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eld of Advertising Productio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6초

NCS를 활용한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편 (Redesign of A College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오만덕;이승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651-662
    • /
    • 2014
  • 산업현장 적합형 전문직업인력 양성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전문대학교육이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 체제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NCS기반의 교육과정은 단순히 직무관련 지식과 스킬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적용 수준으로 역량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기존 교육과정과 차별화된다. 본 연구에서는 광고제작과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대학 사례연구로, 산업현장 및 수요자 요구, NCS 분류체계를 토대로 교육과정을 개편하였다. NCS기반 교육과정 개발절차에 따라 일부 교과목들이 신규 도출되거나 폐지되었으며, 학과 자체적으로 도출한 능력단위들이 교육과정에 추가 반영되었다. 개편된 NCS기반 교육과정을 토대로 전문직업인력을 양성함으로써 전문대학교육이 산업현장과 한층 밀착연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고표현기법에서의 기호학적 접근방식 연구 - 국내 TV 광고 중심으로 - (The Study of Semicomical Approaching Method in Advertising Expression Technique - Focus on Korea TV Advertisements -)

  • 김현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125-135
    • /
    • 2006
  • 광고 기호학에 대한 연구는 영상 산업의 전반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초가 된다. 이러한 기호학적인 학문연구는 TV광고에 있어서 끊임없이 연구 되어왔던 학문이나 다양한 소비층과 기술발달로 인해 생겨나는 새로운 표현기법들에 대한 학문적 연구 없이 기존의 연구 및 표현방식에만 고집한다면 광고 기호학의 학문적 접근과 분석은 그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광고의 의미와 TV광고들의 기법 등을 통해 TV광고에서의 기호학적 접근 방법과 해석 등을 분석하여 상업과 예술의 두 가지 측면에서 효과적인 접근을 위한 학문적 연구와 제작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SNS 마케팅 디자인의 현황과 제작 교육 개발 방안 (Current Status of SNS Marketing Design and Development of Production Education)

  • 조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267-272
    • /
    • 2018
  • 오늘날은 SNS가 파급력이 가장 큰 매체로 존재하고 있다. 수많은 SNS마케팅 디자인에 노출되어있고 SNS와 포털 사이트에 광고 노출이 많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디자인들이 생산되어지고 있다. 10년 전보다도 가열되고 있는 sns광고 디자인의 현황을 알아보고 홍보와 광고 디자인의 제작에 필요한 커리튤럼을 고려하여 대학에서의 진행할 교육의 중요한 부분과 현업에 사용되고 제작되어지는 현재의 방식을 도입하는 전략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현대 SNS마케팅 디자인은 홍보포스터, 카드뉴스, 배너 광고 등이며 광고와 접목된 콘텐츠와 다양한 형식으로 진화되고 있다. 의사소통하거나 정보를 공유하는 데 있어, 실시간 광고 제작물 작업의 중요성과 가성비 절약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현장에서는 질적 향상과 함께 빠른 속도의 제작 방식으로 바뀌어 나가는 상황이며, 현재에 와서는 대학 교육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SNS디자인 제작교육 개발 방안을 위한 졸업생 및 디자인 작업을 할 때, 산업현장에 나아갈 때 필요한 실시간 작업이 가능한 교육 부분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SNS 마케팅 디자인 인력 양성과 교육 방안에 대한 고려와 실무적인 의의를 가지고자 한다.

사회적 책임 활동 주제와 광고모델 및 메시지 소구방식에 따른 CSR광고 제작전략 (CSR Ad Strategy Based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me, Model and Message Appeal)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159-168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활동 광고를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광고모델 선정 전략을 중심으로 사회적 책임활동광고 제작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분석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책임활동 주제와 관계없이 모델의 가치부합성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경제 분야의 경우에는 모델의 신뢰성이 중요하며, 반면 환경 분야에서는 모델의 매력성이 더욱 중요하였다. 둘째, CSR 광고 제작자들이 CSR 광고모델을 연예인을 선정할 때는 가치부합성이 높은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인 반면, 전문가일 경우에는 가치부합성 뿐만 아니라 매력성과 신뢰성이 높은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셋째, 감성적 메시지를 활용하여 CSR광고를 제작할 때 광고모델의 가치부합성과 신뢰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한다. 반면, 정보적 메시지를 활용하여 CSR광고를 제작할 때 광고모델의 가치부합성과 매력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광고를 제작할 때 사회적 책임활동 주제와 광고모델의 이미지가 관련성이 높은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스포츠 영상 내에서 자동적인 가상 광고 삽입을 위한 다층퍼셉트론 기반의 저정보 영역 검출 (Low-Informative Region Detection based on Multi-Layer Perceptron for Automatical Insertion of Virtual Advertisement in Sports Image)

  • 정재영;김종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71-77
    • /
    • 2017
  • 가상광고는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스포츠영상과 같은 미디어제작영상에 제품의 이미지, 로고, 선전문구 등을 삽입하는 광고기법이다. 최근 영상처리 기술과 컴퓨터 성능의 상승으로 인해 스포츠영상에 가상광고를 삽입하기 위한 기술적인 요소가 충족되어 영상 내에 가상광고의 삽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자동적인 가상광고 삽입을 위한 영상 처리 기술이 가상광고 영역에서 중요한 연구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포츠 영상 내에서 자동적으로 가상광고를 삽입하기 위해 영상처리 기법과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저정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영상의 밝기 정도를 히스토그램을 통해 분석하고 기계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저정보 영역을 추출한다.

방송 외주제작 정책 관련 학술논문의 메타 분석 :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 발간된 논문을 중심으로 (A Meta-analysis of the Articles in Journals Related to TV Outsourcing Production Policy: Focused on the Treatise Published in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Governments)

  • 강승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89-298
    • /
    • 2019
  • 본고는 방송 외주제작 정책에 대한 학술적 관심을 재촉구하기 위해 보수적인 정치성향의 이명박·박근혜 정부 집권기간 동안에 발간된 45편의 학술논문을 메타 분석했다. 메타 분석은 연구대상 논문들을 발간연도, 학술지, 학문분야의 3개 항목으로 분류하고 연구주제, 목적, 문제, 대상, 방법(론), 결과의 6개 항목과 각 항목별 세부 유형으로 구분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두 정부에서 발간된 논문들(각 30편, 66.7%와 15편, 33.3%)은 방송 외주제작 정책을 통해 방송의 공공성을 강조하는 연구주제보다 영리를 우선시하는 홍보성 주제를 주로 채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영경제 및 산업, 광고 관련 연구주제를 다룬 논문들(18편, 40.0%)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두 정부가 방송, 미디어, 콘텐츠, 영상 등의 자율성이나 다양성보다 정권기조에 부합하는 연구 사업을 중점적으로 지원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표현에 있어 특수효과 사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me Examples of Special Effect in Digital Image)

  • 이은화;이규옥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51-60
    • /
    • 1999
  • 동영상의 출현 이래로 전자 영상 미디어의 보급은 정보의 확산 속도와 범위를 고속화, 대중화시키면서 새로운 영상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날로그가 갖은 화질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디지털 영상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본 논문은 이와 같이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환경에 있어, 디지털 편집과 특수효과 사례에 관한 고찰이라는 측면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이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영상에 있어서 아날로그와 디지털 기술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디지털 영상 편집에 대한 특성 및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현재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특수효과를 TV광고에서 찾아 분야별로 통계를 내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광고에 있어서 특수효과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효과적인 정보전달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었다. 손쉽게 효과를 낼 수 있는 2D의 특수효과가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2D에 비해 노력과 비용이 많이 드는 3D 기법이나 모션컴트를 카메라 등도 여러 방면으로 시도되고 잇었다. 앞으로는 TV 뿐 아니라, VR을 이용한 가상광고나 인터넷을 공간에서의 동영상 광고에 대한 대처도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디지털 만화 애니메이션의 발전과 교육 방안 (A Study on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Digital Cartoon and Animation)

  • 손영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19-225
    • /
    • 2006
  • 최근 디지털 문화 콘텐츠의 등장은 국내외적으로 문화에 대한 일대 전환을 가져왔고 그중 만화와 애니메이션은 가장 중요한 표현 매체의 하나가 되었다. 만화 애니메이션 산업은 영상과 캐릭터 관련사업의 영역뿐 만아니라 광고 관광 사업영역에까지 연계되는 커다란 파급효과를 가진 OSMU(One Source Multi User)의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만화 애니메이션의 발전과 교육 방안을 연구하였다. 먼저 디지털 만화의 정의와 유형, 만화 콘텐츠 제작 Work Flow를 살펴본 후, 디지털 만화 애니메이션의 개발동향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디지털 만화 애니메이션의 지원 정책과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힙합 뮤지션의 패션 스타일 연구 - 흑인 뮤지션 스타와 국내 힙합 뮤지션의 비교 연구 중심으로 - (Research on New Hip Hop Fashion of Glam Style - Focusing on Black Musician Star and Korean Hip Hop Musicians -)

  • 이인성;이순자;최보영;이민정;손이정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27-136
    • /
    • 2006
  • These researches discussed promotions and effectiveness in the area of star marketing production, copying, advertising, and expenditure on clothes. The thesis is refreshing in the way it deals with analysis of strategical changes in the fashion of entertainers asia cultural industry developed. I specially focused on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nges in style of Hip Hop fashion from the period of inferior culture to the period in which their fashion is highly respected. Also, I'd like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 fashion to Korean Hip Hop artists. The Hip Hop musicians developed their styles from underdog images of Hip Hop to glamourous and luxurious styles along with modeling in various magazines appealing sexually. In Korea, Seven and Hyori Lee are showing new and changed styl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past to their fans. The Hip Hop style now is showing with unimaginably luxurious styles as opposed to its original image. With their pursuance of ostentatious and luxurious styles Hip Hop was reborn as new Glam style. Old Hip Hop styles such as ripped jeans, safety pins, graffiti, and loose and exaggerated silhouette give inspirations to many worldly known designers and their collection. Hip Hop that used to be a branch of a low culture was able to grow to the culture of luxuries via the development the media and improvement of lives and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the middleclass. Music stars with luxurious Hip Hop fashion influenced coming of a new musical genre and Korean musicians largely. I hope this research can help developing the unique low-culture and creating new trend in the field of entertainers' fashion.

  • PDF

꿩고기 및 그 가공품(加工品)에 대한 시장성(市場性) 및 경영전략(經營戰略) (An Empirical Study on Pheasant Farm Business Strategies and Marketability of Pheasant Foods)

  • 오홍록;박종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27-139
    • /
    • 1991
  • 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mmend ways of more efficient pheasant farm business management and promoting the demand of pheasant foods by reviewing the current pheasant farm business management and the general pattern of consumption of pheasant fo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field survey covering 83 pheasant feeders and 283 consumers. 2. Majority of pheasant feeders, 86.8%(n=72), utilized broiler feed for pheasant rearing because of high price of exclusive pheasant feed. 3. In case of producing 1,000 heads of 5 month-old pheasant, the primary production cost per head was roughly calculated at about 5,530 Won. And 40.3% of primary production cost was consisted of feed cost and 12.9% was depreciation cost for facillities including artificial incubator equipments. 4. 81.1%(n=51) of whole surveyed feeders disposed of 1-4 week-old birds directly to the new feeders and 6%(n=6) sold them to the middlemen who were almost pioneering pheasant feeders. 5. 48.9%(n=138) of the surveyed consumer respondents have taken the pheasant foods once and several times, and the others never once. And 50.6%(n=69) of the respondents who had taken the pheasant foods were satisfied with the tastes. 6. The surveyed consumers were asked whether they knew the nutritional value of pheasant foods and 47.3(n=136) recognized it positively and 37.5%(n=106) negatively. 7. To increase the pheasant farm income and promote the demand of pheasant foods. followings are recommended. - Production cost should be reduced by cooperative utilization of facilities and equipments at farm level, and exclusive pheasant feed of good quility should be developed and supplied to the feeders at a low price. - Pheasant marketing and pricing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prevent consumers from price disorder of retail shop including pheasant food reataurants and to popularize the pheasant foods. - Various type of menu of pheasant foods should be developed not only to satisfy consumers in tastes but also to solve the seasonality of pheasant supply. But it is preferable that this action is led by pheasant feeders and their cooperative organization, espectially through vertical intergration system owned by pheasant feeders. - Generic, pioneering advertisement and promotion should be carried out to promote primary demend of pheasant foods. It would be preferable that these primary demend advertising and promoting activities shuld be sponsored by pheasant feeders and government together. And their activities should be supported by institutional regu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