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eld-stop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7초

Developing a mass propagation technique for Aralia elata via somatic embryogenesis

  • Moon, H.K.;Lee, J.S.;Kim, T.S.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0년도 The 7th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114-115
    • /
    • 2000
  • Aralia elata is found in mountain areas all over Korean peninsula. Aralia elata is the scientific name for Japanese angelica tree. The tree belongs to the family Araliaceae, commonly known as ginseng family. Bud sprouts from apical shoot tip of the plants are rich in flavor and thus mainly used for both folk medicine and vegetable. The stalks with apical buds are gathered in the early spring and planted in sandy soil or water in the greenhouse. The sprouting buds are then collected and sold as fresh vegetable. Although the plants have been used for food, they have been cultivated in a very small scale. In spring, local farmers just go around mountain areas to search the trees and gather the stalks as much as they get and sell them to the market. No conservation efforts have been made to stop the exploitation or to save the dwindling population. We tried to provide local farmers with the plants that may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stalks from wild populations. This will bel! p conserve the wild populations. However, it is hard to propagate them either by conventional cuttings or by seed germin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Mass propagation using tissue culture systems have shown a great promise with several woody plants. Recently we developed a mass propagation technique via somatic embryogenesis system using mature and/or juvenile explants for Aralia elata. Several factors affecting somatic embryogenesis system including SE(somatic embryo) induction, embryogenic callus proliferation, SE germination, plant regeneration and transplanting to field frill be presented. And some problems arising for the somatic embryogenesis system will be also discussed.

  • PDF

Developing a mass propagation technique for Aralia elata via somatic embryogenesis

  • Moon, H.K.;Lee, J.S.;Kim, T.S.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0년도 제7차 국제 심포지움(생약자원개발에 관한연구) 및 추계정기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6-17
    • /
    • 2000
  • Aralia elata is found in mountain areas all over Korean peninsula. Aralia elata is the scientific name for Japanese angelica tree. The tree belongs to the family Araliaceae, commonly known as ginseng family. Bud sprouts from apical shoot tip of the plants are rich in flavor and thus mainly used for both folk medicine and vegetable. The stalks with apical buds are gathered in the early spring and planted in sandy soil or water in the greenhouse. The sprouting buds are then collected and sold as fresh vegetable. Although the plants have been used for food, they have been cultivated in a very small scale. In spring, local farmers just go around mountain areas to search the trees and gather the stalks as much as they get and sell them to the market. No conservation efforts have been made to stop the exploitation or to save the dwindling population. We tried to provide local farmers with the plants that may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stalks from wild populations. This will hel! p conserve the wild populations. However, it is hard to propagate them either by conventional cuttings or by seed germin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Mass propagation using tissue culture systems have shown a great promise with several woody plants. Recently we developed a mass propagation technique via somatic embryogenesis system using mature and/ or juvenile explants for Aralia elata. Several factors affecting somatic embryogenesis system including SE(somatic embryo) induction, embryogenic callus proliferation, SE germination, plant regeneration and transplanting to field will be presented. And some problems arising for the somatic embryogenesis system will be also discussed.lso discussed.

  • PDF

EMS 규정에 따른 승강기 내성시험 및 오동작 대책에 관한 연구 (Malfunction Measures and Susceptibility test of Elevator Based on EMS(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Standard)

  • 김기현;배석명;이주환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78-85
    • /
    • 2007
  • 승강기 운행 중 갇힘, 급상승, 급정지, 층 표시 오류 등 승객의 불안감을 유발시킬 수 있고, 인명 사고와 연결될 수 있는 오동작 사고가 발생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부분이 현장 재연성이 거의 없고, 발생했다 사라지는 현상이기에 사실상 사고 원인 판명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런 갇힘 및 오동작을 발생시킬 수 있는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의 승강기 모델 3개를 대상으로 EN12016(2004) 규정에 따라 내성시험을 하고 그에 따른 승강기 동작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오동작에 대한 대책을 보강한 후에 다시 시험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는 최종적으로 승강기 설비의 오동작에 대한 상호 연관성 분석 및 승강기 설비의 전기적 장해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는데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CO2 용접결함 감소를 위한 원격 제어 토치 성능 평가 연구 (Study on an Evaluation of Remote Control Torch Performance to reduce CO2 Welding Defects)

  • 김정혁;오석형;이해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282-6288
    • /
    • 2014
  • 본 논문은 용접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 되는 $CO_2$ 용접에서는 차량내부 및 탱크내부 용접에서 제어 패널을 볼 수 없는 곳, 작업장이 먼 곳 등에서 용접사가 용접을 하면서 용접조건에 맞는 전류와 전압을 조절할 수가 없고, 전류와 전압을 조절하기 위해 용접을 중단하고 잦은 이동으로 용접 구조물의 순간적인 냉각에 의해 용접결함이 발생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CO_2$ 용접기 3종류를 각각 사용하여 원격제어 토치의 용접에 대해 SS400 용접구조용 압연강재를 사용하여 원격제어 토치와 기존 $CO_2$ 용접 토치를 V형 맞대기 수직자세로 용접실험을 실시하고 용접 부의 표면비드 상태의 형상을 육안검사 관찰하고 또한 이를 침투탐상검사 및 굽힘 시험을 통해 용접부의 외관품질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수행하여 용접결함 감소 및 기존 상용용접기에 교체사용에 대한 성능 및 호환성여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전자무역 활용상 전자대금결제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for Applications of International Electronic Payment System in e-Trade)

  • 안재진
    • 정보학연구
    • /
    • 제6권1호
    • /
    • pp.85-105
    • /
    • 2003
  • 전자무역은 현재 일부 무역거래단계에서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모든 무역거래단계로 확대시키기 위하여 업계 및 각국의 정부당국, 그리고 국제기구의 노력들이 부단히 행해지고 있다. 전통적 무역거래를 전자무역으로 대체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은 국제대금결제시스템을 전자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은 궁극적으로 전자무역거래의 완성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전자무역의 구현에 있어서 시급하고도 중요한 핵심과제가 되고 있다.

  • PDF

하이브리드도서관을 위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일본 큐슈대학 중앙도서관의 적용 사례 - (A Study on Space Organization for the Hybrid Library - An Application to the Central Library of Kyushu University -)

  • 유병장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4호
    • /
    • pp.141-163
    • /
    • 2010
  • 인터넷을 통해서 수집할 수 있는 정보가 방대해지고 검색엔진이 고도화되면서 웹을 사용해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전자책 등 디지털 자료는 인터넷이 가능한 곳에서는 어디서든지 이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정보에 대한 수요는 더욱 더 늘어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자료의 중요성과 비중이 커짐에 따라 전통적인 종이 자료와 디지털 자료의 모두를 한 공간에서 다루는 새로운 도서관의 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문헌조사, 큐슈대학 부속도서관의 각종 통계자료 분석, 도면 및 현장조사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은 자료의 제공 이외에도 학습의 장소, 커뮤니티를 위한 사람들의 교류의 장소 등 사회 문화적 역할도 중요하며, 또한 디지털 자료의 비중이 커지면서 도서관 "공간"의 역할에 대하여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었다. 도서관의 공간을 매체의 형태와는 관계없이 주제 중심으로 하나의 공간에 재구성하는 하이브리드도서관에서는 이용자가 동일한 지역에 체류하면서 도서관자료나 인적서비스 등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여성 지적장애인 마라톤 동호회 활동경험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Marathon Club Activity Experience of Woma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김성은;정연수
    • 재활복지
    • /
    • 제21권4호
    • /
    • pp.149-176
    • /
    • 2017
  • 이 연구는 여성지적장애인의 마라톤 동호회 활동경험을 개인의 성장, 관계형성과정 그리고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는 평생교육 차원에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마라톤 동호회활동에 참여한 지적장애여성 5명과 정보제공자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12년 9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마라톤이 열리는 장소를 중심으로 현장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코딩과정을 통해 개념화, 소주제, 핵심주제를 생성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차원에서의 마라톤 동호회 활동경험은 달리기의 재미, 내면의 자유, 자연과의 동화 등으로 나타나 마라톤 활동 경험이 개인의 성장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관계 형성적 차원에서의 경험은 가족과의 소통 및 참여, 참여자 또래와의 관계형성, 이해와 상생 등으로 나타나 마라톤 활동을 통해 소통의 의미와 기술을 익혀가는 과정을 탐색할 수 있었다. 셋째, 마라톤 활동은 삶의 영역을 확장시켜 나가며 사회인으로서 거듭나가는 성숙의 의미로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마라톤 활동은 여성지적장애인의 삶에 대한 동기부여와 능동적 선택의 기회를 갖게 하고 이를 통해 개인의 성장, 주변사람들과의 관계형성 및 삶의 확장을 통해 사회인으로 거듭나도록 돕는데 이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계속적 교육을 추구하는 평생 교육적 의미를 함의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협업 알고리즘을 활용한 분산형 Machine Socialization 시스템 (Distributed Machine Socialization System Implementation of Web Server based)

  • 황종선;임혁;강인식;송현옥;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89-890
    • /
    • 2016
  • 기존의 기기간 협업 시스템은 공유기에 OpenWrt와 웹 서버를 구축한 중앙 집중형 구조의 시스템이다. 하지만 공유기의 부족한 자원으로 인해 협업 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이 많아지거나 서버와 연결되는 클라이언트의 개체가 증가할수록 트래픽 발생확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협업 알고리즘을 활용한 분산형 Machine Socialization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기에 부착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통해 서버와 클라이언트간 데이터를 분산하여 처리함으로써 트래픽 발생 확률 및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 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손실로 인한 작업의 중단 및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응답속도의 저하를 개선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IoT 분야에 활용될 경우 기존 시스템들에 비해 효율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BRT 운행행태를 고려한 저상버스의 정차시간 예측모형 (A Estimation of Dwell Time of Low-floor Buses considering S-BRT Operation Behavior)

  • 신소명;이수범;김영찬;박신형;유연승;최정훈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2-79
    • /
    • 2021
  • This basic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S-BRT and develops dwell time estimation models that consider road geometry and S-BRT characteristics for a signal operation strategy to meet the S-BRT's operational goal of high speed and punctuality. Field surveys of low-floor buses similar in shape to S-BRTs and data collection of passengers, station elements, vehicle elements, and other factors that can affect stop times were used in a regression analysis to establish statistically significant dwell time estimation models. These dwell time estimation models are developed by categorizing according to the locations of the signal or sidewalk that have the most impact on the dwell time. In this way, the number of people boarding and alighting the bus at the crowded door and the number of people boarding and alighting the bus at the front door considering the internal congestion was analyzed to affect the dwell time. The estimation dwell time models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that provide priority signals to S-BRTs.

An Ensemble Approach to Detect Fake News Spreaders on Twitter

  • Sarwar, Muhammad Nabeel;UlAmin, Riaz;Jabeen, Sidr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294-302
    • /
    • 2022
  • Detection of fake news is a complex and a challenging task. Generation of fake news is very hard to stop, only steps to control its circulation may help in minimizing its impacts. Humans tend to believe in misleading false information. Researcher started with social media sites to categorize in terms of real or fake news. False information misleads any individual or an organization that may cause of big failure and any financial loss. Automatic system for detection of false information circulating on social media is an emerging area of research. It is gaining attention of both industry and academia since US presidential elections 2016. Fake news has negative and severe effects o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elongating its hostile effects on the society. Prediction of fake news in timely manner is important. This research focuses on detection of fake news spreaders. In this context, overall, 6 models are developed during this research, trained and tested with dataset of PAN 2020. Four approaches N-gram based; user statistics-based models are trained with different values of hyper parameters. Extensive grid search with cross validation is applied in each machine learning model. In N-gram based models, out of numerous machine learning models this research focused on better results yielding algorithms, assessed by deep reading of state-of-the-art related work in the field. For better accuracy, author aimed at developing models using Random Forest, Logistic Regression, SVM, and XGBoost. All four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ere trained with cross validated grid search hyper parameters. Advantages of this research over previous work is user statistics-based model and then ensemble learning model. Which were designed in a way to help classifying Twitter users as fake news spreader or not with highest reliability. User statistical model used 17 features, on the basis of which it categorized a Twitter user as malicious. New dataset based on predictions of machine learning models was constructed. And then Three techniques of simple mean, logistic regression and random forest in combination with ensemble model is applied. Logistic regression combined in ensemble model gave best training and testing results, achieving an accuracy of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