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p

검색결과 538건 처리시간 0.031초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세포 활성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cell bioactivity of Sargassum macrocarpum extract)

  • 김숙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01-30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큰열매모자반 추출물의 식품 및 화장품으로서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항산화능 및 항염능, 항비만효과를 확인하였다. 항산화실험으로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DPPH, ABTS, NO, FRAP을 실시하였다. 폴리페놀의 경우 30.81±1.12 mg/g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의 경우 25.72±0.94 mg/g으로 나타났다. DPPH 실험에서는 6.746 mg ascorbic acid / g extract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실험에서는 15.59 mg ascorbic acid / g extract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NO 실험에서는 6.781 mg ascorbic acid / g extract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FRAP에서는 큰열매모자반 추출물의 1 mg이 ascorbic acid 4.573±0.097 ㎍의 환원력을 보였다. 한편 세포실험에서는 큰열매모자반 추출물이 세포독성이 없음을 보였으며, NO 생성 억제능의 경우 25.95±0.85%의 염증 억제능을 보였으며, 29.75±2.35%의 지질 축적 억제능을 보여 큰열매모자반 추출물이 항염능, 항비만능을 가진 이너뷰티 제품 원료로서 사용가능함을 보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큰열매모자반이 포함하는 단일 물질들이 항산화, 항염, 항비만에 어떠한 기전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청태전(Chungtaejeon Te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 Content, and Flavonoid Content of Chungtaejeon Tea Extracts)

  • 갈 격;한동근;김현정;최은영;안봉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57-36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청태전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관련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가치를 검증하고자 항산화 효능을 분석하였다. 열수와 70% 에탄올을 용매로 청태전을 추출, 농축, 동결건조하여 시료를 제조한 다음 ABTS+ radical 소거능, 전자공여능, SOD 유사 활성능, 환원력, FRAP 환원성 항산화활성,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ABTS+ radical 소거능 분석 실험의 경우, 청태전 열수 추출물(CTW), 청태전 70% 에탄올 추출물(CTE) 모두 1,000 ㎍/mL의 농도에서 98% 이상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전자공 여능 분석 실험의 경우, CTW, CTE 각각 42.20%, 78.82%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 활성능 측정 결과, CTW, CTE 각각 39.73%, 67.39%의 활성이 확인되었다. FRAP, Reducing power 실험의 경우, CTW, CTE 모두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결과, CTW, CTE 모두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청태전 추출물은 항산화 관련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벌나무 추출물의 황생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와 항산화 활성 (Antibacterial, Antioxidant Activities of Acer tegmentosum Maxim Ethanol Extract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 황진우;박찬휘;안해연;장예원;강현;이성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339-346
    • /
    • 2022
  • 본 연구는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효능과 FRAP법을 사용한 환원력을 측정하여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검증하였고, Paper disc법, MIC 및 MBC법을 통하여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검증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66.66 ㎍ GAE/mg와 6.46 ㎍ QE/mg이었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 소거능을 보였고,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RC50 값은 각각 21.49, 12.81 ㎍/mL이었다. 환원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 FRAP 분석에서 벌나무 추출물은 0.73 ± 0.19 mM FeSO4 E/mg의 효능을 보여주었다. Paper disc법을 이용한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벌나무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2 mg에서 3 mm의 저해환을 보여주었으며, 최소 저해농도 연구에서는 1 mg/mL 이상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억제력을 보여주었고, 16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최소저해 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최소살균농도 연구에서는 32 mg/mL에서 최소살균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벌나무 추출물을 사용한 항산화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 벌나무 추출물의 아토피피부염에 유효한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수추출 Geranium Maculatum extract (와일드제라늄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염효과 (Antioxidant,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eranium Maculatum extract" Water Extracts)

  • 최인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44-2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와일드제라늄 추출물의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라디컬 소거능으로서 DPPH, ABTS, FRAP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항산화 물질 측정으로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농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세포실험에서는 B16F10 cell과 RAW 264.7 cell을 사용하여 세포독성 실험과 미백실험, 항염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DPPH에서는 265.8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실험에서는 168.5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FRAP에서는 와일드제라늄 추출물 1 mg의 환원력과 ascorbic acid 229±9 ㎍의 환원력이 같음을 확인하였다. 폴리페놀 농도는 32.989±1.610 mg/g이었고, 플라보노이드 농도는 11.098±0.261 mg/g이었다. 세포실험에서는 실험 농도 범위에서 80% 이상의 세포가 생존하여 와일드제라늄 추출물은 낮은 독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백활성 실험에서는 농도에 따라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100 ㎍/mL에서 40.62±2.07%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보였다. 항염활성 실험에서도 농도에 따라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100 ㎍/mL에서 27.86±2.82%의 염증 억제능을 보여 와일드제라늄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침출 조건이 감잎차의 색 및 항산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ion conditions on color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leaf tea)

  • 안종화;김주혜;김춘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00-310
    • /
    • 2023
  • 본 연구는 시판용 감잎분말을 이용한 침출차 제조 시 시료의 양 및 pH 조건이 감잎차의 색 품질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차 내 감잎의 양이 많을수록 차의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항산화 특성 관련 지표 분석 결과, 감잎 함량이 가장 높았던 감잎차(10 mg/mL)에서 항산화력(DPPH 라디칼 소거 활성: 0.138±0.000 mg AAE/mL,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0.908±0.003 µmol TE/mL, FRAP 환원력: 0.111± 0.004 mg AAE/mL)과 항산화 성분 함량(총폴리페놀 함량: 0.219±0.010 mg/GAE mL,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0.107±0.003 mg/CE mL)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감잎차 내 시료의 양은 10 mg/mL로 고정하고, 침출 용매의 pH 조건을 pH 4에서 7 범위로 설정하여 색도와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pH가 증가함에 따라 감잎차의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FRAP 항산화력은 pH가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일관되게, 가장 낮은 pH 4에서 다른 군에 비해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pH 4 조건에서 제조한 감잎차의 항산화 활성이 다른 pH 조건 대비 더 우수하였고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도 더 많았다. 동시에 색도는 더 밝으면서 붉은 정도와 황색 정도가 적었다. 결론적으로, 시료의 양을 높이면서 낮은 pH 조건에서 감잎차를 준비하는 것이 항산화 기능성 측면에서 더 나은 건강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동지역 과체중 및 비만 성인에서 항산화 영양소섭취상태와 혈중 산화 및 염증관련 지표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Antioxidant Nutrient Intakes, Blood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Markers of Overweight and Obese Adults in Yeongdong Area)

  • 김미현;연지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37-648
    • /
    • 201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trient intakes, antioxidants, and inflammatory markers of overweight and obese adults (46 females and 16 males) in Yeongdong area.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thropometric checkups, 2-day 24 hr recalls and blood biomarker analyses. Body fa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compared to men.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and systolic blood pressure (SB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en compared to wom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and waist size among the two groups. The intake of nutr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en compared to women. Ferric reducing ability plasma (FRA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en compared to women. Body fa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lood IL-6 and IL-8 levels. DBP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RAP. The intake of protei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IL-6 levels. The intake of carbohydrate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otal antioxidant capacity (TAC). Prostaglandin E2 (PGE2) level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AC.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ioxidant and inflammatory markers may be related to the body fat percentage and dietary intake in overweight and obese adults.

건지황 증포횟수에 따른 숙지황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Activity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Prepared from Dried Root through Steaming-Drying Cycles)

  • 이지연;김나연;오혜림;이근종;양기현;도은수;김미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38-843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ie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RRP) prepared from dried root through nine repeated steaming-drying cycles.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the final cycle of RRP increased to 165.2% compared with that of the 1st cycling product. Antioxidant activities which were determined by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FRAP), 2,2'-azinobis(3 ethy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1,1-diphenyl-2-picrydrazyl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remarkably as the number of steaming-drying cycles increased. Especially, FRAP value increased to 89.1%. Further, $IC_{50}$ values for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final 9th-cycling product decreased to 58.3% and 67%,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RRP improve according to an increased number of steaming-drying cycles.

생지황을 이용하여 전통방법으로 제조한 숙지황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Rehmannia glutinosa by Traditional Methods)

  • 김효진;이지연;유보람;도은수;김미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41-346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ies of Rehmannia glutinosa (Raw Jihwang) by traditional method. The total phenol content of Rehmannia radix Preparata (the final cycle of Jihwang) was increased to 205%, compared with Rehmannia glutinosa.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by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FRAP), 2,2'-azinobis(3 ethy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1-diphenyl-2-picrydrazyl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remarkably as the number of steaming-drying cycles increased. Especially, FRAP value increased 285%. Also, $IC_{50}$ values for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final 9th-cycling product, decreased 48.4% and 76%,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ose of Rehmannia glutinosa. Our result was suggested that antioxidant activities of Rehmannia radix Preparata improve according to the increasing number of steaming-drying cycles.

Red Strain Oryza Sativa-Unpolished Thai Rice Prevents Oxidative Stress and Colorectal Aberrant Crypt Foci Formation in Rats

  • Tammasakchai, Achiraya;Reungpatthanaphong, Sareeya;Chaiyasut, Chaiyavat;Rattanachitthawat, Sirichet;Suwannalert, Prasi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1929-1933
    • /
    • 2012
  • Oxidative stress has been proposed to be involved in colorectal cancer development. Many dark pigments of plants have potent oxidative stress preventive properties. In this study, unpolished Thai rice was assessed for antioxidant activity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methods. Red strain unpolished Thai rice was also administered to rats exposed to azoxymethane (AOM) for induction of aberrant crypt foci (ACF). Serum malondialdehyde (MDA)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were investigated for cellular oxidative stress and serum antioxidants, respectively. Red pigment unpolished Thai rice demonstrated high antioxidant activity and was found to significantly and dose dependently decrease the total density and crypt multiplicity of ACF. Consumption of Thai rice further resulted in high serum antioxidant activity and low MDA cellular oxidative stress. Interestingly, the density of ACF was strongly related to MDA at r = 0.964, while it was inversely related with FRAP antioxidants (r = -0.915, p < 0.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nsumption of red strain of unpolished Thai rice may exert potentially beneficial effects on colorectal cancer through decrease in the level of oxidative stress.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ing Activity by Extracts of Galla rhois

  • Lee, Seung-Hyun;Lee, Sang-Han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4호
    • /
    • pp.227-232
    • /
    • 2013
  • We studied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alpha}$-glucosidase from aqueous, ethanolic and methanolic fractions of Galla rhois. In FRAP and ORAC assay for measuring antioxidant activity, we confirmed that Galla rhois extracts ha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nd ethanolic and methanolic extracts were relatively stronger than aqueous extract. We used trolox as a positive control. In order to measure the inhibitory effect of ${\alpha}$-glucosidase, we compared acarbose and Galla rhois extracts. As a result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ssay, aqueous, ethanolic and methanolic extracts of Galla rhois showed high inhibitory activitity and ethanolic and methanolic extracts were relatively stronger than aqueous extract. The 50% inhibitory concentrations (IC50s) of acarbose, aqueous, ethanolic and methanolic fractions were 0.45 mM, $0.53{\mu}g/ml$, $0.415{\mu}g/ml$ and $0.37{\mu}g/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Galla rhois extracts can be a clinically useful anti-diabetic ingredient, indicating that it needs to be fractionated and isolated and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