독일의 고용 모델을 바탕으로 고용유연성의 확대가 고용안정성을 침해하지 않고 오히려 근로자와 기업 간 장기적 상생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배경과 관련 요인을 탐색하였다. 독일의 고용 및 실업정책의 핵심은 고용유연성의 확대에 있으며, 노사간의 양보와 합의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가운데 정부의 적절한 지원이 이를 성공으로 이끌었다. 특히 효율적인 고용시장정책을 통한 성과 창출과 유지의 이면에는 합리적인 사회적 대화가 자리를 잡고 있다. 독일의 앞선 경험은 우리나라 근로자와 기업의 고용유연성 제고를 위한 모범적인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제도 활용에 앞서 독일 노사관계의 바탕이 되는 노사간 존중의 관행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문화적 배경이 상이한 우리나라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지 다각적인 고찰이 선행되어야 한다.

대학교수의 여성 비율이 여학생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male Faculties on Female Students' Employment)

  • 고은비;김진영;송헌재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1호
    • /
    • pp.93-114
    • /
    • 2020
  • 롤모델 효과에 따라 여성 교수의 존재는 여학생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남학생이 많은 '남초학과'로 전공을 선택하거나, 대학원으로의 진학을 결정하는 데 여성 교수의 존재가 연관이 있을 수 있다. 다만 학부 입학, 박사과정 학생의 성취도 등과 관련하여 교수의 성별이 여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있으나 교수의 성비에 따른 여학생 취업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하여 실제로 여성 교원의 비율이 여학생의 취업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 교수의 존재가 여성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학알리미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합동회귀모형 추정에서는 전임교원 중 여성의 비율이 1%포인트 증가하면 여학생의 취업률이 0.102%포인트 유의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교-학과의 고정효과를 고려한 분석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성 교원의 비율이 여학생의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을 전공계열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아도 이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학생의 취업률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 외에 관측되지 않는 개인의 성향, 능력, 가정환경 등 여러 기타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본 연구의 추정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의 여학생 취업에 있어서 여성 교수의 롤모델 효과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