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roblastic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1초

UIP 환자에서 측정된 Fibroblastic Foci량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The Prognostic Value of Fibroblastic Foci Quantity in Patients with Usual Interstitial Pneumonia)

  • 박성우;이영목;이준혁;김기업;김도진;어수택;김용훈;박춘식;김현조;염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6호
    • /
    • pp.540-549
    • /
    • 2001
  • 연구배경 : 특발성 폐섬유화증 중 통상성 간질성 폐렴(Usual interstitial pneumonia)은 대부분 진행성으로 악화되는 매우 나쁜 질환이다. 조직학적으로 볼 때 상피하에 흩어져서 존재하는 fibroblastic foci에서 콜라겐 합성을 통한 폐 섬유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fibroblastic foci와 폐기능을 포함한 임상적 지표 및 예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개흉 또는 흉강경을 통한 폐 생겸검사로 진단된 20명(남:여 13:7)을 대상으로 하여 폐 조직에서 fibroblastic foci의 양을 정량화 하였다. 결 과 : 1) Fibroblastic foci 양과, 폐기능검사, 동맥혈가스검사($AaDO_2$)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기관지폐포 세척검사의 세포분획중 호중구 비율과는 의미있는 비례관계(p<0.05)가 있었다. 2) Fibroblastic foci/vol을 0.2를 기준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간의 생존률, 폐기능검사, 기관판지폐포 세척검사의 세포분획비율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기판지폐포세척액의 호중구비율이 fibroblastic foci가 많은 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5), 생존율, 폐기능점사등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fibroblasic foci가 UIP 환자의 예후 및 질환의 활성도를 나타내주는 지표로는 확실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며, 추가로 좀더 많은 자료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Lymphotoxin β 수용체를 통한 fibroblastic reticular cell의 stress fiber 변화와 myosin의 연관성 (Alteration of Stress Fiber in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via Lymphotoxin β Receptor Stimulation is Associated with Myosin)

  • 김민환;김연희;최우봉;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85-593
    • /
    • 2015
  • Stress fiber (SF) 변화는 세포외부의 결합인자와 세포 수용체와 결합후 리모델링을 위해 액틴골격에 신호를 전달하며 일어난다. 이 연관은 결합장소에서 기계적 활동과 신호전달활동을 조절하는 다양한 스케폴드들과 신호 전달자에 의해 매게된다. Heterotrimeric transmembrane lymphotoxin α1β2 (LTα1β2)는 용해성 homotrimeric LT α를 포함하는 tumor necrosis factor (TNF) 계로 림프조직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LTα1β2와 LTβR의 결합은 fibroblastic reticular cell (FRC)에서 신호전달을 촉발한다. Agonistic anti-LTβR antibody 단독 혹은 LTα 그리고 TNFα의 조합으로 LTβR 자극은 세포의 액틴과 형태적 변화를 보았다. Agonistic anti-LTβR antibody의 FRC에서 작용을 통한 세포골격 재배열이 myosin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위해 myosin light chain kinase (MLCK)의 저해제인 ML-7과 myosin light chains (MLC)와 myosin phosphatase target subunit 1 (MYPT1)의 인산화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MLCK 저해는 액틴 세포골격 재배열과 세포형태 변화를 유도하였다. 또한, MLC와 MYPT1인산화가 LTβR 자극에 의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DNA chip 분석은 myosin and actin 구성선분이 전사체 수준에서도 줄어드는 것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LTβR 자극은 FRC에서 SF변화는 myosin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림프절 유래 fibroblastic reticular cell의 효율적 항원처리 관련성에 대한 연구 (Fibroblastic Reticular Cell Derived from Lymph Node Is Involved in the Assistance of Antigen Process)

  • 김민환;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27-1032
    • /
    • 2016
  • 항원은 병원체로부터 유래한 질병인자다. 생명체는 항원에 대항하는 방어계인 면역계를 가지고 있다. 항원은 식세포작용, 항체, 보체 활성화, NK세포 혹은 MHC 분자를 통한 세포독성 T세포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처리된다. 림프절은 스트로마세포와 3차원 네트워크를 통해서 구성되어 있다.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FRC)는 림프절 T zone에서 T세포와 상호작용한다. FRC는 세포외 기질 생산과 homing 케모카인을 생산하여 감염에 대비한다. 하지만, FRC가 항원처리과정에 관련되어있다는 보고는 없다. 본 연구는 FRC의 항원처리 관련성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FRC는 대식세포, T세포, LPS, 그리고 TNFα와 같은 다양한 감염상황에 노출시켜 연구를 진행하였다. FRC가 대식세포 및 T세포와 공배양 했을 때 FRC가 형태적 변화와 FRC간 빈 공간 형성이 관찰 되었다. MMP 활성은 Y27632와 T세포에 의해 조절 되었다. 더욱이, 염증물질인 TNFα를 FRC에 처리 후 마이크로어레이를 통한 결과에서 부착분자와 MHC I antigen transporter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RC 단일층에 LPS와 대식 세포를 공배양 했을 때 NO 생성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GFP antigen을 FRC와 대식세포 공배양군에 처리 했을 때 항원 흡수율이 증가되었다. 이러 결과는 FRC가 항원처리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림프절이 항원처리과정에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림프절 스트로마 유래 fibroblastic reticular cell의 면역조절 기능에 대한 특성 규명 (Characterization of the Immune Regulation Function of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Originating from Lymph Node Stroma)

  • 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789-795
    • /
    • 2016
  • 림프절은 이차성 면역기관중 하나이다. 림프절은 복잡한 3차원적 뼈대 구조물과 스트로마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FRC)는 T세포와 상호작용을 위해 T zone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세포이다. FRC는 CCL21, CCL19같은 홍밍유도 케모카인을 분비하거나 감염에 대비하여 림프절 세포외기질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FRC가 직접 면역반응에 관여하는지에 대하여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면역반응에 대한 FRC의 특성 규명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FRC와 대식세포의 공배양, lipopolysaccharide (LPS), TNFα 자극에 노출시켜 반응성을 조사하였다. FRC와 대식세포를 공배양 하였을 때 FRC의 형태적 변화가 유도 되었고 이로 인해 FRC가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용해성 ICAM-1 (sICAM-1)의 발현량이 대식세포와 ROCK 저해제, Y27632를 처리 했을 경우 증가하는 것을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활성이 LPS를 처리한 FRC에서 반응시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세포외기질에 대하여 염증물질인 TNFα를 처리 했을 경우 조절되는 것을 gene chip assay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FRC가 면역반응에 직접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림프절 스트로마도 면역반응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림프절 스토로마 내의 fibroblastic reticular cell의 기능 이해 (Functional Understating of Fibroblastic Reticular Cell within Lymph Node Stroma)

  • 소득원;류설화;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409-1414
    • /
    • 2013
  • 림프절은 체내로 침입한 병원체에 반응하여 성숙한 림프구들이 활성화 되는 곳이다. 림프구들은 스트로마의 구조적 뼈대를 따라 동계항원을 제시하고 있는 항원제시세포의 표면을 탐색한다. Fibroblastic reticular cells(FRC)는 림프절 T zone에서 3차원구조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관여하는 스트로마 세포로 유입되는 T 림프구들에 대한 안내길을 제공한다. 이런 상호 협력적인 환경에서 FRC와 T세포의 양방향적 관계는 림프절의 정상적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이다. FRC는 물리적으로 림프절 조형물을 형성 할 뿐만 아니라 T세포 생물학적 기능조절에도 필수적이다. FRC는 T 림프구와 상호 반응하며 T세포에 발판을 제공하고 T세포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용해성 인자들을 방출한다. 최근에는 FRC는 말초에서 자기 관용 T세포 생성에도 관여하며 림프절에서 활성화된 T세포 분열을 조절하는데도 관여하고 있다. 따라서, FRC와 T세포 상호간 협력은 림프절에서 T세포기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결과를 야기한다. 더욱이, FRC는 염증 상황에서 항생펩타이드, 보체 등의 분비를 통한 선천성 면역에도 중요한 역할도 한다. 결론적으로 FRC와 T세포 상호간에 T세포 생물학적 효능을 증대를 위해 양방향성 접촉을 하며 이러한 상호 협력적 피드백은 면역반응 동안 조직기능 유지를 돕게 된다.

Myxoinflammatory Fibroblastic Sarcoma in the Chest Wall

  • Narm, Kyoung-Shik;Park, In-Kyu;Bae, Mi-Kyung;Kim, Gi-Je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5권1호
    • /
    • pp.65-68
    • /
    • 2012
  • Myxoinflammatory fibroblastic sarcoma (MIFS) is a recently defined rare tumor. It is mainly found in th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of adults. Due to its high local recurrence rate and low metastatic rate, it is classified as a low grade-malignancy. Accurate diagnosis and early, wide excision are important for prognosis. Herein, we report a case of MIFS in a 35-year-old male patient that presented in an unusual location, the left chest wall.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ed case of MIFS in Korea and the second case to be reported within the global scientific literature involving the chest wall.

Autoimmune regulator gene (Aire)의 마우스 림프절 FRC세포, BLS4에서 발현 (Autoimmune Regulator Gene (Aire) is Expressed in Lymph Node Fibroblastic Reticular Cell, BLS4)

  • 문경미;서희주;오지윤;이재설;김해영;김정환;최우봉;김병우;김광현;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70-675
    • /
    • 2010
  • Autoimmune regulator gene (Aire)는 흉선에서 발현되며 promiscuous genes으로 알려진 흉선에서 자가항원 발현을 조절한다. Aire 와 promiscuous genes은 흉선에서 T세포 tolerance와 자가면역에 관여한다. 말초 조직 즉 림프절에서 Aire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림프절 구성 세포중 하나인 fibroblastic reticular cell (FRC)을 분리 확립하였다. 마우스 림프절로부터 분리된 FRC에서 Aire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또한 promiscuous antigen인 insulin의 발현도 확인하였다. Aire 과발현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 후 배양 FRC에서 Insulin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이것은 Aire가 FRC에서 promiscuous gene의 발현을 조절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peripheral selection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T세포와 양방향 작용을 통한 마우스 림프절로부터 분리된 fibroblastic reticular cell의 기능적 분석 (Functional Analysis of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Derived from Mouse Lymph Node via Bidirectional Crosstalk with T Cells)

  • 박성희;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0호
    • /
    • pp.1199-1208
    • /
    • 2013
  •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FRC)는 림프절 T세포 지역에 구조적 골격 형성을 하며 유입 T 세포의 안내길을 제공한다. FRC는 림프절에서 T세포 생물학 발달에 기여한다. 따라서, 이것이 FRC와 T세포 사이에서 FRC의 세포생물학적 근본 기능을 알아보게 하였다. FRC 배양 상등액은 T세포 사멸을 저해하였다. FRC 상등액은 doxorubicin에 대하여 T세포에 Bcl-xL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FRC와 T세포의 공배양은 FRC의 액틴 골격의 변화와 형태적 변화를 유도하였다. 또한, FRC와 T세포의 공배양은 T 세포가 FRC 단일층에 부착하는 결과를 유도하였고 막결합형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ICAM)-1 단백질의 발현은 약간 증가한 반면 용해성 ICAM-1 (sICAM-1) 발현은 시간 의존적으로 드라마틱하게 증가하였다. FRC는 T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tumor necrosis factor (TNF) 패밀리들에 의해 CCL5, CXCL1, CXCL5, CXCL16, CCL8, CXCL13와 같은 케모카인들과 ICAM-1 그리고 MMPs의 발현량을 증가시켰다. $TNF{\alpha}$가 FRC에 처리 되었을때 $NF{\kappa}B$ canonical pathway의 RelA는 핵으로 전좌 되었지만, agonistic anti-$LT{\beta}R$ antibody로 처리된 FRC에서 non-canonical $NF{\kappa}B$ pathway의 RelB의 카운터 파트너인 p100의 분해산물 p52는 핵주변부로 축적되었다. 결론적으로 FRC는 FRC와 T세포 양방향 협력을 통해 T세포 생물학적 기능을 증진한다. 이러한 상호협력 관계는 면역반응 동안 조직의 통합성과 기능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FRC에서 Lymphotoxin β receptor의 자극은 MLCK와 ROCK의 이중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stress fiber 변화에 관여 (Signals of MLCK and ROCK Pathways Triggered via Lymphotoxin β Receptor are Involved in Stress Fiber Change of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 김대식;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6-264
    • /
    • 2019
  • Lymphotoxin ${\beta}$ receptor ($LT{\beta}R$)는 TNF 계열로 림프조직의 미세구조와 기관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MLCK와 ROCK는 세포의 stress fiber 형성조절에 관여하는 주요 신호전달자이다. Fibroblastic reticular cell (FRC)에서 $LT{\beta}R$ 자극을 통한 이런 신호전달자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ML-7 (MLCK 저해제)이 사용되었다. ML7 처리된 FRC에서 SF가 완전히 파괴되었고 anti-$LT{\beta}R$ antibody 처리 세포와 유사하게 ML7 처리 FRC에서 응축된 세포형태를 관찰 할 수 있었다. Y27632로 ROCK를 저해 했을 때 FRC의 액틴 세포골격과 세포형태 변화가 유도 되었다. FRC에서 p-MLC가 액틴과 함께 SF 구성성분을 이루었다. FRC세포 추출물로 Rho-guanosine diphosphate (GDP)/guanosine triphosphate (GTP) 교환활성을 확인했다. Agonistic anti-$LT{\beta}R$ antibody로 $LT{\beta}R$을 자극 했을 때 Rho-GDP/GTP 교환활성이 크게 감소했다. MLCK 저해처럼 $LT{\beta}R$ 자극은 MLC의 인산화를 감소시켰다. Agonistic anti-$LT{\beta}R$ antibody-treated FRC에서 세포골격 구성요소인 세포막과 세포골격 링커 역할을 하는 p-ezrin의 인산화는 감소 되었고 b- actin, 그리고 tubulin 발현도 줄었다. 이런 결과는 FRC의 $LT{\beta}R$ 신호전달을 통한 SF 조절에는 MLCK와 ROCK가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림프절 스트로마 유래 Fibroblastic Reticular Cell의 면역학적 위치 (The Immunological Position of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Derived From Lymph Node Stroma)

  • 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56-364
    • /
    • 2024
  • 림프절은 인체에 침입한 감염원에 대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곳이다. 림프절은 스트로마세포에 의해 뚜렷하게 구획화되어 있다. 스트로마세포들은 면역세포의 이동, 활성화, 분화를 야기하기 위해 상호작용을 위해 미세환경을 제공한다. FRC는 림프절의 T zone에서 3차원 구조물을 형성하여 면역세포의 통로를 제공한다. FRC는 림프절 구조, 면역세포 리쿠르트, 면역세포와의 상호작용, 항원제시 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염증반응 동안, FRC는 면역세포들의 면역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국부적이며 분비성 물질을 통해 면역반응을 조절하고 있다. 본문 면역반응 조절을 위해 FRC가 면역반응의 setup, support 그리고 suppress 단계로 3부분에 관여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전체적으로 FRC는 T 세포생물학적 효율성 증대를 위해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FRC는 식작용을 통해 선천성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FRC는 림프절에서 면역반응의 immune gate-keepers로써 위치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 FRC는 선천성면역과 적응면역의 조절기능에 대한 내용으로 설명하다. 이러한 협력적 피드백 루프는 염증반응 동안 림프절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