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 house

검색결과 755건 처리시간 0.029초

관계적 공간에서 결혼 이주 여성의 삶 (Married Immigrant Women's Life in Relational Spaces)

  • 박규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3-222
    • /
    • 2013
  •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 하에서 수행되었다. 하나는 결혼 이주 여성이 가족, 이웃, 친구, 조직, 국가와 관계하면서 겪는 갈등, 차별, 저항 등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결혼 이주 여성과 가족을 새로운 시각, 즉 초국가(국경을 초월한 로컬과 로컬의 관계), 로컬, 국가와의 관계적 공간으로 설명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는 국제결혼에 의해 초국가적 공간이 형성되며, 생성된 공간은 결혼 이주 여성의 (비)일상적 활동에 의해 유지된다. 초국가적 활동은 송금(remittance), 자녀의 양육과 교육, 친정 방문, 전화나 인터넷 등을 통한 정서적 교감 등이 포함된다. 둘째는 결혼 이주 여성이 가족, 이웃, 친구, 기관 등과 연관됨에 따라 중층적인 관계적 로컬 공간이 형성 유지되고 있다. 셋째는 결혼 이주 여성은 국적 취득과 정부(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지원 사업의 측면에서 국가 권력 혹은 정부 행정과 연관되어 있다. 국민 정체성과 관련지어 결혼 이주 여성은 모국과 한국 가운데 어디에 속하는지 구분이 불명확한 위치에 놓여 있음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 PDF

관리감독자 안전·보건교육프로그램에 있어서 위탁교육과 자체교육간의 차이에 대한 연구 (Study of Difference between Consignment Training and In-house Training in Supervisor Training Program of Safety and Health)

  • 박훈신;원상봉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95-105
    • /
    • 2010
  • 산업사회의 발전은 우리를 풍요롭게 변화시키고 삶의 질을 높인 반면에 각종 재해로 인하여 근로자 본인은 물론 가족들의 고통을 안겨다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산업안전보건교육프로그램 중 회사 자체교육과 전문교육기관 위탁 관리감독자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실시 현황 조사와 산업안전보건관리 감독자 교육프로그램의 위탁교육과 자체교육이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한 관리감독자 직무를 수행하는 대상의 연령, 업종, 교육이수횟수, 상시근로자수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 대상은 안양권역에 근무 하는 관리감독자를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에서 실시하는 자체교육보다 전문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위탁 교육이 더 관리감독자직무에 도움이 되었다는 결과이며, 이는 산업안전보건법의 계속된 개정에 전문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위탁교육 이 좀 더 유연하게 대처해왔고 수요자의 요구조사에 더욱 충실하여 틀에 얽매이지 않고 교육 과정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연구해왔다고 해석될 수 있다.

  • PDF

단독주택에 대한 울산시 거주자의 주의식 연구 (A Study of Potential Buyers' Consciousness of Single-Family Housing in Ulsan)

  • 김지숙;양세화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6호
    • /
    • pp.35-46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potential buyers' consciousness of single-family housing to provide useful data to help future single-family housing supplies in Ulsan. The study selected residents in Ulsan, who were over twenty and had an interest in living in a single-family housing. A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1, 2008 to September 25, 2008. The sample consisted of 364 persons who are currently live in Ulsan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About two thirds of the sample had the desire to live in a single-family housing. Moving into a single-family housing had financial preparation as the greatest issue. When moving into a single-family housing, the convenience of the residential district was the greatest consideration, whether or not it is a green environment, pollution level, etc. The potential buyers valued environment-friendly features and also had a very strong desire to own their own house. Many of them wanted to design and build their own single-family housing within a budget of 100-200 million KRW. In terms of the location, there was a higher preference for the riverside or lakeside rural areas outside the city. In terms of size, the preference was less than $330m^2$, which includes $99-132m^2$ for residential. When considering a single-family housing the direction was the most important feature, along with eco-friendly and safer materials and equipments. When building the single-family housing the potential buyers considered the community spaces first with a preference for having three bedrooms and two bathrooms. For the exterior, they wanted a unique shape of roof and there were high preferences for brown and beige colors. In terms of housing complexes, the potential buyers preferred individual unit types over complexes. If they preferred housing complexes, they wanted the cluster form complex with about 10-30 units. The complex also required a park-like setting with a guard system, which shows that convenience and safety were the most important features. In terms of complex management, they considered environmental management as the most important feature. The potential buyers were willing to pay belw 200,000 KRW, which showed their desire to minimize financial burdens.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 and Self-esteem of the Mental Disabled's Family)

  • 민혜진;정원철
    • 재활복지
    • /
    • 제20권1호
    • /
    • pp.65-86
    • /
    • 2016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지각이 가족의 삶의 질을 방해한다는 전제에서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로 기능하는 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수집은 부산, 경남 지역의 사회복귀시설 10곳, 낮병원 4곳 총 190명의 가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감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감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라는 조절변수를 통해 자아존중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가족의 낙인감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변인으로 투입되었을 때 자아존중감이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지각이 자아존중감을 손상시키며, 사회적 지지가 주어질 경우 낙인을 지각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자아존중감이 유지되거나 상승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정신장애인 가족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과 연구결과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라이프스타일 기반 다학제적 청년층 1인 가구의 주거 환경 선호 및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eference and Needs of the Multi-academic Young Single Family Based on Life Style)

  • 임준형;최인영;박혜경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1호
    • /
    • pp.249-260
    • /
    • 2019
  • 최근 우리나라 1인가구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2035년에 들어서는 34.6%로 증가할 것이라 예측되며 이들 중, 우리나라 높은 주택가격으로 인하여 청년층 1인가구는 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청년 주거지원을 확대실시하여, 공공지원 임대주택과 민간 청년임대주택, 청년 기숙사 공급 등 다양한 정부정책을 펼쳐 나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연령대와 라이프스타일이 다른 청년층 1인가구의 정확한 주거요구를 파악하여 향후 보급될 청년 주택 계획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청년층 1인가구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청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거선호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청년층 1인가구의 주거환경 선호 및 요구에 대한 조사도구를 구성하였다. 셋째, 청년층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을 바탕으로 한 공간사용특성과 평면구성 선호 및 요구, 실내디자인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8년 12월에서 2019년 1월 초까지 학생과 직장인을 포함한 20세에서 39세 사이의 청년층 1인 가구 150명을 대상으로 SNS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간사용특성을 살펴본 결과, 작은 면적인 청년 1인 주거에서 침실과 거실이 기본적 기능 외 다양한 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계획시 이에 대한 추가적 고려가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2) 평면구성 선호 및 요구를 살펴본 결과, 별도의 침실과 거실 공간 확보를 요구하며,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거실공간에 대한 확장요구와 침실공간의 드레스룸 등의 수납 추가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실내디자인 선호를 살펴본 결과, 모던스타일과 대표적 컬러인 무채색계열 색채를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주거공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감재료를 선호하며, 조명은 간접조명 및 벽면을 이용한 은은한 조명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년층 내에서도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른 학생과 직장인의 차별적 실내디자인 선호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향후 실제 공공임대주택의 사례분석과 사용자 범위확대를 통하여 실질적인 주거환경니즈와 계획방안 제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의 학교복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에 관한 연구: 가족자원 등을 중심으로 (Study on Resources That Influence Drop - Out Teenage Children's Choices on School Reentry: Central Focus on Family Resources)

  • 윤나나;박정윤;박연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1호
    • /
    • pp.27-4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의 학교복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에 관해 살펴보고자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총 5차년도 2,553명의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2012년 7월 이후 정규 중·고등학교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을 검증하기 위해 학업중단 청소년의 가족자원을 비롯하여 개인의 심리·정서자원 및 사회관계자원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t-test와 교차분석,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녀의 학교복귀 선택에 영향을 주는 자원 중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이사횟수였다. 둘째, 청소년 자녀들의 학교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정서자원은 우울, 충동성과 함께 학업을 중단한 현재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정도가 낮고 우리 사회가 학력에 대한 차별이 심하다고 지각하는 점이 학교복귀 선택에 작용하였다. 셋째, 가족자원으로는 가족형태와 부모애착의 하위요인 중 경제적 지지 측면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움을 주는 사회관계자원으로서 멘토 여부가 사회자원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들의 학교복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가족자원을 밝혀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지지적인 가족자원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재고아파트 재활용을 위한 2戶1住宅 수평병합 유형연구 - 나주 주공아파트 15평형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Merging Typology of Two Adjacent Dwelling Units for the Reuse of Stock Housing -focused on the 15 pyung Apartment Constructed by KNHC, Naju, Korea-)

  • 손승광;조순철;이화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51-61
    • /
    • 1999
  • Small apartment housings in Korea are dissatisfied due to the growing areas and changing lifestyle of the residents. Many of them currently confronted with slum areas and kinds of housing stock accumulated much more in Korean contexts. An extention of the existing small houses could be an adaptation model to the increasing requirement standards of the house residents. The new model could support diverse identification of the dwelling model in a settlement and many residents could be satisfied with the settlement. This paper deals with the unification typology of two dwelling units to one in order to remodel existing small apartment houses on the 15-pyung areas (N type) constructed by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in Naju. The proposed type of the merging of the dwellings remove concrete panel walls, make a path through balcony and attach a living areas to the front of the houses in order to make a circulation between the dwellings. A stair hall can be located in-between or inside the merged houses. It can also enhance privacy against conflictive activities in a house and possibly provide space appropriate for three-generation living. It can be devided for the multi-family use. Finally, the merging types of two dwelling units into one can be used as a device to get rid of the monotonous characteristics and gain diversity in the declining stock housing.

  • PDF

동남아시아 토속주거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공통성과 다양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ernacular House in Southeast Asia - In the Aspect of Commonality and Diversity -)

  • 주서령;김민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9-29
    • /
    • 2010
  • Vernacular houses in Southeast Asia are basically post and beam structures raised on pillars, with gabled roofs. They were designed and built by the people themselves to meet specific needs, accommodating the values, economies and ways of life of cultures that produce them. Their forms and housing cultures are very various according to the country and the region. But based on the common history and culture, the vernacular houses in Southeast definitely have common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ommonality and diversity of the vernacular houses in Southeast Asia in the aspect of two different perspectives. One is the climate perspective, for which the analysis was made on the primary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limate, material, structure of the vernacular houses. The other one is the social-cultural perspective which try to find the religion, belief, life style and social and family relationship which controlled the forms of the housing under the surface. As a result, this study summarise and find the outstanding and unique meaning and definition of the vernacular houses in Southeast Asia.

경북지방(慶北地方) 근대(近代) 한옥(韓屋)의 유형과 성격 -배치 및 평면유형을 중심으로-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ouses in Modernization Period(1876-1945) in Kyungpuk Province -Mainly about the Patterns of Site Plan and Plan Layout-)

  • 이호열
    • 건축역사연구
    • /
    • 제6권3호
    • /
    • pp.89-108
    • /
    • 1997
  • This study has been researched mainly about the gradual changing patterns of site plan and plan layout of 17 sampling traditional houses in kyungpuk province during the time period of 1877-194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ocality and trend of the times. Survey and Measured drawing, personal interviews with clients has been carried out and the result is as down below; 1.The certain changes have shown that the furnace in sarangchae(outer wing for men) in ㅁ shaped and ${\ulcorner}$ ${\lrcorner}$ shaped houses served only for that purpose and inner gate has been built in sideward of sarangchae. 2.As living standard was upgraded storage space and size of the rooms got bigger. On the other hand, spacial formation was emphasized by its function accordding to house activities and living circulation because the family members in direct line became reality of the time. 3.The modernistic thought of rationalism and convenience are well expressed in the plan layout and house living as a whole.

  • PDF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rried Women in Korea)

  • 박은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08-517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awareness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to explore influences of demographic and other variables on marital satisfaction. Social statistics survey data which collected in 1998 by ministry of statistics were used for secondary analysis of this study. Marital satisfaction was measured by questionnaire which was consisted in 7 items, including satisfaction with general family life, relationship with their own parent and parent-in-law, relationship with brothers and sisters,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economic living status. These are measured by 5-point Likert scale. Independent variables are age, education, employment status, having their own house or not, No. of children under school age, parents living or not, perception of sexual discrimination, and division of household lab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marital satisfaction by all independents variables, and all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employment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marital satisfaction. People who are younger, received higher education, have their own house, have more children under schoolage and whose parent are living in the world, show higher marital satisfaction. The more husbands participate to household labor, the better marital satisfaction. In case of perception of sexual discrimination, main effect is not significant, but interaction effect with age i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education is also significant. 32.52% of the variance in marital satisfaction were accounted for by these variab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