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 Narrative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4초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가족 이야기'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연구: 회복탄력성의 7개 하위영역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A Study on Program Development of 'Family Narrative' Program to Enhance Resilience - Based on the Analysis of 7 Domains of Resilience -)

  • 김예랑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61호
    • /
    • pp.5-3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가족 이야기' 집단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내용의 우선순위를 조사하고, 회복탄력성의 7개 하위영역별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 및 가족 이야기 관련 특성을 파악하여, 대학생들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회복탄력성의 7개 하위영역별로 대학생들의 수준을 '높음' 집단과 '낮음' 집단으로 나눠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회복탄력성의 각 하위영역별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 및 가족 이야기 관련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 대학생들이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로서 선택한 내용은 (1) 우리 가족의 주요 가족사건 이해하고 의미 찾기; (2) 우리 가족의 위기극복 방법 알고 의미 찾기; 그리고 (3) 우리 가족의 성취와 관련된 이야기를 알고 그 의미 찾기 등이었으며,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방안을 제안하였다.

여성 화자의 시집살이담에 나타난 관계와 고난의 양상 (A Study on the Aspects of the Relationships and Hardships on a 'Sijipsali' Narratives in Korean Women's Married Life)

  • 김경섭;김정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09-417
    • /
    • 2020
  • 자신의 삶을 훌륭하게 구연하는 구술연행은 그것만으로도 하나의 훌륭한 언어예술이다. 시집살이담은 여성 생애담 중 결혼을 매개로 가족관계나 사회·문화적 문제로부터 벌어지는 일련의 일들을 구술한 서사체이다. 그러므로 시집살이담은 여성 생애담의 하위 장르이다. 시집살이담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필 수 있다. 첫째는 며느리와 가족 구성원 사이의 관계로부터 비롯되는 '가족관계 층위'이다. 여기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물론 시어머니 시집살이이며, 그 밖에 시아버지 시집살이, 남편 시집살이, 자식 시집살이를 들 수 있다. 둘째는 인간관계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 며느리로서 갈등을 겪게 되는 제반 사항들에 관련된 이야기들로 '사회·문화 층위'이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가난과 역사적 사건에서 비롯된 시집살이이며, 며느리의 가문이나 용모, 태도 등 때문에 심한 시집살이를 한 경우도 있다. 실제의 시집살이는 이 두 가지 양상이 뚜렷하게 구별되기보다는 서로 혼합되어 나타난다. 가족관계에서 비롯된 시집살이는 항상 가난이나 사건과 관련될 수 있으며, 반대로 가난이나 사건은 가족관계로 확대되어 여성들을 괴롭혔던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시집살이담에 나타난 관계와 고난의 양상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가족 서사와 공간 재현 -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를 중심으로 - (The Spatial Representation in Family Narrative - Focused on Hirokazu Kore-eda's Films -)

  • Mun, Jung-Mi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93-203
    • /
    • 2019
  • 사회를 관통하는 키워드를 내포한 가족영화는 영화사 초기부터 관객과 소통하며 시대변화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사회문화적 콘텍스트를 반영하는 중요한 텍스트로 자리매김 되었다. 그런 측면에서 가족 서사를 통해 현대사회에 대한 매우 날카로운 관점을 제공한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들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가족서사는 죽음과 상실, 단절과 소외에 대한 테마들을 이어나가며 현대 사회와 인간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보여주었을 뿐 아니라 그 주제적 묵직함에도 불구하고 흥행에도 성공하며 대중적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그의 성취는 가족의 의미를 사유하도록 이끄는 가족 영화라는 서사 형식뿐 아니라 '시간'과 '일상'을 기록하는 공간 재현 형식과도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고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의 가족 서사와 공간 재현 형식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삶과 공간이 긴밀하게 소통하며 주제에 이르는 영화적 형식을 찾을 수 있었다. 이처럼 가족서사의 공간 재현과 그 형식 요소들의 역할 및 의미에 주목한 본 연구는 시대성을 중심으로 거시적 관점으로 접근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다 확장된 연구로서 가치를 가진다.

가정위탁유아, 연장입양유아와 일반유아의 내적표상에서의 차이 (Differences of Narrative Representations by Foster Care, Adopted and Biological Family Children)

  • 신혜원;민성혜
    • 아동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57-174
    • /
    • 2008
  • This study used the person-oriented approach to explore differences in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97 4-, 5- and 6-year old children (30 foster care, 40 biological family, 17 adopted). Using the MacArthur Story Stem Battery (Bretherton et al., 1990), observations were made to obtain children's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content themes and performances. Descriptive statistics, ANOV A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 (1) Biological family children showed more empathy/helping representations. Foster care children and adopted children showed more anxious representations, and foster care children showed more dysregulated aggression. (2) Four clusters of foster care and adopted children and five clusters of family biological children were found.

  • PDF

가족애니메이션 캐릭터 연구 - <심슨 가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mily Animation Characters - Focused on the )

  • 윤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35-43
    • /
    • 2019
  • <심슨 가족> 에 대한 관심은 미국 문화의 함축, 깊이 있는 풍자, 흥행에 대한 벤치마킹이 대부분이다. 서사적 특성과 캐릭터의 특징을 기반으로 한 흥행 원인 분석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 작품의 장르적 특성을 가족 애니메이션이라 규정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캐릭터 서사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캐릭터의 개별적 특징을 확인하고 타 애니메이션, 드라마, 시트콤의 캐릭터와 비교 분석해보았다. 또한 캐릭터들이 서사에 참여하는 비중, 특정 에피소드에서 웃음의 시점과 향유자층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 캐릭터의 이상적인 모습을 탈피해 대중 매체가 지향하던 고정된 시선을 풍자하고 대중이 가진 욕망을 자극한다. 2) 또한 등장하는 모든 캐릭터가 주인공이 되고 때로는 조력자, 안타고니스트가 되는 순환적 서사를 통해 향유층을 확장하고 문화적 할인율은 절감했다. 3) 서사의 층위를 달리해 유아, 청소년, 성인들이 즐길 수 있는 깊이가 각각 달라지고 이 역시 타겟의 확장에 기여한다. 한국 애니메이션이 가진 타겟과 주제에 대한 한계를 감안했을 때, <심슨 가족>이 가진 위의 특징을 활용한다면 보다 가치 있고 지속적인 향유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후 한국의 가족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캐릭터 특징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향유의 확장성과 지속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중도시각장애인 부인의 위기 직면 및 극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A Narr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Facing and Coping the Crisis in the Wives of Men Having Visual Impairment)

  • 권진숙;박시현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42-257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life experiences of the wives of men who were born with normal vision but gradually developed a visual impairment, with particular focus on their way of facing and coping with their life crisis. Method: A narrative approach was used to not only understand women's experiences within sociocultural contexts, but also reveal the subjective meaning of their personal life stories through their own voices. A purposive sample of three participants having husbands unexpectedly diagnosed with visual impairment during their marriage was recrui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narrative analysis methods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nelly. Results: The wives took the crisis of their husbands' visual impairment as an economic crisis of the family. They faced a variety of difficulties, including extreme despair, role changes, and economic burdens. On the other hand, they tried to keep the family secure through a range of coping strategies that were motivated by compassion toward the husbands, maternal affection for the children,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ir families.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e need for financial support for temporarily disadvantaged families. In addition, various nursing and counseling programs for the family members will also be needed to help recover the family functions.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외국 발명가 5인의 창의성 요소, 가정환경, 부모 양육방식 분석 (An Analysis of Creativity Factors, Family Backgrounds and Parenting Styles of 5 Foreign Inventors in Korean Elementary Textbooks through Narrative Inquiry)

  • 채동현;김은정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34-252
    • /
    • 2014
  • A talented person in a knowledge based society is the person who has ability to create intellectual property value. This intellectual property comes from invention. According to several researches, invention and creativity have a strong correlation. And a manifestation of creativity is related to family background and parenting styles of a student. This narrative research is to understand creativity factor, family background and parenting styles of five foreign inventors in elementary textbooks. As a result of study, all of the inventors had intellectual curiosity, originality and sophistication. And despite economically difficult environment, they grew up in houses where gives an educational opportunity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family members were good. Also at least one of their parents supported their decision and they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한부모가족 담론의 균열과 변형된 정상가족 신화로의 포섭 -KBS1 다큐 공감 <아이가 행복입니다>의 서사분석을 중심으로- (Disintegration of Discourse in Single-parent Family and its Persuasion in the Modified Myth of Normal Family -Focusing on Narrative Analysis of KBS Documentary 'Gong-gam' -)

  • 김환희;고병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262-271
    • /
    • 2018
  • 이 연구는 한부모가족 담론이 TV 다큐멘터리에서 재현되는 양상을 확인한다. 정상가족 신화가 한계를 드러내는 현 상황에서, 다양한 분석대상으로 한부모가족 연구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싱글대디와 미혼모 이야기를 동시에 다룬 KBS1의 다큐 공감 <아이가 행복입니다> (2015)의 서사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싱글대디와 미혼모는 공통적으로 '결핍된 상황'을 극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싱글대디는 어머니의 역할까지 모두 수행하는 반면, 미혼모는 어머니의 역할조차 완수하지 못하는 비대칭적 묘사가 두드러졌다. 또한, 다큐멘터리의 서사는 결손가족과 정상가족을 대비시키고 고정된 성역할을 재생산하며, 해당 사안을 개인의 영역으로 소급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묘사는 한부모가족을 변형된 정상가족 신화로 편입시키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결국, 새로운 담론의 부재에서 오는 근본적인 문제인바, 중요한 것은 충돌하는 가족 담론을 재현하고 확장하는 미디어의 역할일 것이다.

노년기 우울과 죽음불안 감소를 위한 생애회고적 이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the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on Decreasing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 여인숙;김춘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5호
    • /
    • pp.113-128
    • /
    • 2006
  •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on decreasing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The program was organized according to a course of life from childhood to old age. The objectives were for the elderly to enhance self-worth, to become aware of their solitary existence, to accept aging and death, to accept the life: both past and present, and to make the most of experiences in overcoming difficulties. For the most part, the program used reminiscence and re-authoring of the narrative therapy as counseling techniques. Thirty-two elderly people(16 in the experimental group, 16 in the control group) aged 60 years and over were randomly selected from patients at the Daegu Metropolitan City General Welfare Center. Two groups were identified as equivalents for the study in the pre-test. The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lemented twice a week for 90 minutes per session over a 6-week period(Sep. 8-Oct.14. 2005). The pre-test(Sep. 8 2005), the post-test(Oct. 14. 2005) and the follow-up test(Nov. 14. 2005)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n Version) and the Death Anxiet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ing and One-Factor Repeated Measures ANOVA. This study supplemented other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verify the variation in the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ignificant decrease in the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were repor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howeve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rates. The result of the post hoc multiple comparisons showed that the effects of the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has lasted effects on decreasing of the death anxiety. Nevertheless, the effects of the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on decreasing depression are not lasting. The study has limitations so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생애회고적 이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통합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to Increase Ego-Integrity in the Elderly)

  • 여인숙;김춘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157-16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aimed at increasing ego-integrity in the elderly. The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tfe course from childhood to old age. The objectives of the program were for the elderly to enhance their self-worth, become aware of their individual self existence, accept aging and death, accept the past and present life, and to make the most of their experiences of overcoming difficulties. The counseling techniques used in the program were mainly reminiscence and re-authoring of the narrative therapy. Thirty-two elderly people aged 60 years and over (16 in each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randomly from the Daegu Metropolitan City General Welfare Center for the research. The two groups were identified as equivalent for the study in a pre-test. The program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lemented twice a week for 90 minutes per session over a 6-week period (Sep. 8th - Oct. 14th. 2005). The pre (Sep. 8th 2005), the post (Oct. 14th. 2005) and follow-up (Nov. 14th. 2005) tests were implemented in ordo,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he Ego-Integrit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Ore-Factor Repeated Measures ANOV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evidenced significant effects on enhancing ego-integrity. The result of the post hoc multiple comparisons showed that the effects of the life review-narrative group therapy Program were maintained for one months. Mean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in ego-integr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wa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