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EXPERIENCE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23초

산림체험 프로그램이 정신과 입원환자의 심리·생리 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es in Psychiatric Inpatients)

  • 김민희;위안진;윤병선;심봉섭;한영훈;오은미;안기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133-139
    • /
    • 2015
  •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스트레스에 둘러싸여 자연과 단절된 삶을 살아가고 있으며 이는 여러 질환의 발병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과거에 비하여 정신건강문제 경험자 수와 정신의료기관 입원환자의 수도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산림체험 프로그램이 정신과 입원환자의 기분상태와 우울 및 스트레스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나주시 N병원의 정신과에 입원 중인 실험군 12명과 대조군 13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20일부터 29일까지 5회에 걸쳐 산림체험 프로그램이 실시되었으며, 기분상태 검사지(K-POMS-B)와 Beck 우울검사지(BDI) 및 타액을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산림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환자의 경우 우울상태가 호전되고 스트레스가 감소되었으며, 스트레스 감소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Forest Healing Experience in Forest Life

  • Kang, Hee Won;Lee, Geo Lyo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01-309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 of healing experience for lifestyle and environmental diseases through life and activities in the forest from the perspecitive of critical realism, and how the causal power and mechanism of the healing experience relate to forest healing factors and programs. Methods: 93 video data of people who started living in the forest for disease treatment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realism. Categories for analysis include general categories (age, duration, occupation, disease name), forest therapy categories (climate therapy, plant therapy, water therapy, diet therapy, kinesiotherapy, psychotherapy), and other categories (ecology, learning and management, life tools), etc., and the unit of analysis is the context unit. Results: 1) The diseases that motivated life in the forest were digestive system diseases, lung diseases, cardiovascular diseases, endocrine system diseases, and various lifestyle-related diseases and environmental diseases in similar proportions. This indicates that forest life does not have specificity to respond to specific diseases, but provides treatment and recovery for all lifestyle and environmental diseases. 2) Among the forest therapies, climate therapy and plant therapy are related to the climatic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forest where 'natural persons' live. And others such as water therapy, diet therapy, kinesiotherapy, psychotherapy indicate the change from the lifestyle that caused the disease to the lifestyle for treatment and recovery. Conclusion: Life and activities in the forest provide an environment for treatment and recovery in which the healing principles such as aromatherapy, nutritional and dietary therapy, kinesiotherapy, and emotional psychotherapy are integrated in the 'real world'.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공동체 의식함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on Promoting Children's Community Spirit)

  • 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94-501
    • /
    • 2020
  • 본 연구는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공동체 의식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을 갖고 충남지역 A 어린이집의 4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전체적인 연구 결과 숲에서 숲 체험 활동을 한 실험집단과 기존 누리 과정 실외 활동을 한 비실험집단 간 공동체 의식의 하위요인인 친밀감, 정서, 상호 공공의식, 참여의식의 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연구문제는 모두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숲 유치원에서 자연을 활용한 유아들의 인성 교육은 오감이 깨어나는 경험을 통해 유아들의 감성 및 정서적 안정감의 발달을 촉진시키고 또래 간 숲 활동을 통해 자기 인식과 자립심, 신뢰감을 형성하고 긍정적인 태도와 사회성이 발달과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존중을 배우고 잠재 능력, 상상력, 창의성을 발달시키는 교육 장소로 훌륭한 대상이 됨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숲 체험 활동이 유아가 공동체를 지향하는 삶을 살아가게 하는데 효과적이므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지속적인 제공이 필요하다는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데서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숲 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 학부모의 기대감과 유아의 다중지능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ren's Play Activities through Forest Experience on Their Parents' Expectation and Their Multiple Intelligence Improvement)

  • 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03-311
    • /
    • 2020
  • 본 연구는 숲 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 학부모의 기대감과 유아의 다중지능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A지역 소재 어린이집 유아 학부모 15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적용하여 실증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숲체험 놀이 활동의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요인이 학부모가 유아의 안전 활동 기대감과 미세먼지 염려에 미치는 요인에 있어 신체적, 인지적 요인이 채택된 반면, 사회적 요인은 기각되었다. 둘째, 유아 숲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의 다중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요인이 다중지능 향상의 하위 요인인 사회성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인지적 자발성은 감수성과 창의성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숲체험놀이 활동이 다중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부모의 기대감이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 3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숲체험 활동의 신체적, 인지적 요인이 유아 학부모의 미세먼지 염려와 안전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그리고 사회성 요인은 유아의 어린이집 내 다양한 교육에서 충분히 습득될 수 있는 요인으로 숲체험 놀이 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기대감과는 다소 거리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숲 체험 통합 중재가 재가 암 환자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 Forest-experience-integration Intervention for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Depression and Resilience)

  • 최연희;하영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9-11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forest-experience-integration intervention in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Methods: The study was done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53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in a community health center in Gyeongsangbuk-do.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26) who participated in the forest-experience-integration intervention and a control group (n=27) who did not participat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in 2011.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C+ 19.0 through $x^2$ 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depression (t=-4.51, p<.001), self-regulation resilience (t=6.95, p<.001), interpersonal resilience (t=10.10, p<.001), positivity resilience (t=9.67, p<.001), and total resilience (t=13.93, p<.001) measurements. Conclusion: The forest- experience-integration intervention delivered to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was an effective method for relieving depression and enhancing self-regulation resilience, interpersonal resilience, positivity resilience, and total resilience, and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연령별 산림교육 이용현황 및 요구도 분석 (The Need for and Use of Forest Education According to Age Group)

  • 이윤주;이연희;하시연;최선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645-654
    • /
    • 2019
  • 본 연구는 연령별 맞춤형 산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우리나라 성인의 연령별 산림교육 이용현황 및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전국의 일반 성인 1,54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우리나라 국민들의 산림교육 인지도와 이용경험에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산림교육 인지도와 이용경험, 향후 산림교육 이용의향 및 산림교육이 전인적 성장에 기여하는 정도에 대한 인식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연령대가 더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또한, 산림교육 유경험자의 동반자 유형과 참여 동기에서 연령대별 특징이 나타났다. 산림교육 참여 동기는 '산림경관을 즐기기 위해', '새로운 것을 경험해보기 위해', '기분전환을 위해'라는 응답이 모든 연령대에서 공통적으로 높았으나, 30대는 다양한 배움에 대한 욕구, 50대 이상은 건강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는 모든 연령대 중 자녀를 포함한 가족과 산림교육에 참여하는 비율이 가장 많았다. 산림교육프로그램 운영기간과 진행시간에 대해서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장기간을 선호하였고, 산림교육 선택에 있어 모든 연령층이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은 '접근성'인 것으로 드러났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연령별 산림교육 이용현황과 요구도의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산림교육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이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숲 체험을 통한 알코올의존자의 치유경험 (Healing Effects of the Forest Experience on Alcoholics)

  • 차진경;김성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38-348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describe healing effects of the forest on alcoholics through a forest experience program. Methods: The qualitative data was gathered from one focus group discussion with 6 alcoholics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8 alcoholics. They had all participated in a "healing forest" program.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ccording to thematic content analysis processes. Results: The four main themes on the attributes of forest were "a lively living being", "placidity and tranquility", "acceptive atmosphere", and "beautifulness as it is" which revealed the participants' perceived nature of the forest which was attributed to the healing effects. Eight other themes on participants' positive changes included "revived senses", "aspired to live", "relieved and relaxed from being tense", "gaining insight on self", "having an acceptive attitude", "becoming compliant with his/her life", "learning that life is being together" and "recognizing the value of one's existenc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e participants' self-healing processes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 nature of the forest. Nursing interventions utilizing healing atmospheres such as "healing forest" programs can be considered helpful in providing a venue to alcoholics to reflect on their lives affirmatively.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 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oreign Workers

  • Kim, Han-Won;Shin, Won-Sop;Jang, Cheoul-Soo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05-513
    • /
    • 2019
  • As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increases in Korea, people's interest in their adaptation to this society has also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forest-healing program on foreign workers'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recreation forest located in Hongcheon-gun, Gangwon-do.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cluded 40 foreign workers (16 males, 24 femal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hree days and two nights from June 26 to 28, 2019. The forest healing program was composed of activities that can enhance immunity and restore physical and mental health by utilizing various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andscapes, sunlight, anion and oxygen in forest.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changes i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As a result, cultural adaptation str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in sub-factors including discrimination experience, language conflict and legal status. Psychological wellbeing improved in all the surveyed sub-factors such as self-confidence, ego, immersion, and jo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reducing the stress foreign workers experience from cultural adaptation and restoring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future.

숲 체험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operative Art Activities through Forest Experience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Happiness Fullness)

  • 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09-317
    • /
    • 2019
  • 본 연구는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S어린이집의 A반 유아 실험집단 20명과 B반 유아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동일연령의 환경이 비슷한 집단을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 충만감에 대해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계획한 2개월간 16차시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누리과정연계활동을 주제로 실외활동을 한 후 사전사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재창조능력, 인간관계, 목표달성, 통솔력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행복충만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정서, 몰입, 관계, 의미, 성취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유아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기제와 동시에 촉진요소임이 판정되었다. 이는 유아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에게 놀이를 제공하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유아들의 즐거움과 행복충만감을 촉진하게 됨을 의미한다.

A Needs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Healing Programs: Focusing on Cancer Patients

  • Lee, Mi-Mi;Lee, Don-Gak;Park, Bong-Ju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83-694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Cancer is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in Korea, and it affects any part of the body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Forest healing is a treatment that maximizes the effect of treatment and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forest healing programs for cancer patients based on the survey on their interest and needs for the programs. Methods: The subjects were those diagnosed with cancer from October 2018 to April 2019, and this study used 14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retrieve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n = 144) was the appropriate size required by G-Power, and the collected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Results: In the frequency analysis on the interest in forest healing, 79.2% of the subjects had no experience participating in forest healing, but 87% were aware of it, and 82.6% showe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forest healing programs. This indicates that even though not many of them have experience participating in forest healing, they showed high interest and needs for participation. They preferred to participate in spring (29.9%) and fall (27.8%), in programs carried out for 1.5-2 hours in the morning on weekdays. Conclus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analysis on forest healing needs of cancer patients, and it is necessary to plan, develop, and implement differentiated forest healing programs that meet the needs of the cancer patients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There is also a need to plan forest healing program that can promote bo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hysical health of cancer patients and verify and evaluate their effects based on specialized training of forest healing instru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