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626/jkfrma.2020.24.3.005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Official Family-related Service History Archives in Korea  

Kim, Kyoung A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Sookmyung Women's Univ.)
Park, Mee Sok (Dept. of Family &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
Kang, Bog Jeong (HQ for Regional Centers,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Lee, Young-ho (The Seoul Metropolitan Single Parent's Family Support Center)
Choi, Saeeu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 JeeWon (Dept. of Family &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
Kim, Mi Young (Dept. of Family &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4, no.3, 2020 , pp. 79-10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archives on the official family service history in Korea. The study collected records of family policies and official family service from 1948 to 2019 and thereafter attempted to classify the official family service. In addition, experts were consulted to diagnose compliance with research contents and directions, investigate priorities of the family policies, and provide opinions on the elements of each process of archiv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ive areas of concern to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 archive of official family services: concept, scope, collection, arrangement,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Second, the findings suggest which processes are critical to developing a sustainable and systematic archive system for the official family service history. The construction of the archives will provide a platform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integrated family policies and inform the direction of future family policies in Korea. In addition, these archives will be an important factor in building a solid Korean national identity.
Keywords
Official Family Service; Family Policy; Archiv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최정태.이애란.이영숙(2006). 기록학개론. 서울:아세아문화사.
2 한국기록학회(2008). 기록학 용어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3 De Haan, F.(2004). A "Truly International" Archive for the Women's Movement (IAV, now IIAV): from its foundation in Amsterdam in 1935 to the return of its looted archives in 2003. Journal of Women's History, 16(4), 148-172.   DOI
4 Iacovino, L. (2010). Rethinking archival, ethical and legal frameworks for records of Indigenous Australian communities: A participant relationship model of rights and responsibilities. Archival Science, 10(4), 353-372.   DOI
5 Miller, F. M.(1990). Arranging and describing archives and manuscripts. Chicago :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6 국가법령정보센터(2019). http://www.law.go.kr
7 여성가족부 공식블로그(2019). 문재인 정부 2년, 내 삶을 바꾼 2년 - 여성정책 편 https://blog.naver.com/mogefkorea/221540102901
8 대한민국정부(2013). 이명박정부 국정백서 07, 08, 09, 10권. 서울: 대한민국정부.
9 박복순(2018). 가정폭력처벌법 시행 20주년의 평가 및 향후 과제. 여성연구, 99(4), 181-218.
10 백영주.김수자(2005). 여성사 관련 자료의 보존현황과 관리방안: 해방이후~1980년대 여성정책 및 여성단체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1), 5-21.   DOI
11 보건복지가족부(2008). 제1차 건강가정기본계획(2006~2010): 보완판 함께 가는 가족2010.
12 서은경.박희진(2019). 기록콘텐츠 기반의 아카이브 전시 활성화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9(1), 69-93.   DOI
13 신동희.김유승(2016).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30), 1-30.
14 양애경(2012). 사회발전을 향한 여성통합 30년의 성과와 전망(II): 여성정책 20년의 성과점검 및 여성정책 선진.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5 여성가족부(2019b). 2019년 가족사업안내(II).
16 김화경(2012). 마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 전략.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43-161.   DOI
17 이정우.지금수.이정숙.최동숙.최덕경.계선자.김경숙.박미석.이명숙(1997). (최신)가정경영학. 서울: 수학사.
18 김유승.류반디(2015). 노근리사건 도큐멘테이션 전략 수립을 위한 예비 분석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4), 173-194.   DOI
19 김윤영.안병헌(2012). 김백봉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7, 19-46.
20 최장락.이상희(2013). 대전지역 아카이빙 자료의 근대문화유산적 가치와 활용. 디지털융복합 연구, 11(7), 1-7.
21 대통령비서실(1998). 김영삼 문민정부 국정 5년, 변화와 개혁, 그 도전과 시련. 서울: 대통령비서실.
22 천호준.김주학(2008). 스포츠 아카이브의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체육학연구, 19(3), 140-151.
23 김익한.권소현(2010). 강릉단오제 기록화 방안에 대한 연구. 기록학연구, 24, 173-214.   DOI
24 여성가족부(2019e). 2019년도 시행계획 -제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8~2022).
25 오정희.정연경(2015). 대통령기록물 수집을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1), 90-125.
26 이연숙.한지수.한영선.김하늬(2009).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에 게재된 연구의 경향 및 발전방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207-226.
27 윤덕경(2017).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성과와 과제. 젠더리뷰, 44, 4-11.
28 강민정(2019). 가족친화인증제 실효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안). 2019 KWDI 이슈페이퍼 10월호.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9 강복정(2012). 한국의 다문화가족정책 및 서비스의 현황분석. 다문화사회연구, 5(1), 143-190.
30 김영숙.우정한(2012). 다문화가정의 실태와 지원정책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다문화 콘텐츠연구, 13, 69-103.
31 김정하(2007). 기록물관리학 개론. 파주: 아카넷.
32 김혜경.도미향.문혜숙.박충선.손흥숙.오정옥.홍달아기(2014). 가족복지론. 경기: 공동체.
33 설문원(2010). 지역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기록학연구, 26, 103-149.   DOI
34 여성가족부(2019a). 2019년 가족사업안내(I).
35 유범상(2012). 전환기의 사회정책과 가족: 정치적 상상력으로 조망한 가족정책. 한국가정관리학회 2012 춘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3-27.
36 이기영.문숙재.송혜림(1996). 공공가정경영론. 서울: 학지사.
37 이진숙(2017). 가족의 다양화에 따른 가족 서비스 지원 체계 효율화 방안 모색. 보건복지포럼, 252, 78-91.
38 이혜린.박주석(2020). 1970년대 여성 노동자 아카이빙 방법론 연구: 전시 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3, 145-165.   DOI
39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보건복지부(2019). 제3차(2016~2020)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40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20). 2020년 건강가정지원센터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장평가단 워크숍 자료집.
41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2019). https://www.ica.org/en/what-archive
42 장명욱(1982). 가정학원론. 서울: 교문사.
43 국정기획자문위원회(2017).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44 국정홍보처(2008). 참여정부 국정운영백서 ④ 사회. 서울: 국정홍보처.
45 이진숙.안은숙(2006). 가족복지정책의 발전 과정 속에 나타난 쟁점들과 대응. 사회복지연구, 30, 5-38.
46 이현아(2018).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아버지참여 프로그램 현황 및 만족도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3), 61-76.
47 이희재(2004). 아카이브의 효율적인 운영과 정리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4), 231-249.   DOI
48 정영금(2017). 일상의 학문, 가족자원경영학의 연구경향과 미래.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61-75.
49 정지연(2019). 강원학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이론적 연구. 인문과학연구, 62, 29-53.
50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2013).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제안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
51 노무현 정부 국정운영백서(사회)(2019). http://president.rohmoohyun.pa.go.kr
52 조희금.고선강.박정윤.성미애.송혜림.이승미.이현아.장진경.정민자(2014). 건강가정기본법 백서. 서울: 대한가정학회.
53 강원아카이브(2020). https://archivemodoo.modoo.at/
54 Ham, F. G.(1993). Selecting and Appraising Archives and Manuscripts,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55 고용노동부 보도자료(2016.2.18). '임신기 단축 + 출산휴가, 육아휴직 + 전환형 시간선택제' 패키지 방식 활용 제도 도입 제 1호 기업 탄생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6410
56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안내(2019). https://www.familynet.or.kr/index.jsp
57 성평등아카이브(2020). http://www.genderarchive.or.kr/
58 여성가족부(2019d). 2019년 한부모가족지원사업 안내.
59 김영옥.김이선.황정미.황정임.마경희(2006). 제3차 여성정책기본계획(안). 서울: 여성가족부.
60 여성가족부(2019c). 2019년 다문화가족지원 사업안내.
61 관계부처합동(2020). 제3차 건강가정기본계획(보완) (2016~2020) 2020년 시행계획. 여성가족부 홈페이지.
62 윤홍식.류연규.송다영.신경아.윤성호.이숙진.안세아(2011). 국내외 가족정책의 쟁점과 가족환경변화.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63 Pearce-Moses, R.(2005). A glossary of archival and records terminology. Chicago : 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64 정현미(2017).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성과와 과제. 젠더리뷰, 12-20.
65 방민석(2016). 국정과제의 설정, 변화와 관리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4), 2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