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1초

시각장애 학생의 Web 교육 현황 분석 (Analysis of Education about Web For the Blind Student)

  • 박성제;정재원;강영무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302-309
    • /
    • 2007
  • Web is becoming a necessary element of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s for us who live in an information and knowledge-oriented society, as it is today. It is deriving a revolutionary change on various parts of our society, such as education, culture, etc. Also due to epoch-making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web-related technologies and content types, the knowledge, technique and complexity of web users also accompanied it. In this research web-related education of school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and current situation of web access of such students are seized, their problems related to web access are analyzed, and efficient alternatives for web implementation to solve those problems were suggested. On the other hand, since this research is a survey targeting information and computer related teachers of 12 school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within Korea, it has the restriction that it does not include the analysis of current state of charity facilities which are not regular education institutions. Moreover, the content of the survey is composed by considering totally blind students, thus more detailed survey should also be conducted for weak-sighted students as well.

  • PDF

부산광역시 독서소외계층 독서문화진흥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Ways to Improvement Directions of Reading Culture Promotion for Reading Disabl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송정숙;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89-111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 독서소외계층의 독서문화진흥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독서문화진흥 발전방안을 수립하고자 함이다. 부산지역의 공공서관을 비롯하여 독서소외계층시설을 대상으로 독서문화진흥 사업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독서소외계층을 위한 독서문화진흥사업 발전 방안을 도출하고, 부산광역시의 독서문화진흥 발전방안으로 공공도서관과 유관기관 간의 상호협력 모델을 제시하였다.

공공시설의 실내환경 체크리스트 개발을 위한 법규 고찰 - 노약자.장애인을 위한 3국의 건축법규와 지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uidelines for Developing Evaluation Checklist in the Public Interior Spaces - Focused on the Architectural Codes and Standards fort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People -)

  • 천진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호
    • /
    • pp.74-84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checklist in the public interior spaces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people. The propriety and intensity of three architectural codes and two standards were examined by comparing with each other and the score was made according to the value. Findings revealed that Korean accessibility code had more mandatory items than others. The essential items to the handicapped's behaviour should be preserved, but less important things could be reconsidered. Also Korean code stressed the vertical moving equipments. But Swedish code had obligatory items in fire refugees facilities, and American code emphasized the corridor and sanitary facilities. Therefore, American and Swedish mandatory items and recommendations which were not addressed in Korean code and guidelines should be considered to apply to ours by investigating a user's problems and adaptation.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a basic checklist for public spaces by users as well as guidelines of final design.

  • PDF

공항 내 장애인 편의시설의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Plan on the Airport's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Disabled)

  • 박준모;김옥규;김상길;최정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99-106
    • /
    • 2009
  • 현대사회는 선천적 장애인은 물론 교통사고 산업재해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한 후천적 장애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경제성장과 세계화에 의해 장애인의 공항이용률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때문에 공항을 이동하는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의 질적 양적인 확충이 더욱 요구되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인 공항의 장애인편의시설에 대한 현황조사와 사용 실태조사 및 만족도 조사를 통해 전국공항의 장애인을 위한 시설개선과 공항이용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학교시설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기준 평가지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우수시설학교를 대상으로 - (A Study on improving Direction of the Barrier-Free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 of School Facilities)

  • 맹준호;김성중;이승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5권2호
    • /
    • pp.23-33
    • /
    • 2016
  • 본 연구는 학교시설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이 의무화됨에 따라 학교시설에 대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 평가지표에 대한 기초연구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학교시설의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여 학교시설에 적합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 평가지표의 개선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우수시설학교로 선정된 조사대상학교의 편의시설 중 매개시설, 내부시설의 현황과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 평가지표를 비교분석한 결과, 배점획득항목에 따라 학교시설에 기 반영되어진 항목과 중 하위 배점 기준으로 최소로 반영되어지는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기 반영되는 항목은 배점기준의 변별력이 다소 미흡하여 배점 기준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누구나 이용하기 편리한 학교시설을 위해 중 하위 배점을 획득하는 항목에 대해 기준개선 및 배점 조정으로 질적 향상을 이끌어내야 한다.

세대 간 교류를 위한 국내 종합사회복지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Plan of Social Welfare Centers for the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in Korea)

  • 김봉애;김수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2호
    • /
    • pp.131-139
    • /
    • 2016
  • This study analyzes the welfare services and spatial composi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that represent complex welfare facilities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spatial planning of social welfare centers. We examined 15 social welfare centers built in the 2000s.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were used as research methodology.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services provided at the surveyed facilities overlapped for seniors and the handicapped. Most social welfare centers provided welfare services for seniors, young children, and teenagers. Second, the proportion of common area, program rooms was high for spatial composition. Third, front access by car was most common (used at nine centers) for the design of the access area and used by. Fourth, shared entry and exit was most common (used at 10 centers) for the design of the entrance. Fifth, regarding space combining style, a mixed style was most frequently used (observed at seven centers) where different private areas for different service users were partly mixed on certain floors. Sixth, a corridor type was most common (used at seven centers) for the design of a corridor space where visitors could walk along the corridor to access individual rooms. Based on the findings, we propose spatial composi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to promote mingling and exchanges among users of different generations.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에 의거한 대학내 학생편의시설 평가 및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 미국 텍사스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Student Convenient Facilities at University Campuses, based on Universal Design Concept - Focused on the university campuses in Texas, U.S.A. -)

  • 김원필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9-28
    • /
    • 2014
  • Student halls and their convenient facilities have been a focal point for various student activities at university campus. It has been for most of the student a place of unique memories and of attachment often associated with those good and bad school days.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se facilities are supportive and accessible for all of the students and other users including the handicapped. Therefore, based on the concept of UD(universal design) which was widely applied to U.S. institutions, this study intended to evaluate student hall facilities in U.S. and to provide an improvement direction for Korean UD application. For that purpose, four universities were selected for an in-depth analysis and 76 survey indices were utiliz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It was found that (1) design consideration without braille sign for VIP(visually impaired person) in student buildings can be differently approached with electronic devices; (2) the best demonstration of UD in student buildings can be seen in spacious flat pathway, easy access through ramp and wide entry area, necessary for people in wheel-chairs, but used by all, implying an increase of the ratio of public space; (3) one of the good UD features is an attractive physical environment rather than institutional appearance, in which they ultimately will support and completely adaptable at optimal levels by everyone; (4) consist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maximize the potential of UD principles and minimize physical limitations.

공항 내 장애인 편의시설의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Plan on the Airport's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Disabled)

  • 김상길;박준모;김옥규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79-784
    • /
    • 2008
  • 현대사회는 선천적 장애인은 물론 교통사고 산업재해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한 후천적 장애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경제성장과 세계화에 의해 장애인의 공항이용률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때문에 공항을 이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의 질적 양적인 확충이 더욱 요구되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인 공항의 장애인편의시설에 대한 현황조사와 사용 실태조사 및 만족도 조사를 통해 전국공항의 장애인을 위한 시설개선과 공항이용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경찰서 유치장 시설 및 운영에 관한 유치인의 인식연구 (A Study of Detainees' Perceptions of the Detention Facilities of the Police Station and their Operation)

  • 정우열;박동균;김도균
    • 시큐리티연구
    • /
    • 제13호
    • /
    • pp.423-449
    • /
    • 2007
  • 본 연구는 경찰서 유치장에 구금되어 있는 유치인들의 인식분석을 통하여 유치장의 시설 및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 경찰서 유치장 시설에 대한 유치인 인식조사 결과에 따른 정책적 제언은 첫째, 유치장 구조는 인권친화적인 일자형으로 배치하고, 여성${\cdot}$남성${\cdot}$장애인${\cdot}$소년범등의 피의자를 차별하여 유치할 수 있는 유치장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 둘째, 유치실 외부에 목욕장과 세면장 시설을 유치인들이 항상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비상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빠른 시일 내에 비상구를 설비해야 하며, 수용된 유치인수와 내부면적을 고려하여 소화기를 충분히 비치해야 할 것이다. 넷째, 외부의 공기를 유치장 내부로 순환할 수 있도록 적절한 수의 창문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며, 인공조명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자연채광을 활보하는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다섯째, 유치장 내 냉${\cdot}$난방 시설은 유치인의 수와 규모에 합당한 시설을 구비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경찰서 유치장 운영에 대한 유치인 인식조사 결과에 따른 정책적 제언은 첫째, 유치장 운영의 문제는 낙후된 유치장 시설과 함께 다루어져야 할 것이며, 빠른 시일 내에 예산확보 등과 같은 조치를 해야 한다. 둘째, 낡고 오랜 된 책들은 폐기하고, 독서 흥미를 유발 할 수 있는 잡지 등을 구비하는 것이 요구되며, 유치된 피의자 중에는 생계가 곤란한 점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기본적인 생필품 등은 지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영치물품의 관리는 모든 경찰서 유치장에서 동일한 제목의 서류와 양식으로 관리 되어져야 하며, 여성유치보호관 인력을 확충하여 여성 유치인들에 대한 신체검사 및 송치 등의 업무를 전담하게 하여야 한다. 또한, 장애인을 위해 구비된 목발이나 휠체어, 이동식 좌변기 등과 같은 장애인관련 시설물들을 잘 관리하고 보관할 필요가 있다.

  • PDF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의료기관에 따른 물리치료 서비스 및 물리치료사에 대한 만족도 조사 - 김천지역 중심으로 - (A Survey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Physical Therapy Servics and Physical Therapis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dical Institution - Focused on Gimcheon City -)

  • 박흥기;정병옥;김근조;안병헌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1-60
    • /
    • 2008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show the degree of physical therapy service and physical therapist according to medical institution by measuring and determining the factor affecting patient satisfaction in the Gimcheon city. Methods: For this study 1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edical institution, Gimcheon city from Jul 20 to Aug 5, 2008. The consisted of total 28 items. The contents item divid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to nine heads,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therapy service into nine heads, and the physical therapy into ten heads. Survey data were collected by a written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Results: There was difference with statistic value in physical therapy according to medical security and handicapped or non-handicapped(p<.05). There was difference with statistic value in physical therapy service and physical therapist according to medical institution. The score of patient satisfaction at welfare facilities was significantly lesser than other medical institution(p<.05). Conclusion: There was difference with statistic value in physical therapy service and physical therapist according to a number of patients of physical therapy a da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