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eld Citru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7초

노지감귤 단기 저장가능성에 대한 경제적 효과 검토 (An Economic Review on the Short-run Storability of Field Citrus in Jeju)

  • 안경아;문태완;김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392-402
    • /
    • 2018
  • 제주지역에서 대부분 생산되는 감귤류는 재배방식에 따라 노지에서 재배되는 온주감귤, 시설하우스에서 재배되는 온주감귤, 노지이지만 비가림 시설을 해서 재배되는 온주감귤 그리고 노지 온주감귤 보다 재배 시기가 늦고 품종도 다른 한라봉, 천혜향, 진지향 등 만감류로 구분된다. 만감류는 온주감귤 보다 맛 등 품질이 좋아 소비량이 꾸준히 증대되어 '90년 이후 최근까지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고, 비가림 감귤 재배도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더불어 당도개선 등 품질향상 효과가 있어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반해 2010년 이후 노지 감귤의 재배면적은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이 연구는 감귤류 중 생산비중이 높지만 지속해서 재배면적이 줄고 있는 노지 감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특히 수급 안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는 저장부문의 수급안정 기여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노지감귤 중장기 수급모형 추정 및 전망을 위해 노지감귤 개별 품목에 대한 부분균형모형을 구축하고 품목별 모형내 개별방정식은 계량경제학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생산량 저장 시나리오 분석 결과, 재배면적은 2027년 기준 감귤 생산량을 5% 저장했을 때 14.49ha, 10%인 경우 14.97ha, 15%인 경우 15.50ha에 이를 것으로 분석된다. 이 연구는 현재 산지에서 저장에 초점을 두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저장가능성에 대한 종합적인 기술적 및 경제적인 검토를 하고 있다는 데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다.

Changes in ${\beta}$-Cryptoxanthin Contents of Citrus unshiu Markovich Fruits Ripened in Greenhouse versus Open Field Cultivation

  • Heo, Ji-Man;Lee, Sam-Pin;Song, Kwan-Jeong;Kim, Chan-Shic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33-536
    • /
    • 2005
  • [ ${\beta}$-Cryptoxanthin ] contents were determined from Citrus unshiu Markovich fruits grown in a greenhouse and open field of Jeju Island,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n a greenhouse and open field, the ${\beta}$-cryptoxanthin content in the peel was greatly increased by harvesting citrus fruits in the late season from August through November. However, ${\beta}$-cryptoxanthin content in the flesh was gradually increased and was superior to that of the citrus fruits grown in a greenhouse. ${\beta}$-Cryptoxanthin was efficiently purified from the flesh of citrus fruits harvested in the late harvesting season in November. The ${\beta}$-cryptoxanthin contents in the peel and flesh of citrus fruits harvested from a greenhouse in November were 0.89 mg% and 0.35 mg%, respectively, and in that obtained from an open field were 1.12 mg% and 0.35 mg%, respectively.

A Field Deployable Real-Time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Targeting Five Copy nrdB Gene for the Detection of 'Candidatus Liberibacter asiaticus' in Citrus

  • Tirumalareddy Danda;Jong-Won Park;Kimberly L. Timmons;Mamoudou Setamou;Eliezer S. Louzada;Madhurababu Kunt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4호
    • /
    • pp.309-318
    • /
    • 2023
  • Huanglongbing (HLB) is one of the most destructive diseases in citrus, which imperils the sustainability of citriculture worldwide. The presumed causal agent of HLB, 'Candidatus Liberibacter asiaticus' (CLas) is a non-culturable phloem-limited α-proteobacterium transmitted by Asian citrus psyllids (ACP, Diaphorina citri Kuwayama). A widely adopted method for HLB diagnosis is based on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Although HLB diagnostic qPCR provides high sensitivity and good reproducibility, it is limited by time-consuming DNA preparation from plant tissue or ACP and the requirement of proper lab instruments including a thermal cycler to conduct qPCR. In an attempt to develop a quick assay that can be deployed in the field for CLas detection, we developed a real-time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rt-LAMP) assay by targeting the CLas five copy nrdB gene. The rt-LAMP assay using various plant sample types and psyllids successfully detected the nrdB target as low as ~2.6 Log10 copies. Although the rt-LAMP assay was less sensitive than laboratory-based qPCR (detection limit ~10 copies), the data obtained with citrus leaf and bark and ACP showed that the rt-LAMP assay has >96% CLas detection rate, compared to that of laboratory-based qPCR. However, the CLas detection rate in fibrous roo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qPCR due to low CLas titer in some root DNA sample. We also demonstrated that the rt-LAMP assay can be used with a crude leaf DNA extract which is fully deployable in the field for quick and reliable HLB screening.

항균활성 식물근권세균 전 처리에 의한 감귤 궤양병 억제 (Suppression of Citrus Canker by Pretreatment with Rhizobacterial Strains Showing Antibacterial Activity)

  • 양지순;강소영;전용철
    • 식물병연구
    • /
    • 제20권2호
    • /
    • pp.101-106
    • /
    • 2014
  • 감귤 궤양병은 Xanthomonas citri subsp. citri (Xcc)에 의해 발생하는 감귤에서 매우 중요한 병 중에 하나이다. 비록 한국에서 대부분 재배되는 감귤인 온주밀감은 감귤 궤양병에 대해 중도저항성이긴 하지만 지난 10년전 이래로 자주 발생되었다. 감귤에서 다른 병과 마찬가지로 감귤 궤양병도 포장에서 주로 화학농약에 의해 방제되고 있다. 농약의 부작용으로 인해 최근 다른 방제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Xcc에 직접적인 항균 활성이 있는 식물근권세균 TRH423-3, MRL408-3, THJ609-3, TRH415-2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식물근권세균을 감귤 잎에 전 처리하였더니 감귤 궤양병균을 접종한 후 병 발생이 억제되었다. 유사하게, 포장 실험에서도 선발된 식물근권세균을 여러 차례 살포한 감귤나무에서 무처리한 나무에 비해 병이 적게 진전 되었다. 따라서 선발된 식물근권세균이 친환경 감귤농가에서 대체 수단으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중 FTA 체결에 따른 제주 노지감귤 파급영향 분석 (An Analysis on Impact of Jeju Field Citrus Industry by FTA between Korea and China)

  • 고성보;김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838-844
    • /
    • 2014
  • 이 연구는 한 중 FTA의 체결이 추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 중 FTA가 제주 노지감귤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계측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존의 연구는 한 중 FTA가 전체 감귤산업에 미치는 파급영향을 총생산액 변화만으로 파악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제주 감귤산업중 재배비중이 가장 높은 노지감귤에 대한 파급영향을 별도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노지감귤 수급균형모형을 구축하고, 한 중 FTA 타결에 따른 감귤류 시장개방 방식을 몇가지 시나리오로 분류하여 각 시나리오별 파급영향을 계측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 중 FTA 발효(2014년 가정) 이후 전체 제주 노지감귤 산업의 생산액은 관세 15년 철폐의 경우, 총 4,407억원 수준이 감소하는 것으로 계측되었다.

풋귤 수요증대가 제주 노지감귤 산업에 미치는 파급영향 (Economic Impacts of the increase in Green Immature Citrus Demand on Jeju Field Citrus Industry)

  • 김화년;고성보;김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08-114
    • /
    • 2021
  • 풋귤은 노지온주 감귤의 미숙과로 최근 카로티노이드, 펙틴, 비타민 C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제주지역에서 2월에서 녹색이다가 3-4월 노란색으로 착색되는 재래종 청귤품종과는 구분된다. 이 연구는 노지감귤 미숙과인 풋귤의 수요증대가 노지감귤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1989-2017년 노지감귤 수급자료를 이용하여 노지감귤 부분 수급모형을 구축하였다. 수급모형은 노지감귤 부분에 대한 수급균형모형으로 풋귤 수요확대에 따른 파급영향 계측을 위해 동태 축차적인 구조로 구성하였다. 구축된 수급모형에 대한 수급 예측력 검토를 시행하였고, 최종 모형을 이용하여 2018-2030년에 대한 풋귤 수요확대에 따른 파급영향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시뮬레이션 분석결과, 풋귤 수요확대에 따라 노지감귤 재배면적이 초기에는 2022년까지 생산부문에 대한 영향에 큰 변화가 없으나 2023년 18ha, 2025년 52ha, 2030년 142ha의 재배면적이 증대되고, 2021-2030년 연평균 약 77.5억원의 조수입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계측되었다.

한·미 FTA 체결 이후 감귤산업 영향 평가 (An Ex-post Impact Assessment of the KOR-USA Free Trade Agreement on the Korean Citrus Industry)

  • 김배성;김만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38-545
    • /
    • 2020
  • 한미 FTA 체결 이후 미국산 오렌지의 지속적인 수입증가에 따른 국내 감귤산업 파급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 연구는 한미 FTA 발효 이후 2012-2017년 동안의 감귤산업의 변화를 계측하고, 한미 FTA 도입이 감귤산업에 미치는 사후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분석을 위해 감귤류를 노지감귤, 하우스감귤, 만감류 부문으로 구분하고, 각 부문별 수급균형모형을 구축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에 이용하였다. 각 부문내 주요 방정식들은 응용계량경제학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고, 각 부문별 수급구조모형은 동태축차적 시뮬레이션모형으로 구축하여 2012-2017년 동안에 대해 연차별로 정책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각 모형은 작물연도를 기준으로 구축되었고, 해당 시기에 수입되는 오렌지, 체리 등에 수입산 대체가능 작물에 대한 효과를 고려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시뮬레이션 분석에 앞서 각 부문별 모형에 대한 예측력을 RMSPE, MAPE, Theil의 불균등계수 등을 기준으로 검토하였다. MAPE 기준으로 노지감귤, 하우스감귤, 만감류의 재배면적 1-7%, 생산량 5-9%, 소비량 5-10%, 경락가격 5-10% 내외의 오차율을 보여, 각 부문별 모형의 주요 변수에 대한 추정치들의 예측력이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예측력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미 FTA 발효 이후 2012-2017년 연평균 조수입(실질)이 노지감귤 23.9억 원, 하우스감귤 30.1억원, 만감류 151.1억 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논문은 기존에 2018년 정부부문(KREI)에서 실시한 영향평가방법 및 결과의 차이점을 비교 검토하고 해석시 유의사항 및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고 있다.

First Report of Citrus Scab on Trifoliate Orange (Poncirus trifoliata)

  • Choi, Cheol Woo;Hyun, Jae Wook;Hwang, Rok Yeon;Park, Jae Sin;Jung, Kyung Eun
    • 식물병연구
    • /
    • 제26권1호
    • /
    • pp.57-60
    • /
    • 2020
  • Citrus scab symptoms were observed on leaves of trifoliate orange (Poncirus trifoliata) in open field of Citru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Typical scab pustules were formed and they were elevated protuberances form and light brown to grey. The pathogens were isolated from the symptomatic leaves and then were identified to Elsinoë fawcettii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athogenicity and PCR assa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onies formed very slow-growing, pulvinate, or raised and deeply fissured, gummy to mucoid or tomentose colonies on potato dextrose agar medium. The pathogens were pathogenic to leaves of Satsuma mandarin, lemon, sour orange and grapefruit with typical scab symptoms. In PCR assay, specific amplified of products of 717 bp with Efaw-1 and 384 bp with Efaw-2 were observed from trifoliate isolates and E. fawcettii as reference but not from E. australis. This is first report of trifoliate orange being positive for citrus scab disease.

미국 탄저린 수입이 감귤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의 시뮬레이션 분석 (A Simulation Analysis on the Economic Impact of U.S. Tangerine Importing in the Korean Citrus Industry)

  • 김배성;김화년;김만근;고성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03-311
    • /
    • 2020
  • 미국의 탄저린 감귤귤 재배면적은 2009년 19,000ha에서 2016년 27,000ha로 급격히 증가하여 7년 동안 42% 증가했다. 최근 일본으로의 수출이 급증함에 따라 향후 약 6 ~7천 톤의 수출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연구의 목적은 미국 탄저린 수입이 감귤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는데 있다. 미국 탄저린감귤의 수입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미국 감귤이 수입된 적인 없기 때문에 미국 탄저린 감귤의 일본 수출 단가가 사용되었다. 감귤류는 재배 방법과 품종에 따라 노지감귤, 하우스감귤, 한라봉 등 만감류(월동 온주 포함)로 분류하였다. 노지와 하우스감귤의 생산시즌을 고려해 보면, 미국 탄저리감귤의 수입량은 2021년 약 4,700 톤에서 2027년에는 10,000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탄저린감귤의 수입은 국내산 노지와 하우스감귤의 생산량과 품질뿐만 아니라 미국산 탄저린감귤의 생산량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그렇지만, 미국 탄저린감귤의 관세율이 50% 이하로 떨어지는 2021년 이후에는 수입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소규모 감귤원에서 네눈쑥가지나방 유충의 공간분포 특성에 대한 이해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Ascotis selenaria (Lepidoptera: Geometridae) larvae in a Small-Scale of Citrus Orchard)

  • 최경산;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43-248
    • /
    • 2013
  • 본 연구는 네눈쑥가지나방 유충의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산란처와 관련된 유충의 감귤원 내로 정착과정을 이해하고자 실시하였다. 노지와 하우스 모두 감귤나무에서는 알이 발견되지 않았고, 부지화 시설재배 하우스의 방충망에서 발견되었다. 시설재배 부지화에서 네눈쑥가지나방 유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집중분포를 보였다. 온주밀감 노지재배원에서 분산지수(ID)는 전체적으로 1.0내외로 약한 집중 정도를 나타냈다. 하지만, 검정통계량인 d-값은 대부분 조사일에 -1.96에서 1.96 사이에 있어 임의분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집중정도를 나타내는 GI 지수는 전체적으로 낮아 집중정도가 약하였으며, 집중분포로 검정된 경우에도 집중정도는 크지 않았다. 네눈쑥가지나방 유충수의 빈도분포는 포아송(임의분포)과 음이항 분포(집중분포)를 동시 만족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유충 공간분포의 시간적 변화는 초기 정착지점에서 분산하는 양상이 아니라 무작위로 외부로부터 비산하여 새로 정착되는 양상을 보였다. 기타 시설과 노지감귤원에서 네눈쑥가지나방 유충 공간분포 양상의 차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