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 and Self-esteem of the Mental Disabled's Family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민혜진 (부산소테리아하우스 사무국) ;
  • 정원철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1.29
  • Accepted : 2016.03.25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 and self-esteem of the mental disabled's family. For this research, 190 family of the mental disabled were asked to complete some scales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igma of the mental disabled's family is positively correlated to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s. Second, social support is positively correlated to self-esteem. Third, social supports have moderating e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 and self-esteem of the mental disabled's family. This study verify that for the purpose of decreasing the stigma and improving the self-esteem, it is important to supply the mental disabled's family with social supports. This study have implication that stigma of the mental disabled family impair their self esteem and social supports delivered to the mental disabled's family improve family's self esteem. In accordance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uthors suggest some strategy to supply social support to the family. The authors suggest some direction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his study questions and describ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지각이 가족의 삶의 질을 방해한다는 전제에서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로 기능하는 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수집은 부산, 경남 지역의 사회복귀시설 10곳, 낮병원 4곳 총 190명의 가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감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감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라는 조절변수를 통해 자아존중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가족의 낙인감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변인으로 투입되었을 때 자아존중감이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지각이 자아존중감을 손상시키며, 사회적 지지가 주어질 경우 낙인을 지각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자아존중감이 유지되거나 상승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정신장애인 가족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과 연구결과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