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aster Documentation through Oral History : Focus on Sinking of the MV Sewol

구술을 통한 재난 사고의 기록화 세월호 참사 관련 구술을 중심으로

  • 송주형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과, 한국외대 기록학연구센터)
  • Received : 2015.03.13
  • Accepted : 2015.04.13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Disaster of Sewol took place in one year. Meanwhile, the victim's family and the call time record academics have tried to record it. Ansan activists have moved to objectives such as civil records committee also pivotal. The citizens committee under the dictation recording oral history team has a diverse group of people associated with the time issue. bereaved families were collected from the oral as well as volunteers, religious personnel, activists, Ansan citizens and various people. Disasters around the world is also an important event to remember and honor the people together, and one of the most effective means to record There it is establishing an oral history archive. Does not leave a lot of nature history of sudden disasters that occur, as well as a tribute record dictation telling people of diverse perspectives on events helps a lot closer to the reality of the event. Erected in the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Museum to honor the Sept. 11 attacks and provide a variety of programs to chaerok dictation of the people involved with 9/11. To remember the 2013 Boston Marathon bombing 'Our Marathon' of crowdsourcing digital archive was built. In the archives of the local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were created to collaborate actively and gathering oral history. Pan Am Flight 103 pieces terror has established an archive from Syracuse University. Here, neither graduates, faculty, and to the victim's family and friends gather and oral hitory. Disaster-related Sewol neither should be able to be used as in the case of foreign well, and it should continue to honor the victims of the collection. It also ought to occasion again to avoid this disaster on earth.

세월호 참사가 벌어진지 1주기가 됐다. 사건발생 후 지금까지 기록학계를 비롯한 많은 이들이 사건을 기록하기 위해 노력했다. 안산활동가들이 주축이 된 시민기록위원회도 그중 하나다. 시민기록위원회 산하 구술증언팀에서는 세월호와 관련된 다양한 사람들의 구술을 채록해왔다. 세월호 유가족은 물론 자원봉사자, 종교계 인사, 시민운동가, 안산 시민 등으로부터 구술을 수집했다. 전 세계적으로 재난은 모두가 함께 기억하고 추모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이를 기록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수단 중 하나는 구술 아카이브 구축이다. 갑작스레 발생하는 재난의 특성상 기록이 많이 남겨지지 않고, 추모기록을 비롯해 사건에 대한 다양한 시각의 사람들이 들려주는 구술이야 말로 사건의 실체에 다가서는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9.11 테러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미국의 '국립9.11추모박물관'에서는 관련된 사람들의 구술을 채록하기 위해 여러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2013년 발생한 보스톤 마라톤 폭탄 테러를 기억하기 위해 '아워 마라톤'이라는 크라우드 소싱 디지털 아카이브가 구축됐다. 지역의 대학과 기관들이 협업해 만든 이 아카이브에서는 구술채록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팬암 항공 103편 테러사건은 시라큐스 대학에서 아카이브를 설립했다. 이곳 역시도 졸업생, 교직원, 희생자의 가족과 친구 등에게 구술을 수집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 관련 구술 역시도 이런 해외 사례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으로 수집해야하며, 희생자 추모 등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다시는 이런 재난이 이 땅에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Keywords

Cited by

  1. 미국 9/11 메모리얼의 설립과 재난컬렉션 수집에 관한 연구 vol.55, pp.None, 2015, https://doi.org/10.20923/kjas.2018.55.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