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patial Representation in Family Narrative - Focused on Hirokazu Kore-eda's Films -

가족 서사와 공간 재현 -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를 중심으로 -

  • Mun, Jung-Mi (Department of Film and Video Production, Dongguk University)
  • Received : 2019.09.23
  • Accepted : 2019.10.28
  • Published : 2019.10.31

Abstract

Family films with insight of the society are now recognized as significant texts to communicate with audience from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of film and to reflect various viewpoints on changes of the times and socio-cultural context. In such aspect, the films of Hirokazu Kore-eda are very significant in that they suggest very sharp view on modern society through family narrative. His family narratives not only presented a profound reflection on the modern society and human relations through themes on death, loss, severance, and alienation, but also formed a public sympathy based on success in the box-office numbers despite his heavy subjects. His such achieve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 of spatial representation to record 'time' and 'daily life' as well as the family film as a narrative form to draw the meaning of a famil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family narrative and the format of spatial representation in the films of Hirokazu Kore-eda, and could find the film form where life and space closely communicate each other to reach the topic. This study, concentrating on the spatial representation and the roles and meanings of formal factors in family narrative, can find its own value in its expansion out of the previous studies which adopted macro perspectives on the trend of the times.

사회를 관통하는 키워드를 내포한 가족영화는 영화사 초기부터 관객과 소통하며 시대변화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사회문화적 콘텍스트를 반영하는 중요한 텍스트로 자리매김 되었다. 그런 측면에서 가족 서사를 통해 현대사회에 대한 매우 날카로운 관점을 제공한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들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가족서사는 죽음과 상실, 단절과 소외에 대한 테마들을 이어나가며 현대 사회와 인간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보여주었을 뿐 아니라 그 주제적 묵직함에도 불구하고 흥행에도 성공하며 대중적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그의 성취는 가족의 의미를 사유하도록 이끄는 가족 영화라는 서사 형식뿐 아니라 '시간'과 '일상'을 기록하는 공간 재현 형식과도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고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의 가족 서사와 공간 재현 형식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삶과 공간이 긴밀하게 소통하며 주제에 이르는 영화적 형식을 찾을 수 있었다. 이처럼 가족서사의 공간 재현과 그 형식 요소들의 역할 및 의미에 주목한 본 연구는 시대성을 중심으로 거시적 관점으로 접근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다 확장된 연구로서 가치를 가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