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gopyrum esculentum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9초

메밀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으로서의 응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for Cosmeceutical of Fagopyrum esculentum Extracts)

  • 김진영;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3-9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화장품에의 응용하기 위하여, 메밀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및 항주름 효능을 측정하고, 그 추출물의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씨앗 부분의 껍질과 껍질을 제거한 속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항산화 효능은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DPPH)을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OS)의 소거 활성 측정, rose-bengal과 빛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의 용혈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미백과 항주름 효능으로는 tyrosinase와 elastase의 활성 저해 능력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 측정 결과, 대부분 메밀 속 50% ethanol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분획 및 추출물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Free radical 소거활성($FSC_{50}$)과 총항산화능($OSC_{50}$)은 각각 메밀 껍질의 aglycone 분획($3.5{\pm}0.0{\mu}g/mL$)과 ethyl acetate 분획($0.2{\pm}0.1{\mu}g/mL$)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포보호활성(${\tau}_{50}$)은 메밀 껍질의 ethyl acetate 분획이 10 ${\mu}g/mL$에서 $771.7{\pm}9.9$ min으로 $^1O_2$으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작용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Tyrosinase 활성 저해 능력($IC_{50}$)은 메밀 껍질과 속의 aglycone 분획이 각각 $53.6{\pm}0.5{\mu}g/mL,\;35.6{\pm}0.4{\mu}g/mL$으로 arbutin보다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Elastase 활성 저해 능력($IC_{50}$) 또한 메밀 껍질과 속의 aglycone 분획이 각각 $3.7{\pm}0.4{\mu}g/mL,\;6.0{\pm}0.7{\mu}g/mL$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나타내는 메밀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메밀 속의 ethyl acetate 분획에는 (+)-catechin, (-)-epicatechin이 함유되어 있었고, 껍질에는 hyperin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quercetin, rutin 등의 많은 플라보노이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메밀 속 및 껍질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또한 태양 자외선으로 인한 기미, 주근깨 과형성 및 주름 생성에 있어 상당한 저해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Characteristics of F$_2$Hybrids from Crosses between Korean Cultivars and Canadian Cultivars in Buckwheat(Fagopyrum esculentum Moench.)

  • Yoon, Kyoung-Min;Hong, Soon-Kwan;Park, Cheol-Ho
    • Plant Resources
    • /
    • 제5권1호
    • /
    • pp.45-50
    • /
    • 2002
  • Korean cultivars of buckwheat(Fagopyrum esculentum Moench.) was crossed with Canadian cultivars in order to improve seed yield as well as leaf production of buckwheat for using as food and medicin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rutin contents of F$_2$ hybrids are investigated for further selection of superior lines. Dry weight per plant was the highest in a line 1110(6.71g) and leaf weight per plant was the highest in a line 1110(1.91g). Hybrid seeds were 0.55 - 0.70cm long and 0.37 - 0.47cm wide on average. 100 seeds weight ranged from 2.57g to 3.58g. Line 1076 produced the longest seeds(0.70cm) and line 1186 was the longest in seed width. Line 1196 showed the highest 100 seeds weight(3.58g).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LWR(length/width rate) was 0.66~0.70, indicating that seed shape of the hybrids was mostly oval. Line 1087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rutin(77.26ppm). Lines 1090 and 1181 contained respectively rutin of 54.76ppm and 54.35ppm in the seeds. From the yield and rutin point of view, the most superior lines was line 1087 among the lines used for this study.

  • PDF

몇가지 식물에 있어서 어린순의 식품학적 가치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Basic Research of Development for Food of Seedling in Some Plants)

  • 박석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35-339
    • /
    • 1995
  • 최근 소비자들의 신선한 채소 요구에 따른 수요증가로 볼 때 어린순의 소비는 크게 늘어 날 것으로 보나 국내에서는 무순외에는 거의 개발이 안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중에서 어린순을 채소로 개발할 수 있는 것을 선발하고자 기초연구로써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실험에 사용된 12종의 식물중에서 가걱은 들깨, 메밀, 무등이 낮은 값을 보였다. 2. 발아율은 전체적으로 낮았으나 그중 무, 소엽, 메밀, 항금 및 들깨가 상대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3. 발아세는 발아율보다 낮으며 그중 소엽, 무, 메밀 및 황금이 상대적으로 높은 발아세를 보였다. 4. 식미특성중 외관상으로 무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5. 맛은 황금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6. 조직감은 메밀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7. 기호도는 소엽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 PDF

Isolation and Structural Elucid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Buckwheat Hull

  • Cho Jeong-Yong;Moon Jae-Hak;Kim Hye-Kyung;Ma Seung-Jin;Kim Seon-Jae;Jang Mi-Young;Kawazoe Kazuyoshi;Takaishi Yoshihisa;Park Keun-H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538-542
    • /
    • 2006
  • Three new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s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hull, and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to be 6,7-dihydroxy-3,7-dimethyl-octa-2(Z),4(E)-dienoic acid (1), 6,7-dihydroxy-3,7-dimethyl-octa-2(E),4(E)-dienoic acid (2), and 4,7-dihydroxy-3,7-dimethyl-octa-2(E),5(E)-dienoic acid (3) by NMR and MS spectroscopic analyses. These compounds at $500{\mu}g$ concentration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demonstrated by the paper disc method.

단메밀과 쓴메밀의 ITS 염기서열 기반 식별마커 (Discriminability of Molecular Markers Based on Muclear Ribosomal ITS Sequences of Fagopyrum esculentum and F. tataricum)

  • 오대주;현호봉;임태준;윤선아;함영민;윤원종;양우삼;정용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45-757
    • /
    • 2018
  • We analyzed the nuclear ribosom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 of common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and tartary buckwheat, F. tataricum. The diversity of the nucleotides and haplotypes, Tajima's D, and Fu's Fs was analyzed and compared among the varieties of common buckwheat and tartary buckwheat. The diversity of nucleotides and haplotypes indicated that the buckwheat populations had undergone rapid population expansion but D and Fs did not support their expansion statistically.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ITS sequences did not clearly establish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eties of common buckwheat. The In/Del sequence of ITS-1 region could, therefore, be used as a DNA marker to distinguish raw or manufactured products derived from common buckwheat and tartary buckwheat.

Analysis of Changes in the Phytochemical Content of Tartary Buckwheat Flowers and Seeds during the Post-flowering Growth

  • Jun Young Ha;Hyeong-Hwan Lee;Dong Yeol Lee;Won Min Jeong;Dong Gyu Jeong;Hwan Hee Bae;Mi-Jin Chae;Jinseok Lee;Gun Ho Jung;Sang Gon Kim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38-147
    • /
    • 2023
  •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which is a traditional Korean crop, has been known as a health food due to its rich nutr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nge in flavonoid content of flowers and seeds during post-flowering growth of Korean tartary buckwheat variety 'Hwanggeummiso',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and feed additive. Tartary buckwheat took 69 and 99 days from the sowing date to reach the flowering and maturity stage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lavonoid components of each part of tartary buckwheat, chlorogenic acid, rutin, and isoquercitrin of flowers increased from the flowering period on 22 May (0 days after flowering) to 42 days after flowering, while quercetin increased until 21 days after flowering and then decreased thereafter. In seeds, chlorogenic acid, rutin, and isoquercitrin were most abundant at the time of seed-bearing on 14 days after flowering, and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thereafter. On the other hand, quercetin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until 21 days after flowering and then decrease. Overall, the flavonoid content was higher in flowers than in seeds, with rutin being particularly prominent. Based on this, the possibility as food materials and feed additives was confirmed using buckwheat produced in Korea.

메밀 육성 품종의 주요 농업특성 비교 (Comparison of Main Chracteristics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Cultivars Grown in Korea)

  • 김수정;손황배;김율호;남정환;이종남;장동칠;서종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6-26
    • /
    • 2021
  • 메밀(Fagopyrum esculentum Moench)은 마디풀과(Polygonaceae) 메밀속 (Fagopyrum)으로 약 20종이 있으며, 전 세계 인류 역사와 함께해 왔으며, 오랫동안 사랑을 받아 온 작물이다. 메밀 생태형 분류는 늦게 파종할수록 종실 수량이 떨어지는 여름메밀, 반대로 늦게 파종할수록 종실 수량이 증가하는 가을메밀과 중간형 메밀이 있다. 여름메밀 대표품종은 양절메밀, 양절메밀2호가 있다. '양절메밀'은 춘파·하파 재배가 가능한 여름메밀 품종으로, 1994년 육성되어 장려 품종으로 결정되었다. '양절메밀'의 특성은 유한생육 초형으로, 조숙·단간·다수성 이며, 꽃색은 흰색이며 종자는 흑색이다. 성숙일수는 60-64일로 짧으며, 성숙 후에도 탈립이 강하고, 경장은 단간으로, 도복에 강한 편이다. 그 후 수량성이 증가된 '양절메밀 2호'가 육성되었다. 양절메밀2호는 대립종자로 종자가 흑갈색이며 천립중도 29.5g으로 양절메밀보다 무겁다. 가을메밀로는 대산메밀, 다원 및 순백이 육성되었다. 싹용인 '대산메밀'은 줄기가 연홍색이고 종자가 갈색이었다. '대산메밀'은 가을메밀 품종으로 가을 재배에 적합하다. 경장은 중장간종이며, 생육 일수는 양절메밀보다 약간 늦은 중생종이다. 메밀싹 수율이 높아 새싹 재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