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al accidents

검색결과 267건 처리시간 0.026초

AHP 기법을 이용한 시내버스 교통사고 저감대책 의사결정 모델개발 (Development of Decision Making Model of Measures on the Decrease of Traffic Accident Following Implementation of Intra-city Bus by using AHP)

  • 최재원;정헌영;장석용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5D호
    • /
    • pp.679-687
    • /
    • 2011
  •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이 시민들의 수송에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교통사망사고 증가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에 따른 교통사고 저감대책의 의사결정 모델 개발을 시도하였으며, 자료조사 및 분석방법은 교통전문가 설문과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하였다. 계층분석법(AHP)의 상위평가항목으로는 정량적 대책과 정성적 대책을 제시하였다. 하위평가항목 중 정량적 대책으로는 버스증차 및 안전장치 설치, 정류소 시설물 보완, 보행자 보호 시설물 보완, 교통안전 진단평가 및 보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성적 대책으로는 제도정비, 노선설계 보완, 교육 캠페인강화, 단속강화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정성적 대책보다 정량적 대책에서 더 높은 가중치 결과가 나타났으며, 둘째, 정량적 대책으로는 정류소 시설물보완, 교통안전 진단평가 및 보완 순으로 나타났고, 셋째, 정성적 대책으로는 제도정비, 노선설계 보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향후 타시도의 교통사고 저감대책을 수립 시행할 경우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위치추적기술을 이용한 BIM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A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Real-time Locating System)

  • 이현수;이광표;박문서;김현수;이사범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135-145
    • /
    • 2009
  • 과거 건설공사의 목표는 원가절감과 공기단축을 통한 효율성 증진이었다. 이에 비하여 안전관리는 오랜 기간 동안 소홀히 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건설 산업 내에서 안전관리로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건설공사가 보다 대형화, 복잡화됨에 따라 사고의 규모가 더욱 더 커지고 있어, 건설현장에서는 보다 확실한 안전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작업자 중심의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시스템 요소기술로는 위치 추적 기술(RTLS-Real Time Locating System),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BIM Based Monitoring System), 데이터 마트(Data Mart), 알람 기술(Alarm System)이 복합적으로 적용된다. 본 시스템을 통하여 현장에서는 가변적인 상황 및 작업자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정적인 관리 형태에서 벗어나 보다 폭 넓은 안전관리가 가능해 질 것이다. 또한 작업자 중심의 안전관리를 통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발전된 형태의 실시간 안전관리를 하고자 한다.

굴착공사현장 침수양상 해석 및 어골도에 의한 침수피해 원인 및 결과 도출 (Inundation Pattern Analysis of Excavation at Construction Site and Derivation of Diasaster Cause and Effect Using Fish-bone Diagram)

  • 유동현;송창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84-91
    • /
    • 2021
  • 21세기에 들어 급변하는 기후변화로 인한 풍수해 재해가 증가하여 건설현장에서의 침수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침수사고에 안전관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구체적인 저감 대책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굴착공사현장에서의 침수사고에 대한 침수양상을 해석하고 침수위험도 정량화 기법을 활용하여 위험등급을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어골도를 활용하여 복합적인 침수원인을 도출하였다. 소규모 굴착공사 현장과 터파기 현장의 침수양상을 모의한 결과 굴착면을 타고 흘러 들어오는 유체에 의해 굴착면 내 침수심이 3 m를 초과하였다. 또한 굴착지점에 따라서 일시적으로 고유속이 발생하다 저류효과에 의해 감소하거나 10 m/s 이상의 고유속이 지속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침수 양상은 대부분의 작업자 혹은 모든 작업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수치이기 때문에 관리대책 미흡과 동시에 곱의 사상으로 발생한다면 치명적인 인명·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재해 원인 고찰은 인명피해를 유발하는 침수사고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여 사고 저감 대책을 제시할 때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건물의 외주길이와 안전관리비의 상관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uilding Perimeter and Safety Management Cost)

  • 한범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9-370
    • /
    • 2022
  • 현장의 안전사고율을 낮추려는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건설산업은 치명적인 사고율이 높은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건설 안전사고율을 낮추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설계 단계에서 안전위해요소를 관리하는 DFS(Design for safety)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설계자의 제한된 지식 때문에 설계 결과가 건설, 운영 및 유지보수와 같은 project lifecycle 동안 어떤 위험을 초래하는지 설계자는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만일 설계자가 건물의 형상이 안전사고율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응하는 안전관리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면, 효과적인 DFS를 진행할 수 있다. 안전관리비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낙하방지 그물망, 안전 펜스와 같은 안전시설비는 동일 건축면적이라 하더라도 건물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물의 외주길이가 안전관리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아파트(apartment building)를 대상으로 건물의 외주길이가 안전관리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를 위해 21개의 프로젝트 데이터를 수집한 후 외주길이와 건물형상계수, 건축면적을 독립변수로 안전관리비를 종속변수로 분석한다. 그 결과 외주길이와 안전관리비의 상관관계는 R2가 0.876, 형상계수와 안전관리비의 상관관계는 R2가 0.801, 건축면적과 안전관리비의 상관관계는 R2가 0.792로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통적 사고예측모형의 한계 및 개선방안 : Hauer 사고예측모형의 소개 및 적용 (What goes problematic in the Existing Accident Prediction Models and How to Make it Better)

  • 한상진;김근정;오순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9-29
    • /
    • 2008
  • 사고예측모형은 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자료를 통계적으로 모형화한 것으로 종속변수는 과거의 사고건수가 되고 설명 변수로는 주로 사고가 일어난 장소의 도로 기하구조 조건, 교통조건, 운영조건 등 도료의 속성자료가 이용된다. 기존의 사고예측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새로운 방안인 Hauer의 연구를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이를 국내 고속도로 사망사고자료를 통해 적용하였다. Hauer의 방법론에 의한 사고예측모형을 구축한 결과 AADT와 종단구배를 통해 사고예측모형의 적합도를 상당히 높일 수 있었으나, 곡선반경은 사고건수와 직접적 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지 않았다. 이러한 사고예측모형은 기존의 모형과 비교 시 여러 설명변수 중 어떤 변수가 모형에 도입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때 분명한 근거를 지니기 때문에 중요한 변수가 누락되거나 혹은 중요하지 않는 변수가 도입될 가능성 이 낮아지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 PDF

가습기살균제 피해사건과 교훈 (Health Damages and Lessons of the Use of Humidifier Disinfectants in Korea)

  • 최예용;임흥규;임신예;백도명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6-174
    • /
    • 2012
  • Introduction: After 17 years since the first production of humidifier disinfectants in Korea,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announced that the odds ratio of lung injury related with humidifier disinfectant usage was 47.3 (95% confidence interval 6.0-369.7) according to a case-control study with 18 adult cases, including 8 pregnant women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Results: From September 2011 to April 2012, one-hundred and seventy four victim cases have been reported to an environmental non-governmental group (NGO). We summarized timetable of humidifier disinfectants accidents, analyzed health outcomes (death, lung or lung and heart transplantation, pulmonary disease) of reported victims, and classified some information for humidifier disinfectants with health outcomes, and government action for this accident. Among the victims, number of death cases are 52 (30.0%), including 26 babies less than 3 years old. Sixty-nine victims come from twenty-seven family with 2 to 4 members per family. About twenty types of humidifier disinfectant products and about 600,000 product items a year have been sold. Fifty-two death cases used 7 different types of disinfectant products, including imported goods and some private brands of well-known supermarkets. KCDC confirmed inhalation toxicity of 6 products through an animal experimental test, and based on this observation recalled disinfectants containing PHMG (polyhexamethylene guanidine) and PGH (Oligo(2-(2-ethoxy)ethoxyethyl guanidinium chloride). Discussions: The use of these biocides involved highly fatal consequences among biologically vulnerable victims, such as pregnant women, several family member victims after semi-acute exposure. This is the first biocide disaster in Korea with non-specific targets, and unknown scale of victims, warranting concerns on use of biocides in the living environment. Conclusions: Special administrative agency for chemical safety and compensation act for environmental health victims are needed to prevent similar problems.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한 지역기반 위험분석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Zone-based Risk Analysis System using Real-time Data)

  • 오정석;방효중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3-89
    • /
    • 2013
  • 에너지 산업시설물은 다양한 종류의 가스나 유해물질을 다루고 있어 화재, 폭발, 독성물질 노출로 인한 대규모 중대사고로 전이되어 산업시설 종사자뿐만 아니라 외부 민간인에게도 치명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정량적 위험성평가를 활용하여 인체나 건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정량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예외적인 상황에 즉각적인 처리가 어렵고 시나리오를 위한 전문가적 지식이 많이 필요하였다. 본 논문은 에너지 대규모 산업시설에서 실제 환경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이용함으로써 동적인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예외적인 상황과 전문가적 지식을 최소화하고 개인 인지적 환경에 적합하게 위험을 표현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실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현 시점의 지역 내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연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증분적 모델을 적용한 지역기반 위험 분석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두부 손상 보호를 위한 승객용 헬멧 개발 연구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Passenger Helmet to Prevent Head Trauma)

  • 임정구;권기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8-63
    • /
    • 2010
  • Introduction : Head trauma is the main cause of death in aircraft crash. In a Michigan study of structurally survivable, fatal accidents, 80% of the fatally injured had received head trauma. We tried to develop a new helmet for passengers, and perform its efficiency test. Methods : An aircraft helmet requires an excellent protection against head trauma, lightness, and small volumes. In addition, it must be wearable, fire resistant, and non toxic when it is burning. We developed two new helmets made from silicone foam which met all theses requirements. One was thin (2.5cm), and the other was thick (6.3cm). These looked like a motorcycle helmet and had only a soft silicone as liner material without an outer hard shell. Therefore we can carry them easily inside aircrafts. The standard test for helmet is Snell's drop test. It measures the impact acceleration of head shaped metal wearing helmet during we drop it at certain heights. Impact sites were total 5 sites (front, back, right, left and top) for each helmet. All these sites were impacted twice. Results : The thickness of impact sites varied from 2.5cm to 6.3cm. The impact acceleration of 2.5cm thickness site when it was dropped from 1.0 meter was 379g. But, that of 6.3cm thickness site when it was dropped from 1.5 meter was only 163g. Unfortunately, both helmets didn't meet the Snell Standard for motorcycle helmets. Discussion : If we add suitable outer hard shell, and change its thickness and design, the efficiency will be increased. A study indicated that helmet could reduce the risk of head trauma up to 85%. We made helmet for passengers in aircraft crash for the first time. If we improve its weak points, it will decrease the frequency of head trauma in aircraft craft.

포트홀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보수재료량 산출 알고리즘 개발 (A Study on Algorithm for Materials Take-off Using Pothole Detection System)

  • 김경남;김성호;김낙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603-610
    • /
    • 2017
  • 최근 집중호우, 잦은 강설, 급격한 기온차이 등 환경변화의 가속화에 따라 균열, 단차, 포트홀 등 다양한 형태의 도로 파손이 급증하고 있다. 이중 포트홀 관련 사고는 파손 특징상 대형사고를 유발하며 08년 기준 5년간 약 5배 이상 증가하였다. 매년 포트홀로 인한 인명피해, 차량파손 등 직 간접적인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트홀 규모, 면적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체적 보정계수와 보수재료 물량산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물량산출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 수도권 지역 15개소의 포트홀을 측정한 결과 통상적으로 개소당 약 5~7 kg까지 발생하던 재료 잔량이 1~2 kg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여 시공하고 있는 실정에서 포트홀 체적 감지 자동화 통합시스템은 재료/자원 절감뿐 아니라 적정한 보수물량 산정을 통해 다짐상태 등 포장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순간 가스온수기의 CO 중독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A Method to Prevent CO Poisoning from Instantaneous Water Heaters)

  • 안정진;여창훈;조영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30
    • /
    • 2011
  • 개방형 순간 가스온수기는 설치와 관리가 적절히 되지 않아 일산화탄소 중독과 질식과 같은 인명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연소기에 공기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거나 배기구가 막히면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의 농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는 가정집에서 사용 중인 개방형 가스온수기를 회수하여 연소기 주변 공기 중산소농도 및 배기가스 중 CO농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환기구 면적에 따른 산소농도 측정 실험에서 환기구의 면적이 바닥면적의 3.5%에서 산소농도가 약 17.7%로 나타났고, 배기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CO농도를 측정한 결과 4,000ppm이상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배기구를 점검하는 것이 환기구 크기보다 일산화탄소 중독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