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S

검색결과 1,232건 처리시간 0.026초

Cognitive Dysfunction and Hippocampal Damage Induced by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and Prolonged Febrile Convulsions in Immature Rats

  • Byeon, Jung Hye;Kim, Gun-Ha;Kim, Joo Yeon;Sun, Woong;Kim, Hyun;Eun, Baik-Li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8권1호
    • /
    • pp.22-29
    • /
    • 2015
  • Objective : Perinatal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HIE) and prolonged febrile seizures (pFS) are common neurologic problems that occur during childhood.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from experimental studies to conclude that pFS directly induces hippocampal injury. We studied cognitive function and histological changes in a rat model and investigated which among pFS, HIE, or a dual pathologic effect is most detrimental to the health of children. Methods : A rat model of HIE at postnatal day (PD) 7 and a pFS model at PD10 were used. Behavioral and cognitive functions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weekly open field tests from postnatal week (PW) 3 to PW7, and by daily testing with the Morris water maze test at PW8. Pathological changes in the hippocampu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pFS, HIE, and HIE+pFS groups at PW9. Results : The HIE priming group showed a seizure-prone state. The Morris water maze test revealed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HIE and HIE+pFS groups compared with the pFS and control groups. Additionally, the HIE and HIE+pFS groups showed significant hippocampal neuronal damage, astrogliosis, and volume loss, after maturation. The pFS alone induced minimal hippocampal neuronal damage without astrogliosis or volume loss. Conclusion : Our findings suggest that pFS alone causes no considerable memory or behavioral impairment, or cellular change. In contrast, HIE results in lasting memory impairment and neuronal damage, gliosis, and tissue loss. These findings may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ing brain concerning conditions caused by HIE or pFS.

샘플러 기반의 수신기를 위한 재구성 가능한 이산시간 공간상 이동평균 필터 (A Reconfigurable Spatial Moving Average Filter in Sampler-Based Discrete-Time Receiver)

  • 조용호;신수환;권순재;유형준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10호
    • /
    • pp.169-177
    • /
    • 2012
  • 재구성 가능한 널 주파수를 가진 데시메이션이 없는 2차 공간상 이동평균 필터를 제안한다. 이 필터의 계수는 샘플링 커패시터를 스위칭 함으로써 가변할 수 있다. 유연한 널 주파수를 이용하여 간섭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데시메이션을 하지 않으므로 샘플링 주파수가 감소하면서 발생하는 에일리어싱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이 필터는 1에서 2까지 변하는 ${\alpha}$를 이용 하여 $1:{\alpha}:1$의 가변하는 가중치를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이것은 두 널 주파수가 fs/3~fs/2와 fs/2~ 2fs/3 범위에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안된 필터는 TSMC 0.18-${\mu}m$ CMOS 공정에서 구현되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두 널 주파수가 0.38~0.49fs와 0.51~0.62fs의 범위 내에서 변화하는 결과를 얻었다.

형광화학센서를 이용한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의 중금속이온검출 (Heavy Metal Ion Detection in Living Cell Using Fluorescent Chemosensor)

  • 권필승;김진경;김종완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51-459
    • /
    • 2010
  • 세포내의 중금속이온의 형광검출은 유기분자화학과 세포생물학분야에서 높은 관심을 갖는다. 이 연구는 형광화학센서(FS)를 이용한 Hg$^{2+}$ 과 Zn$^{2+}$의 세포 내 검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FS는 약한 형광을 나타내지만 Zn$^{2+}$와 결합 시에는 강한 방출 형광은 낸다. 2FS/Zn$^{2+}$의 형광증가는 FS-Hg$^{2+}$결합의 형성할 때 Hg$^{2+}$ 1당량만 추가에도 완전한 형광감소를 나타낼 수 있었다. 네가지의 세포주(LLC-MK2, Hela, HT29 and AMC-HN3)는 공촛점 현미경에 대한 형광이미지를 위하여 사용하였다. 세포생존능은 LLC-MK2 세포주에 FS, Zn$^{2+}$, FS-Zn$^{2+}$, Hg$^{2+}$의 처리 후에 평가하였다. FS의 세포독성능은 80%이상의 생존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FS가 살아있는 세포내의 Hg$^{2+}$과 Zn$^{2+}$의 선택적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분산 파일시스템의 소거 코딩 구현 및 성능 비교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Measuring of Erasure Coding of Distributed File System)

  • 김재열;김영철;김동오;김홍연;김영균;서대화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1호
    • /
    • pp.1515-1527
    • /
    • 2016
  • 최근의 빅데이터, 머신러닝,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의 성장에 따라 대용량의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스토리지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MAHA-FS, GlusterFS, Ceph 등의 개방형 하드웨어 기반의 분산 파일시스템 기술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저비용 분산 파일시스템들은 데이터의 내결함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초기에 복제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스토리지의 용량이 커질수록 복제 방식이 가지는 스토리지 공간의 저효율성이 점차 부각되면서 이를 보완하려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복제방식을 대체하여 스토리지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거코딩 기법을 MAHA-FS 분산 파일시스템에 적용하여 스토리지의 효율성을 높이고, 소거코딩 지원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일관성 문제를 해결하는 효율적인 방식으로 VDelta 기법을 제안하고 적용하였다. 본 논문은 MAHA-FS와 GlusterFS의 소거코딩의 구조적 차이점을 기술하고 두 파일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하여 MAHA-FS의 소거코딩 성능이 GlusterFS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갑상선 결절에서 세침흡인검사와 동결조직검사의 의의 (Validity of Needle Aspiration Cytology and Frozen Section in Thyroid Tumor)

  • 김재원;이장원;배성호;고국진;윤석영;김영모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3-146
    • /
    • 2004
  • Background and Object: The role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C) and frozen section (FS) in management of thyroid neoplasms continues to generate considerable controversy. We reviewed our current experience to determine the clinical utility of FNAC and FS in our surgical management and investigated reliability of FNAC and FS in planning the extent of thyroid resection. Material and Method: 212 patients who had operations for thyroid disease from May 1996 to November 2003 were included our retrospective study. FNAC was undertaken in 175 patients and FS was done in 148 patients. Result: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FNAC were 72.1% and 100%, respectively, and those of FS were 67.2% and 100%. The results of FNAC were benign (n=72) , malignancy (n=31), indeterminate (n=9), and nondiagnostic (n=63). The results of FS were benign (n=95), and malignancy (n=53). The 9 indeterminate cases on FNAC were benign (n=6) and malignancy (n=3) on final pathology, and benign (n=7) and malignancy (n=2) on FS. The false negative of FNAC were micro papillary carcinoma (n=6) and follicular carcinoma (n=6). The false negative of FS were micropapillary carcinoma (n=10) and follicular carcinoma (n=2). Conclusion: When results of FNAC are interpreted as indeterminate, FS is a valuable tool. FS is helpful in determining the extent of thyroidectomy when results of FNAC were follicular neoplasm. However we always concerned about micropapillary carcinoma and follicular carcinoma although FNAC and FS were benign.

국내 모유에서의 PCBs 및 PCDD/Fs 분포 특성과 위해성 평가 (Congener Specific Characteristics of PCBs and PCDD/Fs and Risk Assesment for Human Milk of Korea)

  • 양윤희;장윤석;김병훈;양지연;신동천
    • 분석과학
    • /
    • 제13권4호
    • /
    • pp.520-533
    • /
    • 2000
  • 고분해능 가스크로마토그래프/고분해능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도시지역과 공업지역에 거주하는 산모로부터 채취된 초유에서 PCBs 및 PCDD/FS를 분석하였다. 모유에 오염되어 있는 평균 PCDD/FS와 PCBs의 농도는 각각 15.13 TEQ pg/g fat과 5.64 TEQ pg/g fat이었다. 본 연구 결과, 거주지역과는 무관하게 서로 다른 두 경향을 보이는 동족체(homologue) 분포를 발견하였다. 각 분포의 이성질체를 상업적으로 판매되었던 PCBs 생산품의 조성과 비교하여 동족체 분포에 대한 고찰을 했다. 초산모의 평균 PCDD/Fs 농도인 20.84 TEQ pg/g fat을 기준으로 영유아의 1일 PCDD/Fs 섭취량을 계산했을 때 60 TEQ pg/kg/day의 값이 산출되었다. 이 값은 미국에서 계산된 1일 성인 PCDD/Fs 일반 노출 양인 1-3 TEQ pg/kg/day보다 훨씬 높은 값이다.

  • PDF

ICR 마우스를 이용한 발효삼출건비탕의 단회투여 독성에 대한 연구 (Single Oral Dose Toxicity Test of Fermented Samchulgeonbi-tang Extract in ICR mice)

  • 정영필;임남희;김애영;황윤환;박화용;마진열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1-65
    • /
    • 2013
  • Objectives : Samchulgeonbi-tang (shenzhujianpi-tang) has been prescribed as one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for treatment of stomach diseases since ancient time in Korea. Samchulgeonbi-tang extract was fermented by Lactobacillus spp. for improving the effect. However, the toxicity and safety of fermented Samchulgeonbi-tang (FS) extract were not confirmed.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cute toxicity and safety of FS extract. Methods : To evaluate the acute toxicity and safety of FS extract, several doses of FS extract, 0, 500, 1000 and 2000 mg/kg, were orally administered to 20 male and 20 female ICR mice, respectively. After treatment with FS extract, we observed mortality, general toxicity, behavior and change of body weight for the 14 days. After 14 days of oral administration, all mice were sacrificed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from blood serum. Results : In present study, the toxic signs such as mortality or abnormal behaviors by FS extract were not observe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S-treated group and control group in body weight, organ weights,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Conclusions : The remarkable adverse effects by FS extract were not observed in ICR mice. Also, any death was not occurred at all treated FS doses, 500, 1000 and 2000 mg/kg. Therefore, the approximate lethal dose (ALD) of FS extract may be more than 2000 mg/kg.

불소계 계면활성제 첨가가 탄화수소계 계면활성제에 의한 n-헥산의 가용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the Addition of Fluorinated Surfactant on the Solubilization of n-Hexane by Hydrocarbon Surfactant)

  • 신희동;박기호;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34권4호
    • /
    • pp.397-40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불소계 계면활성제 FS-606 첨가가 탄화수소계 계면활성제 CDP-W에 의한 n-헥산 가용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오일 방울 접촉 실험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가용화 속도는 초기 n-헥산 오일 방울 크기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나타났으며, 계면활성제 농도에 따라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FS-606과 CDP-W의 혼합 계면활성제에 의한 n-헥산 오일의 가용화는 계면 조절 메커니즘을 따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FS-606과 CDP-W의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에서의 FS-606 조성 증가에 따라 가용화 속도는 증가하여 최대를 나타낸 후 다시 감소하였다. 반면에 FS-606 조성 증가에 따라 계면활성제 수용액과 n-헥산 오일 사이의 계면장력은 감소하여 최소를 나타낸 후 다시 증가하였다.

소나무 잎을 PAS로 이용하여 대기 중 PCDD/Fs 농도 추정 (Estimation of PCDD/Fs Concentrations in Ambient Air Using Pine Needles as a Passive Air Sampler (PAS))

  • 천만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6-125
    • /
    • 2015
  •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se pine needles as a passive air sampler (PAS) for atmospheric polychlorinared dibenzo-p-dioxins/furans (PCDD/Fs). Methods: PCDD/Fs concentrations in ambient air ($C_a$, $pg/m^3$) and deposited pine needles ($C_p$, pg/g dry) were analyzed simultaneously from June 1 to December 31. Air samples were taken using two low volume PUF active air samplers with an overall average air volume of approximately $1,200Sm^3$. Pine needles were collected the end of December near the air sampler. PCDD/Fs was analyzed by HRGC/HRMs. Results: A good correlation was shown ($R^2=0.6357$, p=0.0001) between $C_a$ and $C_p$, but a better correlation ($R^2=0.7372$, p<0.0001) existed between the logarithm of octanol-air partitioning coefficient ($LogK_{oa}$) and Log($C_p/C_a$). The average PCDD/Fs sampling rates from air to pine needles were 0.045($0.018-0.185m^3/day-g\;dry$).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pine needles can be used as PAS for atmospheric PCDD/Fs, and they are especially suitable for long time PAS compared to PUF disk PAS.

도시폐기물 소각공장에서의 다이옥신 배출특성(I) - 방지시설의 영향 -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CDD/Fs in MSW Incinerator(I) - The Effect of Air Pollution Control Device -)

  • 김진범;이우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817-1824
    • /
    • 2000
  • 본 연구는 도시폐기물 소각장 배출가스 중의 다이옥신 배출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소각로 내의 각 방지장치에서 측정된 결과에 의하면, 촉매반응탑 입구에서 가장 많은 양의 다이옥신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전기집진기는 다이옥신이 생성되는데 적당한 조건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이옥신 농도는 계절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 겨울에 측정된 다이옥신 농도가 가을 보다 높았는데, 도시폐기물의 조성, 소각로 운전조건 등이 다이옥신 생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제시해 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