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ature Feedback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4초

특징되먹임을 이용한 패턴인식 : 특징마스크 검증을 통한 특징되먹임 성능분석 (Pattern Recognition using Feature Feedback : Performance Evaluation for Feature Mask)

  • 김수현;최상일;배성한;이영대;정구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79-18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특징 되먹임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위해 특징되먹임 알고리즘의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특징마스크를 검증한다. 특징 되먹임 기반 패턴 인식 방법은 PCALDA로 추출된 특징을 원 영역으로 역사상하여 인식에 중요한 부분을 추출하는 기법이다. 추출된 특징은 특징마스크의 형태로 원 영역으로 역사상 되므로, 특징마스크의 특징성능 검증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Yale data 기반의 얼굴 인식에서 특징마스크를 검출하여 특징마스크에 따른 인식률 변화를 고찰하고 검출된 특징마스크의 성능을 검증한다.

PCA 기반 특징 되먹임을 이용한 중요 영역 추출 (Extraction of Important Areas Using Feature Feedback Based on PCA)

  • 이승현;김도연;최상일;정구민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461-46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손글씨 숫자 데이터셋, 얼굴 데이터셋의 중요영역 추출을 위한 PCA 기반의 특징되먹임방법을 제안한다. 이전의 LDA 기반의 특징되먹임 방법을 확장하여 PCA 기반 특징되먹임 방법이 제안된다. 제안된 방법에서 데이터에 차원 축소 머신러닝 알고리듬 중 하나인 PCA 기법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중요한 특징 차원들로 축소한다. 차원 축소과정에서 도출되는 weight를 통해 축소된 각 차원 축에서의 데이터 중요 지점을 확인한다. 각 차원 축은 축의 고유값의 크기에 따라 전체 데이터에서의 가중치가 다르다. 이에 각 차원 축의 고유값의 크기에 비례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차원 축에서의 데이터 중요 지점을 합하는 연산 과정을 거친다. 연산 과정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에 Threshold를 적용하여 데이터의 중요 영역을 구한다. 그 후 도출된 데이터의 중요 영역에 원본데이터로 역매핑을 유도하여 원본 데이터 공간에서 중요영역을 선택한다. MNIST 데이터셋에 대한 실험 결과를 확인하고 기존의 LDA 기반의 특징되먹임 방법을 통한 결과와 비교를 하여 PCA기반 특징되먹임을 기반한 패턴 인식 방법의 유효성과 가능성을 확인한다.

Robust Control of Robot Manipulators using Vision Systems

  • 이영찬;지민석;이강웅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62-170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bust controller for trajectory control of n-link robot manipulators using feature based on visual feedback. In order to reduce tracking error of the robot manipulator due to parametric uncertainties, integral action is included in the dynamic control part of the inner control loop. The desired trajectory for tracking is generated from feature extraction by the camera mounted on the end effector. The stability of the robust state feedback control system is shown by the Lyapunov method.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on a 5-link robot manipulator with two degree of freedom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good tracking performance.

  • PDF

Content Based Image Retrieval Using Combined Features of Shape, Color and Relevance Feedback

  • Mussarat, Yasmin;Muhammad, Sharif;Sajjad, Mohsin;Isma, Irum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12호
    • /
    • pp.3149-3165
    • /
    • 2013
  • Content based image retrieval is increasingly gaining popularity among image repository systems as images are a big source of digital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Identification of image content is done through feature extraction which is the key operation for a successful content based image retrieval system. In this paper content based image retrieval system has been developed by adopting a strategy of combining multiple features of shape, color and relevance feedback. Shape is served as a primary operation to identify images whereas color and relevance feedback have been used as supporting features to make the system more efficient and accurate. Shape features are estimated through second derivative, least square polynomial and shapes coding methods. Color is estimated through max-min mean of neighborhood intensities. A new technique has been introduced for relevance feedback without bothering the user.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Based on Relevance Feedback and Reinforcement Learning for Medical Images

  • Lakdashti, Abolfazl;Ajorloo, Hossein
    • ETRI Journal
    • /
    • 제33권2호
    • /
    • pp.240-250
    • /
    • 2011
  • To enable a relevance feedback paradigm to evolve itself by users' feedback, a reinforcement learning method is proposed. The feature space of the medical images is partition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hypercubes by the system. Each hypercube constitutes an individual in a genetic algorithm infrastructure. The rules take recombination and mutation operators to make new rules for better exploring the feature space. The effectiveness of the rules is checked by a scoring method by which the ineffective rules will be omitted gradually and the effective ones survive. Our experiments on a set of 10,004 images from the IRMA database show that the proposed approach can better describe the semantic content of images for image retrieval with respect to other existing approaches in the literature.

피드백을 고려한 포트폴리오 평가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자연과 수업에 대한 고찰 -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자연과 단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f Portfolio Assessment regarding Feedback fitted into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 박희묵;백성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9권2호
    • /
    • pp.43-56
    • /
    • 2000
  • Main feature of portfolio assessments is the integration between assessment and instruction. Based on this feature, we developed portfolio assessment regarding feedback fitted into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The portfolio assessment model is consisted with three steps; the plan of assessment, the practice of portfolio assessment, and the application of assessment result. In the last step, feedbacks of the assessment result were represented to students. From this model, we inspect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 PDF

관련성 피드백을 이용한 효과적인 내용기반 영상검색 (Effective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Relevance feedback)

  • 손재곤;김남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제14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69-672
    • /
    • 2001
  • We propose an efficient algorithm for an interactive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relevance feedback. In the proposed algorithm, a new query feature vector first is yielded from the average feature vector of the relevant images that is fed back from the result images of the previous retrieval. Each component weight of a feature vector is computed from an inverse of standard deviation for each component of the relevant images. The updated feature vector of the query and the component weights are used in the iterative retrieval process. In addition, the irrelevant images are excluded from object images in the next iteration to obtain additional performance improvement. In order to evaluate the retrieva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experiment for three image databases, that is, Corel, Vistex, and Ultra databases. We have chosen wavelet moments, BDIP and BVLC, and MFS as features representing the visual content of an imag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yields large precision improvement.

  • PDF

특징점이 Field of View를 벗어나지 않는 새로운 Visual Servoing 기법 (A Novel Visual Servoing Approach For Keeping Feature Points Within The Field-of-View)

  • 박도환;염준형;박노용;하인중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22-324
    • /
    • 2007
  • In this paper, an eye-in-hand visual servoing strategy for keeping feature points within the FOV(field-of-view) is proposed. We first specify the FOV constraint which must be satisfied to keep the feature points within the FOV. It is expressed as the inequality relationship between (i) the LOS(jine-of-sight) angles of the center of the feature points from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and (ii)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camera. We then design a nonlinear feedback controller which decouples linearly the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control loops. Finally, we show that appropriate choice of the controller gains assures to satisfy the FOV constraint. The main advantage of our approach over the previous ones is that the trajectory of the camera is smooth and circular-like. Furthermore, ours can be applied to the large camera displacement problem.

  • PDF

가변적인 길이의 특성 정보를 지원하는 특성 가중치 조정 기법 (A Feature Re-weighting Approach for the Non-Metric Feature Space)

  • ;김상희;박호현;이석룡;정진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4호
    • /
    • pp.372-383
    • /
    • 2006
  • 이미지 데이타베이스 분야에 대한 다양한 기법들 가운데, 내용 기반 영상 검색 기법 (Content Based Image Retrieval)은 대용량의 영상을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내용 기반 영상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 이미지에서 낮은 레벨의 특성 (low-level feature)을 추출하고 그에 기반하여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유사한 영상을 검색한다. 하지만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낮은 레벨의 특성은 실제 인간이 영상을 인식하는 방법과 다르게 영상을 인식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각 특성에 대한 가중치를 적합성 피드백 (relevance feedback)을 통하여 재조정하는 기법이 개발되었다. 기존의 특성 가중치 조정 (feature re-weighting) 기법은 모든 영상에 대하여 특성은 항상 고정된 길이의 벡터 데이타로 표현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을 전제로 하여 기존의 기법은 특성 표현 (feature representation)의 각 부분을 n 차원 공간의 각 축에 할당한다. 하지만 특성 표현 기법의 발전에 따라 가변적인 길이의 벡터로 표현되는 특성이 출현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기존의 제한된 길이의 벡터로 표현되는 특성 표현에 기반한 특성 가중치 조정 기법의 유효성은 감소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가변적인 크기의 벡터로 표현되는 특성에 대해서도 특성 가중치를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기법은 특성에 기반하여 계산된 질의 영상과 데이타베이스 내부의 영상간의 거리와 양방향 신뢰구간을 이용하여 특성 가중치를 조정한다. 이 때 각 특성의 거리 계산 방법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각 특성의 표현에 있어서도 고정적인 크기뿐만이 아니라 가변적인 크기의 데이타 역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기법의 유효성을 입증하였으며, 다른 연구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한 기법의 성능이 보다 우수함을 보였다.

Synthetic feedback information construction to control a Networked Robot

  • Hong, Soon-Hyuk;Jeon, Jae-Wook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107.6-107
    • /
    • 2002
  • $\textbullet$ An autonomous mobile robot was controlled through the Internet. $\textbullet$ For the direct control, the feedback data should be provided properly. $\textbullet$ Therefore, an efficient communication scheme should be defined. $\textbullet$ To overcome the transmission delay, the highly abstracted message format was used. $\textbullet$ As the feedback data, the real image sequences may suffer the transmission delay or loss of content. $\textbullet$ To resolve this, the feature information was used to construct the synthetic feedback information. $\textbullet$ By doing this, the operator could feel the hands-on control with an Internet-based robo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