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tors of Victory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4초

빅데이터를 통한 공격작전 승리요인 효과측정도구 개발 및 분석 : KCTC 훈련사례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ffect Measurement Tool for Victory Factors in Offensive Operations Using Big Data Analytics)

  • 김각규;김대성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1-130
    • /
    • 2014
  • For the key factors determining victory of combat, many works have been focusing on qualitative analyses in the past. As military training paradigm changes along with technology developments, demands for scientific analysis to prepare future military strength increase regarding military training results, and big data analysis has opened such possibility. We analyze the data from KCTC (Korea Combat Training Center) training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ed victory in offensive operations. In this context, we develop a way to measure the victory and the factors related to it from existing studies and military doctrines. We first identify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offensive operations through variable selection and propose a mathematical model to explain combat victory by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also verify our results with battalion-level live training data as well as previous studies on victory factors in the military doctrines.

네트워크 중심전(NCW)하에서의 군사작전 원칙 (Principles of War under the NCW environment)

  • 최성수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8호
    • /
    • pp.311-350
    • /
    • 2010
  • War has been existing with human history. There seems to be two approaches of war study. One is to deter war among politicians, the other is to get victory in a war among soldiers. Many scholars and soldiers tried to find out the way of victory at war, that is, the major factors of victory at war. They found out some factors that dominate the victory of war through numerous experiences of war, and we call it 'principles of war'. The principles of war which we are using has been shaped during past three centuries. But, nowadays rapid change in the environment of war has brought the change of features of warfare and method of waging war. NCW may be the most typical example of new environment of war. The Iraque War may be the most recent modem war performed under the NCW environment. And the Iraque War brought up the need of new principles of war adaptable to the NCW environment. This article is focusing on new principles of war that comprehends future wars. I suggest that some principles of war which we are using should be supplemented to be understood its own conception, and new principles are needed such as principle of paralysis, principle of synchronization & Integration.

  • PDF

탁구 동호인의 스포츠 재미요인이 운동지속의지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orts Fun Factors on Willingness to Continue Exercise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Table Tennis Club Members)

  • 김점순;홍상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2호
    • /
    • pp.149-156
    • /
    • 2023
  • 본 연구는 생활체육 탁구 동호인의 스포츠 재미요인이 운동지속의지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알아보고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탁구 동호인 293명을 대상으로 스포츠 재미요인, 운동지속의지, 심리적 행복감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운동지속의지에 영향력을 주는 요인은 승리/경쟁, 대인관계, 연습/혜택, 가족지원으로 파악되었으며 운동지속의지는 자아실현과 쾌락적 즐거움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요인인 유능성/지각, 승리/경쟁, 대인관계, 연습/혜택, 가족의 지원이 심리적 행복감인 자아실현, 쾌락적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운동지속의지의 매개 효과분석 결과 유능성/지각만을 제외한 모든 요인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대인관계(팀 분위기) 요인이 타 요인보다 자아실현과 쾌락적 즐거움에 높은 매개효과를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쟁이론 관점에서의 COVID-19 Pandemic 분석 (Analysis of COVID-19 Pandemic in terms of War Theory)

  • 한승조;위진우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81-9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쟁이론 관점에서의 COVID-19를 분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전쟁이 국제적인 상황에 따라 그 패러다임과 국가 위기관리 시스템을 변화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최근의 COVID-19도 언택트 문화를 특성으로 하는 New Normal의 시대를 야기하고 있다. COVID-19와 관련된 학술적 연구가 주로 의학, 관광, 경제적인 분야에 초점이 맞추어졌지만, 군사학이나 전쟁이론 측면에서의 연구는 미진한 형편이다. COVID-19가 국가의 생명과 재산상에 막대한 위협을 주고 있기 때문에 전쟁이론 측면에서 COVID-19를 극복해야 할 적으로 간주 할 수 있으며, 전쟁이론 중에 전쟁의 속성과 양상, 승리요인 측면에서 현 COVID-19 상황에 대해 분석이 이루어진다. 정석적 분석 및 설문을 통한 정량적 결과 COVID-19는 전쟁의 속성 및 양상 측면에서 실제 전쟁과 매우 유사한 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과거 전쟁의 승리요인을 바탕으로 COVID-19의 효과적인 극복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분석적계층과정(AHP)을 통한 극복요인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명확한 목표와 동맹관계 확립이 COVID-19를 성공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우선 시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A Baseball Batter Evaluation Model using Genetic Algorithm

  • Lee, Su-Hyun;Jung, Yerin;Moon, Hyung-Woo;Woo, Yong-T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41-47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batter evaluation model that reflects the skill of the opponent pitcher in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The model consists of evaluation factors such as Run Value, Contribution Score and Ball Consumption considering the pitcher grade. These evaluation factors are calculated as different data. In order to include the evaluation factor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into one model, each evaluation factor is weighted and added. The genetic algorithms were used to calculate the weights, and the data were based on the 2016 records of Korea Professional Baseball and the salary data of the players of 2017. As a result of calculation of the weight, the weight of the Run Value was high and the weight of the Contribution Score was very low. This means that when calculating the annual salary, it reflects much of the expected score according to the batting result of the batter. On the other hand, the contribution score indicating the degree to which the batting result contributed to the victory of the team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economy is not reflected in the salary or point system.

융합을 활용한 신체적 유능감이 체육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ysical Competence Using Convergence on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

  • 김동환;신이수;김승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55-26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적 유능감과 체육수업 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 고교학생을 대상으로 편의추출방법을 사용하여 556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은 PASW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요인에 대한 기술통계를 제시하였으며, 요인추출 및 문항의 내적 일관성 확인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신체적 유능감과 수업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규명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유능감과 교수행동의 관계에 있어 피드백 요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적 유능감과 체육성적의 관계에 있어 승리, 동료비교 요인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유능감과 체육환경의 관계에 있어 피드백, 대리경험 요인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체적 유능감과 운동능력의 관계에 있어 피드백 요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픽모델을 활용한 명문대 재학생의 학벌에 관한 인식 분석 (A Prestigious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Educational Attainment by a Topic model)

  • 정영선;이승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503-512
    • /
    • 2024
  •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명문대로 분류되는 한 대학의 학생이 작성한 학벌에 대한 글쓰기 과제를 분석하여 이들이 가진 학벌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내재한 의미를 분류한 연구이다. 분석에서 활용한 방법은 토픽 모델 중 잠재 디리클레 할당 방법으로 총 172편의 문서를 분석한 후 각 토픽에서 빈출한 키워드가 자주 등장하는 문서를 중심으로 학생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한 토픽은 학벌의 순기능(토픽 1), 양날의 검(토픽 2), 권력공동체(토픽 3), 승리의 징표(토픽 4), 학벌의 역기능(토픽 5)의 다섯 가지이다. 각 토픽에서 가장 빈번하게 제시되는 단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토픽 1에서는 '개인', '지위', '수단'이, 토픽 2는 '정의(定義)', '학교', '의미'가, 토픽 3은 '사람', '출신', '권력'이, 토픽 4는 '대학(교)', '능력', '노력'이, 토픽 5는 '학력', '우리나라', '출신'이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우리는 명문대 학생이 학벌을 논할 때 계급과 학벌 공동체, 사회와의 관련성을 통하여 계급재생산을 고려하지만 인종 및 민족와 같이 학벌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에 대하여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의 관련 강의에서 보다 다양한 요인과 학벌의 관련성을 다룰 필요가 있다.

무기체계 획득관리의 최적화 (I) -무기체계 획득시스템의 선정을 위한 비용대효과분석모형을 중심으로- (The Optimal Process of Weapon Acquisition Management (I)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ost/Effectiveness Model for the Selection of Weapon Acquisition System-)

  • 이진주;권태영;주남연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9-77
    • /
    • 1977
  • Weapon systems are curcial instruments for the security of a nation and critical elements for the victory in a war. Since modern weapon systems tend to be capital-intensive with high precision and quality, they become more and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their acquisition costs become huge; and their technological obsolescence becomes accelerated. Therefore,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weapon acquisition process w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defense tasks at the national level. To analyze such problems and find solutions, this paper has studied various aspects related to the efficient management of weapon system acquisition. After brief summariza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weapon systems, their effectiveness, and developmental trend, the paper discusses the defense management policies and techniques for the weapon systems. Specifically, four alternative acquisition methods such as indigenous R & D, foreign purchase, co-production and joint-production are discussed and analyzed by systems approach. The systems analysis procedure to evaluate and select weapon acquisition method is as follows; 1) to analyze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alternative methods, 2) to screen unrealistic alternative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significant factors such as political, economic, military, technological, and social constraints, 3) to evaluate and select an optimal one among the remaining acquisition methods after the cost-effectivenss analysis. For the base of cost-effectivess analysis, cost analysis model as well as effectiveness analysis model of each acquisition method are developed.

  • PDF

비대칭전 주요사례 연구 (Study on the Case of the Asymmetric War)

  • 김성우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6_1호
    • /
    • pp.25-32
    • /
    • 2016
  • 비대칭전은 상대방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도록 상대방과 다른 성격 및 기능을 가진 수단과 방법으로 수행하는 작전이며 '이질성'과 '우월성'을 원칙으로 한다. 여기서 '이질성'이라 함은 적이 보유하고 있지 않거나 개발하지 못한 무기체계를 운용하여 적의 취약분야를 공격하거나 적의 능력을 파괴하는 것이며, '우월성'은 적보다 양적 질적 측면에서 압도하는 능력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비대칭 전략의 유형은 복잡하기 때문에 다양한 비대칭 전략의 유형분류가 가능하다. 따라서 비대칭전에 대한 여러 측면에서의 이해가 요구된다. 비대칭전의 관점에서 본다면, 고대전투에서 현대전에 이르기까지 혁신적인 방법과 전략 전술로 적을 격멸한 사례들은 비대칭전의 사례로 볼 수 있다. 전투에서 승리한 핵심요인에는 비대칭 전략 및 수단의 차별적 우월성이 반드시 존재했고 앞으로도 이러한 현상은 지속될 것이다. 한 때 창출된 비대칭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대편이 모방적으로 적응하여 비대칭이 소멸된다. 현대전에서 전략적 전술적 비대칭의 우위를 확보하려면 새로운 비대칭 전에 대하여 연구하고 상대방의 전략과 전술에 대응하는 방책개발을 계속해야 한다.

비정규직 노동자 투쟁의 승패와 조직력 변화 (The success and failure of non-regular workers' struggles and their effects on organizational strength)

  • 조돈문
    • 산업노동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9-176
    • /
    • 2011
  • 민주노조운동과 노동계급 형성의 후퇴기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투쟁과 함께 새로운 계급형성의 잠재적 주체로 등장했다. 하지만 주체 형성의 효과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왜 투쟁은 성과를 내지 못했는가? 어떤 변인들과 인과적 메커니즘을 통해 투쟁의 성과가 결정되는가? 이러한 물음들에 대한 답변을 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정규직 투쟁에 비해 비정규직 투쟁은 자본의 공세에 대응하는 수세적 방어적 성격이 짙고, 생산현장 접근성 제약으로 파업 투쟁 이외의 방식에 의존하며, 사측의 비타협성으로 인해 장기화되고, 교착상태를 타개하기 위해 극단적 투쟁 방식에 호소하며, 정규직 연대 확보가 어려워 외부연대에 크게 의존하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비정규직 투쟁은 승리보다는 패배, 조직력 강화보다는 약화로 귀결되는 경향이 강하다. 패배 경향성을 상쇄하고 승리하기 위해서는 비정규직 주체들의 조직 동원 역량과 정규직 노조의 연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조건이며, 강력한 사회적 연대나 위치적 권력은 정규직 연대의 대체재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투쟁이 조직력 강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투쟁의 승리가 필요하지만 투쟁의 승리로 쟁취한 정규직화가 승리의 덫이 될 수도 있다. 정규직 노조의 연대와 투쟁 주체의 내적 통합은 비정규직 투쟁이 승리하고 조직력을 강화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쟁을 전개하는 부분은 비정규직 노동자들 가운데 조직력이 가장 강한 부분인데 이들이 투쟁 과정에서 조직력 위축 혹은 조직 와해를 겪으면서 비정규직 주체 형성을 어렵게 한 것이다. 하지만, 비정규직 투쟁이 없었더라면 자본의 공세가 그대로 관철되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비정규직 투쟁은 적어도 자본의 공세를 약화 혹은 지연시킨 효과는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형 설정자 역할의 부담 속에서 강경투쟁 전략과 양보타협 전략 사이의 투쟁 전략 딜레마는 투쟁 주체의 분열을 심화하여 투쟁의 승패와 조직력 변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비정규직 투쟁의 실천적 함의는 비정규직 투쟁의 궁극적 목표를 노동계급 형성을 위한 주체형성으로 재정의한다면 비정규직 투쟁의 전략적 목표는 당면 요구조건의 완전한 쟁취보다 조직의 보전 강화에 두는 것이 합리적 선택이라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