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al convexity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3초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중심위 변위가 두부 방사선 계측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R-CO discrepancy on cephalometric measurements in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박양수;김종철;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5-265
    • /
    • 1996
  • 본 연구는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중심교합상태의 두부 방사선 사진과 MPI 수치를 이용하여 중심위로 전환한 두부 방사선 사진(Centrically related cephalometrics)을 계측하여 중심위 변위시 유의한 계측치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25명의 III급 부정교합군과 25명의 정상교합군을 대상으로 하여, 중심교합위 상태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과 중심위 및 중심교합위 기록을 채득하고, 모형을 SAM II 교합기에 부착하였다. 중심위 변위 량은 MPI(Mandibular Position Indicator)를 이용하여 계측하였으며, MPI 수치와 중심교합위 상태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이용하여 Conversion work sheet상에서 중심위 전환을 시행하였다. 두부 방사선 계측 항목은 하악골의 위치와 관계되는 것을 선택하였다.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중심위와 중심교합위간의 계측치 변화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 과두에서의 중심위 변위량은 정상교합군에서 전후방 변위량$({\Delta}X)0.56{\pm}0.50mm$, 수직적 변위량$({\Delta}Z)-0.61{\pm}0.53mm$였으며,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전후방 변위량$({\Delta}X)0.93{\pm}0.77mm$, 수직적 변위량$({\Delta}Z)-0.64{\pm}0.89mm$로, 두군 모두 후하방 변위양상을 나타냈다.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정상교합군보다 전후방 변위량이 더 크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2. 중심교합위와 중심위 두부 방사선 사진의 계측치를 비교해 본 결과 정상교합군에서 ANB, Facial angle, Facial convexity, ODI 둥의 항목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III급 부정교합군에서는 ANB, Facial angle, Facial convexity, ODI, SNB, APDI, L1-FP 등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더 많았고 유의성도 더 높게 나타났다. 3. 두부 방사선 사진의 계측치 변화는 중심위 변위와는 연관성이 있었으나,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에 대한 연관성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중심위 변위량이 임상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중심위 위치에서 정상적으로 변위되는 양보다 큰 경우 중심위는 교정 환자에서 적절한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한 기준 점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 PDF

연조직 측모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SOFT TISSUE PROFILE)

  • 장영일;최희영;신수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27-634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단정한 측모를 지니고 교합이 양호한 성인을 대상으로 몇 가지 연조직 분석을 시행하고, 이를 여러 다른 연구에서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향후 교정치료 계획시에 도움이 되고자 하여 시행하였다. 측모가 단정하고 교합이 양호한 성인 남, 녀 각 25명 (총 50명)을 대상으로 촬영한 측모 두부X선계측사진에서 연조직 측모의 각도, 거리 계측을 시행하여 facial convexity angle, nasolabial angle, H-angle, Z-angle, E-line to upper lip, lower lip과 Sn-Pog' to upper lip, lower lip에 대한 남녀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국내의 다른 연구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모든 항목에 대해 백인에 비해 전방 돌출된 안모의 특징을 보였으며, 국내의 다른 연구의 수치에 비해서도 본 연구의 표본의 안모는 전방 돌출되어 있었다.

  • PDF

정상 교합자의 연조직 측모의 성장 변화에 관한 누년적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Growth Changes of Soft Tissue Profiles in Koreans with Normal Occlusion)

  • 이명진;이희경;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1-196
    • /
    • 1997
  • 한국인 연조직 측모의 성장에 따른 변화 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남자 15명 여자 11명 모두 26명을 대상으로 8.5세 부터 18.5세까지 누년적으로 촬영된 두부 X-선 규격사진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8.5세보다 18.5세에서 남녀 모두 하안면부가 돌출화 및 직선화되고 있으나 전체적인 연조직 측모 만곡도(Total facial convexity angle)는 남자의 경우 감소하였고(P<0.01), 여자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 연조직 두께의 성장량은 코 부위와 상하순 부위에서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 많았으며 Pogonion 부위에서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많았다(P<0.05). 3. 상안면 고경, 하안면 고경 상부의 성장량은 남자가 여자에 비해 많았다(P<0.05). 4. 8.5세보다 18.5세에서 하안면 고경에 대한 상안면 고경의 비율은 감소하였으며(P<0.01) 하안면 고경의 하부에 대한 상부의 비율, 하순고경에 대한 상순고경의 비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5. 연조직 측모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 늦은 연령까지 지속적으로 변화하였다.

  • PDF

상악전방분절절골술과 턱끝전진술 후 안면골격과 연부조직의 변화 (The Changes of Bone and Soft Tissue after Maxillary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and Advancement Genioplasty)

  • 김진우;신한경;정재학;김영환;선욱;윤창신;윤성호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5호
    • /
    • pp.635-640
    • /
    • 2007
  • Purpose: Mid and lower facial convexity is more common in Oriental people than in Caucasian. Bimaxillary dentoalveolar protrusion is characterized by procumbent teeth, protruding lips, acute nasolabial angle, gummy smile, receding chin, facial convexity. Especially, pure maxillary dentoalveolar protrusion is less frequent than bimaxillary dentoalveolar protrus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ke an accurate decision for the operation throughout the history taking, cephalogram, dental cast to arrive at accurate diagnosis and surgical plan. Methods: From December 2002 to June 2004, ten patients with maxillary dentoalveolar protrusion and microgenia were corrected by maxillary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and advancement genioplasty. 10 patients were analyzed b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linical photography, posteroanterior and lateral cephalograms. Results: No major complications were occurred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except one of the over-recessed, otherwise most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 Conclusion: We could correct the occulusal relationship with teeth and improve lower facial profile, asthetically and functionally, by maxillary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and advancement genioplasty.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기도의 크기 (A CEPHALOMETRIC STUDY ON THE AIRWAY SIZE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MALOCCLUSION)

  • 이용승;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9-29
    • /
    • 1995
  • 앵글씨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두부형태, 연구개, 혀 및 기도의 크기를 비교하고 치아안면골격과 기도의 크기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전남대학교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12세부터 17세 사이의 여성 환자 98명을 연구대상으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촬영하여 치아안면골격과 기도에 관한 거리, 각도, 비율 및 면적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하악골체 길이, SNB, ANB, facial angle, facial convexity, A-B plane angle, Y axis to FH, SN-MP, Wits appraisal, ODI, APDI는 부정교합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2. 설골의 전후방위치는 II급 부정교합자의 설골이 다른 군에 비해 후방 위치하였으나 상하방위치는 부정교합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비인두의 면적은 II급과 III급 부정교합자가 I급 부정교합자에 비해 작게 나타났으며, 인두의 총면적은 II급 부정교합자가 I급과 III급 부정교합자보다 작게 나타났다.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연구개, 혀,구인두 및 하인두의 면적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하악지 고경과 하악골체 길이는 혀, 비인두, 구인두 및 인두의 면적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SNA는 혀 및 기도의 크기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SNB는 하인두 및 인두의 면적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전안면고경, 후안면고경, facial plane에 대한 상하악 중절치의 위치는 혀의 면적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Cone-beam CT를 이용한 제II급 부정교합 아동의 상기도 형태에 관한 3차원적 연구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he upper airway and facial morphology in children with Class II malocclusion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홍지숙;김대성;오경민;김윤지;이규홍;박양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34-144
    • /
    • 2010
  • 성장기 아동의 상기도 협착은 두개안면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3차원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제II급 부정교합 아동의 상기도 부피 및 단면적 계측치와 측모두부계측치를 비교하여 상기도와 안면 형태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7명의 아동(남자 17명, 여자 20명, 평균 연령 11.02세)의 CBCT를 촬영하였다. 연구 결과, 상기도의 PNS-posterior plane에서의 단면적($S_{PP}$)은 제II급 부정교합군에서 유의하게 작았다 (p < 0.05). 상기도 부피 계측치는 제II급 부정교합군에서 제I급 부정교합군보다 작았으나,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제II급 부정교합군은 후안모고경(PFH), mandibular body length (p < 0.05), Pog to Nperp (p < 0.01)에서 제I급 부정교합군보다 유의하게 작은 값을 보였고, FMA (p < 0.05), ANB, facial convexity (p < 0.01)는 유의하게 큰 값을 보였다. 제II급 부정교합군의 PNS 전방의 상기도 부피($W_N$)는 ANB difference 각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5). 제II급 부정교합 아동은 상대적으로 좁은 상기도 부피를 가지며 이에 따른 감소 된 후안모고경(PFH)과 하악골의 divergent한 안면 성장 양상을 보였다.

유치열기(乳齒列期) 아동(兒童)의 악안면연조직(顎顔面軟組織)의 두부방사선(頭部放射線) 계측학적(計測學的) 연구(硏究)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F SOFT TISSUE PROFILE FOR THE CHILDREN IN THE DECIDUOUS DENTITION)

  • 김동필;김남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1-213
    • /
    • 1984
  • This study was made on the facial profile of the normal Korean children using the roentgenographic cephalograms. The subjects consisted 51 males and 47 females children of primary dentition with the normal occlusion and acceptable profile. For this study 13 soft tissue profile landmarks were plotted and 14 liner length, 9 soft tissue thickness, 8 vertical height length, 12 angles of soft tissue profile, and 2 vertical proportion were measur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in the subject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between male and femal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By the significant test, total facial convexity angle and soft tissue thicknes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sexes. 2. Lower facial height was greater than upper facial height in both sexes. 3. The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lips were 21.95 mm, 40.74 mm in male and 21.62 mm, 39.63 mm in female. 4. In the relationship of the upper lip and lower lip to the Ricketts' esthetic line, the male was 1.3 mm, 1.18 mm and the female was 1.16 mm, 1.27 mm front of the esthetic line. 5. Compared with the angulation of flush terminal plane group and mesial step group, the mesial step group was greater than the flush terminal plane group except the chin angle.

  • PDF

크루존씨 병에서 최소침습 절개법 Le Fort III 절골술을 통한 RED II 골 신연술 후 조기 고정 1례 (A Case Report of RED II Distraction Osteogenesis and Early Rigid Fixation by Minimal Invasive Approach Le Fort III Osteotomy in Crouzon's Disease)

  • 김영석;이지나;박병윤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123-127
    • /
    • 2007
  • Purpose: Rigid external distraction(RED) is a highly effective technique for correction of maxillary hypoplasia in patients with cleft or syndromic craniosynostosis. Despite many advantages of RED, it also has the problem of relapse as the conventional advancement surgery. Bicoronal approach, that is the common approach to gain access to the craniofacial skeleton, had some morbidity, such as hair loss, sensory loss, wide scar and temporal hollowing. We present our clinical experience of RED distraction with minimal invasive approach and early rigid fixation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Methods: A 27-year-old female patient with Crouzon's disease underwent Le Fort III osteotomy and RED device application through the minimal invasive direct skin incisions. After the latent period of 5 days, distraction was undertaken until proper convexity and advancement were obtained. During the rigid retention period, inflammation occurred on the right cheek, and proper conservative managements were done including continuous irrigation.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distraction, early rigid fixation was undertaken on the osteotomy sites through another skin incisions.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orthodontic treatments were performed. Serial photographs and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obtained preoperatively, after distraction and 6 months after distraction. Results: The cephalometric analysis demonstrated postoperatively significant advancement of the maxilla and improvement of facial convexity. After 6-month follow-up period, the maxilla was stable in the sagittal plane and no relapse was found. Facial scars were not noticeable and other deformity and morbidity did not occur. Conclusion: This effective and stable technique will be a good alternative for the patients who need large amount of distraction and for adult patients with severe maxillary hypoplasia or syndromic craniosynostosis.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들의 각 치료법에 따른 측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치의 비교 (Cephalometric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tial treatment methods in Class III malocclusion;)

  • 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7-208
    • /
    • 1997
  •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를 위해서는 각 환자의 문제점들과 상태를 다양한 진단방법들을 동원하여 분석한 후에 가장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초진시에 치성 또는 기능성 또는 골격성인 원인들의 감별이 분명한 증례에서는 치료계획 수립이 큰 문제가 없지만, 감별이 모호한 증례에서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에 저자는 각 치료방법을 적용하여 치료한 제III급 부정교합 환자 482명 (남;253,여 ;229)을 대상으로 치료방법에 따라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D군은 가철성 교정장치나 악기능장치를 사용하여 치료한 115명(남;64, 여;51), A군은 악정형장치로 치료한 210명 (남;111, 여 ;99), B군은 고정식 교정장치로 Camouflage 하여 치료한 63명 (남;30, 여 ;33), C군은 악교정 수술로 치료한 94명(남;48, 여;46)이었다. 초진시에 촬영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전후방, 수직적, 치성, 악골의 형태학적인 계측항목들을 선정하여 각 군에서 측정한 계측치의 평균값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네 군간의 유의성 여부를 검정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NA각과 Nasion Perpendicular Plane에서 A점까지의 거리는 네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SNB, Wits, Nasion Perpendicular Plane에서 B점까지의 거리, Facial angle, Facial convexity, APDI의 값은 C,A,B,D군의 순이었지만 A군과 B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전안면고경, 후안면고경, 하전안면고경의 값이 남자에서는 C,B,A,D의 순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냈으며, 여자에서는 C와 B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3. 남자에서 전두개저에 대한 하악체 길이의 비율, 하악체의 길이와 Symphysis의 길이는 C,B,A,D순으로 나타났으나 B군과 A군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여자에서는 Ramus height, 하악체 길이, 전두개저에 대한 하악체 길이의 비율이 네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Symphysis의 길이는 C군과 B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상악전치 치축은 C,B,A,D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네 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Nasolabial angle의 값은 C,A,B,D순으로 작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C와 A,B,D군 간에서만 나타났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모 성장예측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craniofacial growth prediction method on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손우성;강은희;정미라;성지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1-39
    • /
    • 2003
  • 본 연구는 성장에 의한 변화를 예측하는 현재의 방법이 실제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진단과 치료계획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지를 판단해 보기 위해 초진 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성장 종료 후 악교정 수술을 받기 위해 재내원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25명(남자 13명, 여자 12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초진시 채득된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에서 Ricketts의 성장예측법을 통해 성장 종료 후의 상태를 예측한 후, 악교정 수술을 위해 재내원 했을 때 채득된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에서 계측된 실제 성장량과 비교분석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예측치와 관측치의 일치정도를 평가해본 결과 Porion Location, Ramus Position, Facial Depth, Facial Axis, Mandibular Plane angle, Maxillary Convexity에서의 예측치가 관측치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 항목에 대한 Ricketts 성장예측법의 예측치가 실제 성장량을 잘 설명해주지 못함이 관찰되었다. 2. 하악골체의 성장량은 정상 성 장량과 유사하였으나 Porion Location, Ramus Position이 정상적인 성장과정을 벗어나면서 하악골의 전방위치를 유도하였다.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는 성장의 양과 방향이 비정상적인 성장변화를 나타내어 정상 성장에서라면 변화를 보이지 않을 하악지의 전방 위치, 하악이부의 전상방 회전등이 일어나 하악 전돌의 경향이 악화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