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ebook Users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초

Self-Disclosures on Facebook: The Two Faces of Narcissism

  • Lee, Jongmin;Lee, Jihye;Song, Young-A;Ahn, Hongmin;Lee, Eunji;Sung, Yong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139-145
    • /
    • 2020
  •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are key factors that affect users' self-disclosure on SN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 personality trait (i.e., narcissism) and three dimensions of self-disclosure behavior on Facebook (i.e., intention, level, and control of self-disclosure). A total of 261 Facebook users completed an online survey. The findings showed that more narcissistic individuals engage in deeper levels of self-disclosure and do so with greater intentionality than previous research indicated. More interestingly, narcissistic users simultaneously tend to control their expressions in public by concealing who they really are.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self-disclosures on Facebook must not investigated by a single dimens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dynamics of it users. In addition, the present research suggested that the narcissism should not be regarded as a predictor which simply gives either a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 on self-disclosing behaviors in SNS.

페이스북 이용자의 자기노출, 페이스북 이용강도, 프라이버시 인식과 프라이버시 관리 능력이 페이스북 지속적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프라이버시 관리 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Facebook Users' Self-disclosure, Facebook Use Intensity, Privacy Concern and Trus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Facebook: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rivacy Protection Skill)

  • 박남수;백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53-62
    • /
    • 2016
  • 본 연구는 페이스북 이용자 중 프라이버시 관리 능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자기노출(self-disclosure)과 페이스북 이용강도, 프라이버시 염려와 신뢰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페이스북의 지속적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프라이버시 관리 능력이 자기노출, 페이스북 이용강도, 프라이버시 염려와 신뢰가 지속적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19~49세 성인 남녀 페이스북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프라이버시 관리 능력이 높은 이용자들이 낮은 이용자들 보다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가 낮은 반면, 페이스북 이용강도와 사이트에 대한 신뢰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 분석 결과, 프라이버시 관리능력은 자기노출 및 신뢰가 페이스북의 지속적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페이스북 브랜드 팬 페이지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 -브랜드의 자기노출정도와 이용자의 사회적 연결감을 중심으로- (Effects of Brand Self-Disclosure and User Social Connectedness on Response to Facebook Brand Fan Pages)

  • 이은선;김여정;안정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60-71
    • /
    • 2013
  • 본 연구는 페이스북 이용자와 브랜드 간의 관계가 페이스북 이용자들 간의 관계와 유사하다는 기존 문헌에 기반하여, 페이스북에서 브랜드와 이용자들 간의 관계 형성과 관련된 변인들-페이스북의 사회적 연결감, 브랜드의 자기노출-이 팬 페이지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더불어 팬 페이지에 대한 태도가 그 페이지의 팬이 되고자 하는 의도에 매개변인으로 작용한다고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브랜드의 자기노출은 팬 페이지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회적 연결감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팬 페이지에 대한 태도는 이용자들의 팬이 되고자 하는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서 브랜드와 이용자들 간의 관계 형성을 이해함으로써 페이스북에서 브랜드의 메시지가 확산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Predicting Information Self-Disclosure on Facebook: The Interplay Between Concern for Privacy and Need for Uniqueness

  • Kim, Yeuse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5권4호
    • /
    • pp.74-81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privacy concern, need for uniqueness (NFU), and disclosure behavior to explain the personal factors that drive data-sharing on Facebook. The results of an online survey conducted with 222 Facebook users show that among diverse data that social media users disclose online, four distinct factors are identified: basic personal data, private data, personal opinions, and personal photos. In general,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 a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FU and the willingness to self-disclose information. Overall, the NFU was a better predictor of willingness to disclose information than privacy concern, gender, or age. While privacy concern has been identified as an influential factor when users evaluate social networking sit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demonstrating that an individual's need to manifest individualization on social media overrides privacy concerns.

사용자 컨텍스트와 태그를 이용한 소셜 검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ocial Search System using user Context and Tag)

  • 윤태현;권준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10
    • /
    • 2012
  • Recently, Social Network services(SNS) is gaining popularity as Facebook and Twitter. Popularity of SNS leads to active service and social data is to be increased. Thus, social search is remarkable that provide more meaningful information to users. but previous studies using social network structure, network distance is calculated using only familiarity. It is familiar as distance on network,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several experiments. If taking advantage of social context data that users are using SNS to produce, then familiarity will be helpful to evaluate further. In this paper, reflect user's attention through comments and tags, Facebook context is determined using familiarity between friends in SNS. Facebook context is advantageous finding a friend who has a similar propensity users in context of profiles and interests. As a result, we provide a blog post that interest with a close friend. We also assist in the retrieval faciliti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NFC) technology. By the experiment, we show the proposed soicial search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only tag.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과 제품 속성에 대한 사용자 반응 (User Responses to the Formats and Product Properties of Contents Advertised on Facebook)

  • 우수진;김유진
    • 감성과학
    • /
    • 제19권1호
    • /
    • pp.111-126
    • /
    • 2016
  • 최근 페이스북 광고의 마케팅 가치가 증가됨에 따라, 기업들은 브랜드 및 상품 홍보를 위해 성공적인 페이스북 광고제작 방안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과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효과적인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의 시지각 구성요소들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먼저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 변인 요인을 설정하였다: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Text, Text in Image, Movie)과 광고 제품 속성(관여도, 이성/감성).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시선추적과 설문조사를 접목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Text, Text in Image, Movie)과 광고 제품 속성(관여도, 이성/감성)이 사용자 반응(시지각 인지, 사용자 구매 행동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고 콘텐츠 포맷에 따라 차별화된 사용자의 시지각 인지 패턴과 구매 행동 반응이 나타났다. 반면, 광고 제품속성의 경우 사용자의 구매 행동 반응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광고 콘텐츠 제공자 혹은 개발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SNS 광고 제작 가이드라인을 제안할 수 있었다.

Determinants of the Intention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mong Facebook Users

  • Chon, Bum Soo;Lee, Jeong-Ki;Jeong, HyeonJu;Park, Jowon;Park, Jonghwa
    • ETRI Journal
    • /
    • 제40권1호
    • /
    • pp.146-155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redictors of the intention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n Facebook.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679 Facebook user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usefulness and ease of use had significant effects on attitudes toward protection behavior.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risk factors (privacy risk severity and vulnerabi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protective behaviors. Based on our findings, we discussed the information protection of privacy on Facebook.

Unintentional and Involuntary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on Facebook from User Interactions

  • Lin, Po-Ching;Lin, Pei-Yi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7호
    • /
    • pp.3301-3318
    • /
    • 2016
  • Online social networks (OSNs) have changed the way peop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 OSN usually encourages the participant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real names, birthdays and educational background to look for and establish friendships among them. Some users are unwilling to reveal personal information on their personal pages due to potential privacy concerns, but their friends may inadvertently reveal that. In this work, we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leaking personal information on Facebook in an unintentional and involuntary manner. The revealed information may be useful to malicious users for social engineering and spear phishing. We design the inference methods to find birthdays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Facebook users based on the interactions among friends on Facebook pages and groups, and also leverage J-measure to find the inference rules. The inference improves the finding rate of birthdays from 71.2% to 87.0% with the accuracy of 92.0%, and that of educational background from 75.2% to 91.7% with the accuracy of 86.3%. We also suggest the sanitization strategies to avoid the private information leakage.

페이스북 이용자의 개인정보 공개와 결정 요인 (Analysis of the Facebook Profiles for Korean Users: Description and Determinants)

  • 이미나;이승아;최인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3-85
    • /
    • 2014
  •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공개 현황을 살펴보고 개인정보 공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공개 현황은 프로파일의 정보를 토대로 개인정보 공개여부와 공개 범위, 두 측면에서 분석됐다. 개인정보 공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페이스북 프라이버시 염려, 사회적 관계 유지 동기 등이 고려됐으며 성별, 이용기간, 이용시간 역시 분석에 포함됐다. 서베이 분석 결과, 페이스북 프라이버시 염려는 이용자에 관한 프라이버시 염려, 시스템에 관한 프라이버시 염려로 구분됐으며 개인정보 공개와 공개범위를 각각 종속변인으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주요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개인정보 공개정도의 경우는 성별, 이용기간, 사회적 관계 유지 동기에 의해 설명되며 개인정보 공개 범위는 이용기간, 페이스북 이용자에 의한 프라이버시 염려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관찰됐다. 흥미로운 분석 결과는 공개정도 분석결과에서 사회적 관계 유지 동기가 페이스북 시스템에 의한 프라이버시 염려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관찰된 점이다. 이에 대한 함의를 실었으며 페이스북 국내 이용자의 개인정보 공개 현황을 공개정도와 공개범위에 따라 항목별로 분석해, 이용자의 개인정보 공개와 페이스북 이용을 통한 사회적 관계와의 관련성을 유추하고자 했다.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긍정적인 자아노출과 자아속성 (Facebook Users' Positive Self-Presentation toward Personal Characteristics)

  • 김유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1-31
    • /
    • 2017
  • 본 연구는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자아노출을 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페이스북에서의 긍정적인 자아노출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자아효능감, 나르시시즘, 공적/사적 자아 요인들이 긍정적인 자아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3년 이상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는 197명의 이용자들이었다. 분석결과 자기과시, 환심사기, 유능함보이기, 모범보이기, 후광노출, 권리주장, 정당화하기를 통해 조사된 긍정적 자아노출에 대해 통계상으로 높은 수치가 제시되지 않아 페이스북에서 이용자들이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자아노출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용자의 자아효능감과 나르시시즘적인 성향은 통계상으로 긍정적인 자아노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이용자들의 공적 자아의식은 긍정적인 자아노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사적 자아의식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