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 Archiv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1초

가족아카이브의 사회적 확대를 위한 시론적 분석 (Basic Analysis for Social Spreading of Family Archives)

  • 김명훈
    • 기록학연구
    • /
    • 제66호
    • /
    • pp.229-26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가족공동체 회복을 위한 방편으로 가족아카이브의 구축 필요성과 함께, 가족아카이브를 하나의 사회문화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방향성을 고찰하였다. 가족아카이브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미진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세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가족아카이브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가족아카이브 필요성에 대한 고찰이다. 이를 위해 먼저 최근의 사회환경에서 가족공동체의 위기가 심화되는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학 및 가족학 분야의 연구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 사회 내에서의 기록을 활용한 가족아카이브 구축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두번째는 가족아카이브의 사회적 확대를 위한 주요 기록관리 선진국의 국립기록청 사례조사이다. 서구 기록관리 선진국의 경우 가족아카이브는 가족사 내지 계보 연구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기록보존소의 방문자 절반 이상이 가족사 내지 계보 연구자들이 차지하게 되면서, 서구 각국의 국립기록청에서는 가족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가족아카이브의 의미 및 특성에 관한 분석이다. 가족아카이브가 범사회적인 기록문화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공기록과는 다른 고유의 의미 및 특성과 함께, 가족아카이브가 지니는 가치 및 역할 정립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가족아카이브의 개념 및 목표 정립과 함께 가족아카이브가 지니는 기능 및 가치를 기존의 기록학 이론과 대비하여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세 영역에 초점을 맞춘 분석 결과, 가족아카이브는 '제도'가 아닌 '문화'로, 또한 '관리'가 아닌 '활용'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그동안의 기록학 이론 및 방법론들은 공공기록처럼 방대한 양의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보존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개발되어왔고, 아울러 고도로 전문화된 지식을 기반으로 기록관리법령 및 표준, 기침 등을 통해 준수해야 할 하나의 제도로 자리해왔다. 하지만 가족아카이브를 사회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일반 시민 누구나 일상적인 삶의 과정 속에서 행할 수 있는 문화 내지 생활방식으로 정착되어야 하며, 전문적인 기록의 관리·보존에 앞서 기록 속에 담고 있는 의미를 가족구성원 모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활용에 우선점을 둘 필요가 있다.

공적 가족사업역사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Official Family-related Service History Archives in Korea)

  • 김경아;박미석;강복정;이영호;최새은;전지원;김미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4권3호
    • /
    • pp.79-102
    • /
    • 2020
  •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archives on the official family service history in Korea. The study collected records of family policies and official family service from 1948 to 2019 and thereafter attempted to classify the official family service. In addition, experts were consulted to diagnose compliance with research contents and directions, investigate priorities of the family policies, and provide opinions on the elements of each process of archiv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ive areas of concern to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 archive of official family services: concept, scope, collection, arrangement,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Second, the findings suggest which processes are critical to developing a sustainable and systematic archive system for the official family service history. The construction of the archives will provide a platform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integrated family policies and inform the direction of future family policies in Korea. In addition, these archives will be an important factor in building a solid Korean national identity.

광주학생독립운동가 장재성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igital Archives by Jang Jae-seong, a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Activist)

  • 김문희;장우권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43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광주학생독립운동가 장재성 디지털 인물 아카이브 구축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사용된 연구의 방법은 첫째, 장재성 관련 문헌연구를 하였다. 둘째, 국가기록원, 국가보훈처 등 장재성과 관련된 기록 현황을 조사하였다. 셋째, 장재성의 가족과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재성 아카이브는 기록콘텐츠와 해설콘텐츠로 설계하였다. 또한 기록물 보유기관과의 콘텐츠별 매핑을 통해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록콘텐츠는 이용자가 검색을 통해 소장처별로 연결 된 상세 내용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현재까지 광주학생독립운동가들의 아카이브가 구축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해당 사건에 대한 인물들을 함께 아카이브로 구축, 데이터를 제공하는 안을 제시하였다.

「음식디미방」과 「규합총서」와의 비교를 통한 「주식시의」 속 조리법 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Cooking Method in 「Jusiksiui」 compared with 「Eumsikdimibang」 and 「Gyuhapchongseo」)

  • 정혜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4-245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cooking method in "Eumsikdimibang", "Gyuhapchongseo" and "Jusiksiui" over time. The Korean cook book, "Jusiksiui", published in the late 1800s, was mainly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Jusiksiui" contained more than 99 foods. In particular, there were 49 side dishes, including five types of porridge three types of noodles, and four types of dumplings. Most food recipes in "Jusiksieu" are the same as those in "Gyuhapchongseo".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Gyuhapchongseo" (1809) and "Jusiksiui" (late 1800's), Korea's significant archives of Korean recipes, showed that approximately 50 recipes out of 99 recipes were the same as those indicated by "Yeolgujatang" and "Seunggiactang" as hospitality foods and "Gochujang", "Jeupjang", and "Jeupjihi" as traditional paste foods. This indicates that recipes in "Gyuhapchongseo" were transcribed into those in "Jusiksiui". Thus, "Jusiksiui" is the archive that includes recipes that have been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a traditional family and transcribed archive of "Gyuhapchongseo", which was widely read by midwives in the late 1800's.

구술을 통한 재난 사고의 기록화 세월호 참사 관련 구술을 중심으로 (Disaster Documentation through Oral History : Focus on Sinking of the MV Sewol)

  • 송주형
    • 기록학연구
    • /
    • 제44호
    • /
    • pp.155-197
    • /
    • 2015
  • 세월호 참사가 벌어진지 1주기가 됐다. 사건발생 후 지금까지 기록학계를 비롯한 많은 이들이 사건을 기록하기 위해 노력했다. 안산활동가들이 주축이 된 시민기록위원회도 그중 하나다. 시민기록위원회 산하 구술증언팀에서는 세월호와 관련된 다양한 사람들의 구술을 채록해왔다. 세월호 유가족은 물론 자원봉사자, 종교계 인사, 시민운동가, 안산 시민 등으로부터 구술을 수집했다. 전 세계적으로 재난은 모두가 함께 기억하고 추모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이를 기록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수단 중 하나는 구술 아카이브 구축이다. 갑작스레 발생하는 재난의 특성상 기록이 많이 남겨지지 않고, 추모기록을 비롯해 사건에 대한 다양한 시각의 사람들이 들려주는 구술이야 말로 사건의 실체에 다가서는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9.11 테러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미국의 '국립9.11추모박물관'에서는 관련된 사람들의 구술을 채록하기 위해 여러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2013년 발생한 보스톤 마라톤 폭탄 테러를 기억하기 위해 '아워 마라톤'이라는 크라우드 소싱 디지털 아카이브가 구축됐다. 지역의 대학과 기관들이 협업해 만든 이 아카이브에서는 구술채록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팬암 항공 103편 테러사건은 시라큐스 대학에서 아카이브를 설립했다. 이곳 역시도 졸업생, 교직원, 희생자의 가족과 친구 등에게 구술을 수집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 관련 구술 역시도 이런 해외 사례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으로 수집해야하며, 희생자 추모 등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다시는 이런 재난이 이 땅에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경북 지역의 사과, 배, 복숭아, 포도, 자두과원의 잡초 발생 분포 및 우점도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Occurrence on Orchards of Apple, Grape, Peach, Pear, and Plum of Gyeongbuk Province)

  • 김상국;신종희;김세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2호
    • /
    • pp.51-59
    • /
    • 2016
  • 본 연구는 2015년 2월부터 8월까지 경상북도 12개 시군에서 경북 지역의 주요 과수인 사과, 포도, 복숭아, 포도, 자두 과원에 발생되는 잡초종을 동계잡초와 하계잡초로 나누어 우점도를 조사하였다. 사과 과원에서는 36과 105종, 포도 과원 34과 126종, 복숭아 과원 34과 126종, 배 과원 33과 98종, 자두 과원 36과 111종이었다. 과원별 우점도는 사과 과원의 경우 이년생 잡초 6.09%, 포도 과원의 경우 이년생 잡초 7.32%, 복숭아 과원의 경우 일년생 잡초 4.74%, 배 과원의 경우 일년생 잡초 6.57%, 자두 과원의 경우 이년생 잡초 5.38%였다. 주요 과원별 동계잡초에 대한 과와 종수는 사과 과원 31과 89종, 포도 과원 28과 71종, 복숭아 과원 32과 111종, 배 과원 27과 68종, 자두 과원 33과 83종이었고 하계잡초에 대한 과와 종수는 사과 과원 31과 101종, 포도 과원 27과 69종, 복숭아 과원 29과 91종, 배 과원 31과 94종, 자두 과원 31과 97종이였다. 주요 과원별 동계 우점잡초는 사과 과원(냉이), 배 과원(별꽃), 복숭아 과원(냉이), 포도 과원(냉이), 자두 과원(망초)이었고, 하계우점잡초는 사과 과원(깨풀), 배 과원(쑥), 복숭아 과원(강아지풀), 포도 과원(강아지풀), 자두 과원(강아지풀)이었다.

경북지역 논 잡초 발생분포 조사 (A Survey of Weeds Occurrence on Paddy Fields in Gyeongbuk Province in Korea)

  • 김상국;김학윤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6-12
    • /
    • 2014
  • 본 조사는 2013년에 경북지역 13개 시 군의 320지점에서 논 잡초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경북지역의 논잡초 조사결과, 27개과(family) 51초종(species)이었고 과별로는 벼과(family) 9초종, 사초과(family) 5초종, 마디풀과(family) 4초종, 국화과(family) 4초종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 잡초종의 생활형태는 일년생잡초 34종, 다년생잡초 17종으로 대부분 일년생잡초였다. 경북지역의 우점잡초는 물달개비(10.80%) > 좀개구리밥(10.74%) > 가막사리(8.77%) > 강피(7.17%) > 올챙이고랭이(6.20%) > 올방개(6.13%) > 벗풀(5.85%) 순이었다. 물달개비, 좀개구리밥, 가막사리, 강피,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벗풀의 우점도는 전체 잡초종의 50%이상 차지하였고 TWINSPAN 분석을 통한 지역별 잡초종의 유사성은 여뀌바늘, 올챙이고랭이, 미국외풀, 마디풀, 뚝새풀에 의해 구분되어 추후 경북지역 논 잡초의 발생 양상을 예측하며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논 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Description of eight new mitochondrial genomes for the genus Neoarius and phylogenetic considerations for the family Ariidae (Siluriformes)

  • Luiz Guilherme Pereira Pimentel;Iuri Batista da Silva;Igor Henrique Rodrigues-Oliveira;Rubens Pasa;Fabiano Bezerra Menegidio;Karine Frehner Kavalco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1권4호
    • /
    • pp.51.1-51.5
    • /
    • 2023
  • The genus Neoarius, known as marine catfish, is a group of the family Ariidae, composed of 10 species found in Oceania. None of the species in this genus have their mitochondrial genome described, which is highly valuable in phylogenetic and molecular evolution studies. For the present work, eight species from the Neoarius genus were selected: Neoarius utarus, Neoarius midgleyi, Neoarius graeffei, Neoarius leptaspis, Neoarius berenyi, Neoarius paucus, Neoarius pectoralis, and Neoarius aff. graeffei. DNA sequences of the eight species were obtained through the NCBI Sequence Read Archive (SRA) database, and the mitochondrial genomes were assembled using the NOVOplasty tool on the Galaxy platform, subsequently annotated with the MitoAnnotator tool. We then utilized the protein-coding genes from the mitogenomes to estimat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group, including seven additional mitogenomes available in the NCBI. In all species, the mitochondrial genomes presented 13 protein-coding genes, 2 rRNA genes, 22 tRNA genes, and 1 D-loop.

노가재공댁 「Jusikbangmun (주식방문)」과 이본(異本)의 내용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s of Nogajae's 「Jusikbangmun」 and Its Different Version)

  • 차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69-285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wo respective versions of Jusikbangmun: Nogajae's and National Library of Korea. Types and composition of recipes, archives, classification of names and contents, techniques, tools, and measurement were analyzed. Nogajae's, owned by the Yuwagong family, has established sources while the writer and its publication year are unknown. The other version from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on the other hand, has a clear publication year (February, Year Jeongmi) while writer is unclear. In terms of its archive, Nogajae's is twice the size as that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hich is the same percentage (85.42%) as that from Nogajae's. However, six types of liquor have been written in its 2 books, respectively, and no overlaps occurred. Considering the Korean alphabet, Nogajae's was published earlier. Nogajae's and the one from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have 104 kinds of foods (118 times) and 50 kinds of foods (51 times), respectively.

경북지역 양파, 마늘, 감자, 보리밭의 잡초 분포 및 우점 특성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Occurrence on Onion, Garlic, Potato, and Barley Fields of Gyeongbuk Province)

  • 김상국;신종희;박상구;김세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2호
    • /
    • pp.77-84
    • /
    • 2015
  •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9월까지 경북지역 13개 시 군의 식량작물(양파, 보리, 마늘, 감자) 재배포장에 발생되는 잡초의 분포와 우점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양파밭은 30과 125종, 마늘밭은 29과 101종, 감자밭은 30과 88종, 보리밭은 27과 108종으로 조사되었다. 잡초종 수에 따른 주요 과(family)는 Table 2와 같다. 양파밭에서는 국화과(Compositae) 33종으로 전체 잡초종에서 26.4%, 마디풀과(Polygonaceae)와 십자화과(Cruciferae) 11종으로 8.8%를 차지하였다. 동계작물 재배지의 주요 5개 과에 대한 초종수와 점유율은 양파밭 73종 58.4%, 마늘밭 58종 57.5%, 감자밭 51종 58.0% 및 보리밭 66종 61.1%로 양파밭, 보리밭, 마늘밭, 감자밭 순으로 초종이 많았고 초종별 점유율은 보리밭에서 61.1%로 가장 높았다. PCA (Principal Community Analysis) 분석에서 보리밭의 벼룩나물, 뚝새풀 및 쇠별꽃은 마늘, 양파 및 감자밭에서 발생되는 초종과 뚜렷한 구별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