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ty acid metabolism

검색결과 563건 처리시간 0.029초

올레산 유도 비알코올성 지방간세포에서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지질 축적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Purple Corn 'Seakso 1' Husk and Cob Extracts on Lipid Accumulation in Oleic Acid- 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epG2 Model)

  • 이기연;김태희;김재은;배선화;박아름;이효영;최성진;박종열;권순배;김희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3-101
    • /
    • 2020
  • 연구의 목적은 oleic acid로 지방생성이 유도된 HepG2 세포에서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간세포 내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이다.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에 의한 HepG2 세포 내 지방 축적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배양된 세포에 oleic acid로 지방 축적을 유도하고 추출물에 의한 중성지방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의 지방합성 및 축적에 관련된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량을 RT-PCR과 Western blot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Oil Red O와 Nile Red 염색을 통하여 추출물의 처리로 HepG2 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RT-PCR에 의하여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oleic acid에 의하여 지방 생성이 유도된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추출물 처리군의 SREBP-1c와 SREBP-1a 유전자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Western blot을 실시하여 p-AMPK, p-SREBP1, PPARα, FAS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간에서 지질대사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인 SREBP1 단백질의 발현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지방산의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FAS의 단백질 발현향은 모든 처리 농도에서 현저하게 감소된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간세포 내에서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시키고 지질 합성에 관련된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간 세포 내 지질 축적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곤충 면역반응을 중개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분자적 기작과 해충방제 응용 (Molecular Action of Prostaglandin to Mediate Insect Immunity and Its Application to Develop Novel Insect Control Techniques)

  • 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73-195
    • /
    • 2022
  • 척추동물과 유사하게 곤충도 인지질분해효소(phospholipase A2)의 촉매 작용으로 다양한 아이코사노이드를 합성한다. 그러나 일련의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과정은 척추동물과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곤충의 인지질에는 전구물질인 아라키도닉산의 함량이 낮기 때문이다. 대신에 비교적 풍부하게 존재하는 다가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레익산을 기반으로 사슬 연장 및 불포화반응으로 아라키도닉산을 합성하여 척추동물과 같이 아이코사노이드 전구물질로 이용하는 것 같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아라키도닉산은 다시 척추동물의 cyclooxygenase와 유사한 peroxynectin이 PGH2 형태의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PG) 전구물질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여러 이성체 효소들의 특이적 반응에 의해 PGA2, PGD2, PGE2, PGI2, TXB2의 다양한 PG가 생성된다. 반면에 또 다른 형태의 아이코사노이드인 에폭시아이코사트리에노익산(epoxyeicosatrienoic acid: EET)은 척추동물과 유사한 단일산화효소의 산화반응으로 아라키도닉산을 전구물질로 5,6-EET, 8,9-EET, 11,12-EET, 14,15-EET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세 번째 아이코사노이드 부류인 류코트리엔(leukotriene)의 경우 곤충 체내 존재는 확인되었지만 생합성 과정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이들 아이코사노이드가 곤충의 대사, 배설, 면역 및 생식에 관여하는 생리작용을 중개한다. 따라서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 과정을 교란하는 물질 탐색은 새로운 살충제 개발 전략이 된다. 본 종설은 이 가운데 PG의 곤충 면역 중개 기작을 소개한다.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Intestinal and Hepatic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in Broiler Chickens

  • Ko, Y.H.;Yang, H.Y.;Jang, I.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8호
    • /
    • pp.1162-1167
    • /
    • 2004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fine whether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uld affect antioxidant enzymes including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catalase (CAT), and glutathione S transferase (GST), and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MDA), a marker of lipid peroxidation, in the small intestine and liver from broiler chickens. A total of twenty-four 3 wk-old male broiler chickens were assign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1.5% corn oil, 0.75% corn oil plus 0.75% CLA, and 1.5% CLA, isocalorically), and fed a grower-finisher diet from 22 to 35 days. In the small intestinal mucosae, the specific activities of SOD, GSH-Px, CAT, and GST, and the level of MDA were not substantially influenced by dietary CLA. In the liver, the specific activities of SOD, GSH-Px, and GST, and the level of MDA were also unaffected by dietary CLA at the level of either 0.75% or 1.5% compared with corn oil at the level of 1.5%. However, the broiler chickens fed the diet containing 1.5% CLA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peroxisomal CAT activity and a marked decrease in total lipid and non-esterified fatty acids (NEFA) from liver tissues compared with those fed the diet containing 1.5% corn oil. In conclusion, ability of CLA to increase hepatic CAT activity suggest that dietary CLA may affect, at least in part, antioxidant defense system as well as lipid metabolism in the liver of broiler chickens.

Association between SNP Marker of Uncoupling Protein 3 Gene and Meat Yield and Marbling Score Traits in Korean Cattle

  • Chung, Eui-Ryong;Shin, Sung-Chul;Heo, Jae-Pi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30-536
    • /
    • 2011
  • It is well established that uncoupling protein 3 (UCP3) is expressed largely in skeletal muscle, white adipose tissue and brown adipose tissue and has been suggested to play important roles in regulating energy expenditure, body weight, thermoregulation as well as fatty acid metabolism and obesity. Therefore, the UCP3 gene was selected as a candidate gene for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in Korean catt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in the UCP3 gene an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UCP3 SNP markers with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in Korean cattle. The five exons in the UCP3 gene were sequenced, and ten SNPs were identified. The PCR-SSCP method was then developed to genotype the individuals examined. The g.3076A>G genotyp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rbling score (MS) of Korean cattle. Animals with the AA genotype had a higher MS than those with the AG and GG genotypes. No significant associations of the SNP g.3076A>G were observed for any traits. In conclusion, although SNP g.3076A>G, which showed an association with MS, does not cause amino acid changes, this SNP may be used as a DNA marker to select animals that have higher intramuscular fat content.

Analysis of the Oxidative Stress-Related Transcriptome from Capsicum annuum L.

  • Lee, Hyoung-Seok;Lee, Sang-Ho;Kim, Ho-Bang;Lee, Nam-Houn;An, Chung-S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472-482
    • /
    • 2010
  • For the massive screening of the genes related to oxidative stress, a cDNA library was constructed from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cv. Nockkwang) leaves treated with methyl viologen. From this library, 1,589 cDNA clones were sequenced from their 5' ends. The sequences were clustered into 1,252 unigenes comprised of 152 contigs and 1,100 singletons. Similarity search against NCBI protein database identified 1,005 ESTs (80.3%) as Known, 197 ESTs (15.7%) as Unknown, and 50 ESTs (3.99%) as No hit. In the ESTs, oxidative stress-related genes such as ascorbate peroxidase, catalase, and osmotin precursor were highly expressed. The cDNA microarray containing 1,252 unigenes was constructed and used to analyze their expression upon methyl viologen treatment. Analyses of the hybridization revealed that various stress-related genes such as peroxidase, tyrosine aminotransferase, and omega-6 fatty acid desaturase, were induced and some metabolism related genes such as aldolase and ketol-acid reductoisomerase, were repressed by methyl viologen treatment, respectively. The information from this study will be used for further study on the functional roles of oxidative stress-related genes and signaling network of oxidative stress in hot pepper.

식이단백질조성이 흰쥐의 성장과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 on Growth and Lipid Metabolism in Growing Rats)

  • 김유숙;김화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5권2호
    • /
    • pp.119-128
    • /
    • 1982
  • The effect of dietary protein on growth and lipid levels of plasma and liver was studied in weanling male rats fed diets differing protein sources and amino acid balance. Rats were devided into 9 experimental diets which were grouped into 3 categories ; 1) Simple protein category includes gluten-, soy protein isolate-, and casein-containing diet groups, 2) Supplemented category includes casein supplemented with methionine, soy protein isolate supplemented with methionine, and gluten supplemented with lysine and methionine, 3) Mixed protein category includes diet groups containing gluten (2/3), casein (1/3), soy protein isolate (2/3) and casein (1/3), and casein (1/3), soy protein isolate (1/3) and gluten (1/3). The experimental diets composed of 15% protein, 65.8% carbohydrate, 10% fat and 1% cholesterol. The body wt. gain and P.E.R. were greater in rats of supplemented and mixed protein groups than simple protein groups.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plasma cholesterol among gluten, soy protein isolate and casein groups. Consumption of diets supplemented with limiting amino acid to gluten or soy protein isolate reduced the plasma cholesterol level by 23.2% and 34.2%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asein and the supplemented casein groups. The mixed protein groups shows relatively high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low liver cholesterol levels. On the other hand gluten group showed low plasma cholesterol and high liver cholesterol levels, which means body cholesterol pool may not have been changed by the dietary protein. Feeding soy protein meal and the supplemented soy protein isolate resulted in lower plasma cholesterol, plasma triglycerides, liver cholesterol and liver triglycerides levels. This hypolipidemic effect is considered to see unique to soy protein isolate. Rats in gluten and the supplemented gluten groups showed lower plasma protein levels and a tendency of fatty liver.

  • PDF

참마 분획물과 vitamin E 투여가 당뇨유발 흰쥐의 혈당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_2O$ Fraction of Dioscorea japonica Thunb with Vitamin E 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김명화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00-506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methanol로 온시여과 후 계통분획하여 감압농축하여 얻은 참마의 $H_2O$ 분획물을 vitamin E와 함께 STZ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에게 14일간 경구투여한 후 혈당과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당뇨대조군은 당뇨로 인한 대사상의 변화로 정상군과는 다른 대사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당뇨대조군과 참마와 vit. E 투여에 따른 당뇨실험군에서는 식이의 섭취와 식이효율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체중의 변화는 14일 후 참마와 vit. E 병용투여군에서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이었고 전 실험기간동안의 체중의 변화는 실험군간에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기의 무게를 체중 100 g 당으로 환산하였을 때 심장의 무게는 당뇨실험 군 중 vit. E 투여군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췌장의 무게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혈장 단백질 수준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당뇨실험군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혈장 인슬린의 함량은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참마투여군에서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혈장 포도당 수준도 당뇨대조군에 비해 당뇨실험군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혈장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중성지방과 유리지방산 함량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vit. E군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HDL-cholesterol 수준은 모든 당뇨실험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혈장 cholesterol 수준의 경우도 당뇨대조군과 실험군에서 큰 차이는 없었으나 vit. E군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AST및 ALT활성도는 실험군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참마의 $H_2O$ 분획물은 vitamin E 병용 투여시 지방대사와 인슬린활성에 작용하여 혈당강하에 영향을 주는 생리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식품으로 당뇨식이처방에 유용하리라 생각되며 vitamin E 보충에 의한 대사적인 변화에 대하여 더 구체적인 생화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랫드에서 Naringin이 지방대사 및 항혈전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ringin on Lipid Metabolism and Antithrombotic Capacity in Rat)

  • 김소정;김진;김형진;김수현;이성호;박영석;박병권;김병수;김상기;윤성일;최창순;정지윤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97-303
    • /
    • 2008
  • 본 연구는 항암, 항균, 항산화 등의 기능을 나타내는 식물성 플라보노이드인 naringin이 암컷 SD rat의 지질대사와 혈액 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은 5주령의 암컷 SD rat를 대상으로 일주일에 3번, 총 5주 동안 naringin을 경구투여하여 지질대사와 항혈전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실험군은 대조군(non naringin group), 저용량 naringin 투여군(0.2g/kg), 고용량 naringin 투여군(0.58%g)으로 구분하였다. 실험결과 랫드의 체중증가량과 상대장기중량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체중증가량에서 3주차 이후에 용량에 비례하지는 않지만 대조군에 비하여 naringin 투여군의 체중 증가율이 적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사료섭취량과 체중증가량을 이용하여 각 군의 5주간 식이효율을 구해보았을 때,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장기와 조직의 상대장기중량은 간을 비롯하여 신장, 비장 모두 naringin 투여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total lipid, glucose의 수치는 대조군에 비해 naringin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total cholesterol과 HDL-cholesterol의 수치를 이용한 Atherogenic index 즉,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고용량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항혈전능 실험결과에서는 고용량 naringin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암컷 SD rat에서 naringin은 체중감소에 대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지질저하 효과, 항산화 효과 등의 면에서 모두 우수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천연물 소재에 널리 분포된 naringin은 고혈압과 당뇨병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 동맥경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 건강기능 식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 적절한 물질이라 판단된다.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지방간 마우스에서 기장 첨가식이가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g Millet Supplementation on Hepatic Steatosis and Insulin Resistance in Mice Fed a High-fat Diet)

  • 박미영;장환희;이진영;이영민;김재현;박재학;박동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01-509
    • /
    • 2012
  •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인슐린저항성을 근간으로 하는 대사증후군의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최근 그 발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진은 기장 열수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여 고지방식에 의해 인위적으로 지방간을 유도한 마우스에게 섭취시킨 후 혈청 내 생물학적 수치와 간조직 검사를 통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 억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식이섭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간조직 무게가 1% 및 2%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간조직 내 지방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식이군의 경우 고지방식 대조군에 비해 혈청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고(p<0.05), HDL과 HDL-/총 콜레스테롤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p<0.05) 혈액의 지질 조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HOMA-IR 및 포도당 내성 검사 결과 2%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군의 경우 이들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고지방식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및 당흡수 부전을 기장 열수추출물이 완화시켰다(p<0.05). 한편 간조직에서 지방산 대사와 관련된 인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한 결과 지방산 합성에 관여하는 L-FABP와 SCD1은 2% 기장 열수추출물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지방산 산화와 관련된 $PPAR{\alpha}$는 1% 및 2% 기장 열수추출물 섭취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혈청 및 조직의 생물학적 수치와 간조직 검사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 식이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유 혹은 예방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노팔 복합물이 II형 당뇨생쥐에서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on Lipid Metabolism in the db/db Mouse)

  • 윤진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61-868
    • /
    • 2013
  • 유전적으로 제2형 당뇨병이 유발되는 db/db 생쥐에 OF를 5% 수준으로 4주간 급여한 결과 지방 대사를 개선시켜, 혈장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V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유의적으로(p<0.05) 감소시켰고, HDL-콜레스테롤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장 총콜레스테롤의 감소는 간에서 HMG-CoA-R의 감소에 의한 콜레스테롤의 생성이 줄어든 것이고, 또한 콜레스테롤을 담즙산으로 합성하는 CYP7A1을 증가시켜 콜레스테롤을 담즙산의 형태로 배설시켰기 때문이다. 이 결과 분변 중 담즙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LDL-콜레스테롤의 감소는 LDL-콜레스테롤을 세포로 이동시켜 분해를 촉진하는 LDL-R의 증가로 확인할 수 있었다. db/db mice에서는 비만뿐 아니라 심각한 지방간이 유발되는데 OF의 급여로 AST와 ALT를 낮추어 간세포의 파괴를 완화시켰으며, 간 조직의 H&E 염색 소견에서도 지방간의 완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조군으로 C57 생쥐에게 5% 수준으로 OF를 급여한 결과 OF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OF를 급여한 실험군의 혈장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VLDL-콜레스테롤, AST와 ALT 함량의 차이가 없었으며, 간조직 관찰에서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OF는 당뇨병이 유발되지 않은 정상혈당의 생쥐에서는 지질대사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제2형 당뇨병인 db/db mice의 당뇨병 합병증인 지질대사 이상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OF의 어떤 성분이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냈는지 보다 구체적인 성분 분석과 세부적인 연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