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BATH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4초

삼림욕장(森林浴場) 설계(設計)를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 (Basic Studies for the Design of the Forest Aromatic Bath Ground)

  • 김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31-42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아직 연구(硏究)의 초창기적(初創期的) 단계(段階)에 있는 삼림욕(森林浴)에 대(對)한 과학적(科學的)인 근거(根據)와 삼림욕장(森林浴場) 설계(設計)에 필요(必要)한 개념(槪念) 특(特)히 삼림욕(森林浴)의 정의(定義), 기본행태(基本行態)와 시설(施設) 및 수용력(收容力) 결정(決定)에 관한 사항과 삼림욕장(森林浴場) 조성시(造成時) 고려점(考慮點)을 밟히는 내용(內容)으로 되어 있다. 삼림욕(森林浴) 발생(發生)의 동인(動因)이 된 terpene은 인체(人體)에 유효(有效)한 작용(作用)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고 그 물질(物質)은 하루 중에는 정오(正午) 경(頃)과 아침에, 연(年) 중(中)에는 봄 여름에 많이 발산(發散)되고 있다. 발산(發散)에 영향(影響)을 주는 제일인자(第一因子)는 기상인자일풍(氣象因子一風), 온도(溫度), 일사량(日射量), 관계습도일(關係濕度一)이며, 목관록폐도(木冠麓閉度)와 엽량(葉量)도 발산량(發散量)의 농도(農度)에 관계(關係)하고 있다. 삼림욕(森林浴)의 기본행태(基本行態)는 주로 정적(靜的)인 행태(行態)이며 시설(施設) 또한 그렇다. 1인당(人當) 필요(必要)한 삼림면적(森林面積)인 삼림욕방(森林浴房)의 크기는 $169m^2$이며 ha당(當) 59인(人)이다. 삼림욕장(森林浴場)의 입지(立地)는 국(國) 도립공원(道立公園), 계류지(溪流地), 온천지대(溫泉地帶), 수변지(水邊地) 등에 인접하여 있는 것이 좋다. 한편, 삼림욕장(森林浴場)의 삼림관리(森林管理)는 terpene 발산량(發散量)을 일정(一定)하게 유지(維持)하고 삼림생태계(森林生態系)의 균형(均衡)이 파괴되지 않도록 실시(實施)돼야 한다.

  • PDF

도시형(都市型) 삼림욕장(森林浴場) 목초본식물(木草本植物)의 내음성(耐陰性)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hade Tolerance of the Woody and Herbaceous Plants for Urban Forest Aromatic Bath)

  • 홍성각;김종진;임형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585-590
    • /
    • 2000
  • 본 연구는 도시형 온실 삼림욕장 개발을 목표로 하여 이 삼림욕장 조성에 이용될 후보식물들의 내음성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후보식물로 소나무, 장백소나무, 눈측백나무, 백리향, 인동덩굴 및 생강이 선정되어 각각 자연 전광의 50%, 30%, 10% 및 2% 로 조절된 피음포지에서 생육하였으며, 뱀고사리의 경우에는 시험용 삼림욕장내 상대광도가 자연 전광의 10~15%와 25~30%가 되는 장소에서 생육하였다. 소나무, 장백소나무, 백리향은 광도가 낮아짐에 따라 수고 및 근원경 생장과 건물질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눈측백나무와 생강은 50%에서의 생장이 오히려 대조구보다 좋았으며, 뱀고사리의 경우에는 상대광도가 낮을수록 생장이 양호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 볼 때 소나무, 장백소나무 및 백리향은 눈측백나무와 생강에 비하여 온실 삼림욕장내에서 상대적으로 광도가 높은 장소에 적합하고, 뱀고사리는 앞으로 이러한 실내 공간에 매우 적합한 식물로 사료된다.

  • PDF

곶자왈휴양림 삼림욕 후 자율신경 활성의 변화 (Changes of Autonomous Nerves Activities after the Gyorae Gotjawal Forest Bathing)

  • 신방식;이근광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9-46
    • /
    • 2018
  • 교래자연휴양림을 탐방한 대상자들이 삼림욕을 한 후에 자율신경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삼림욕 전후에 유비맥파기를 이용하여 맥파를 측정하였다. 결과: 삼림욕 후에 교감신경 활성(LF)의 변화에서는 대조군의 사전과 사후의 평균치 차이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실험군에서는 사전보다 사후에는 증가하여 유의성이 있었으며(p<.038), 분산분석에서는 그룹간(p<.014), 전후 차( p<.026) 및 그룹과 전후 차에서도 유의하였다(p<.018). 부교감신경 활성도(HF)의 변화에서는 대조군과 실험군 간에 모두 유의성이 없었다. LF/HF 비율에서는 실험군에서는 사전보다 사후에 증가하여 유의성이 있었고(p<.019), 그리고 분산분석에서는 그룹간, 사전 및 사후 차간에서도 유의성이 있었다(p<.04). 평균맥박의 변화에서는 대조군은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성이 없이 감소하였으나, 실험군에서는 사전보다 사후에 증가하여 유의성이 있었다(p<.026). 맥박표준편차(SDNN)의 변화에서는 대조군 및 실험군의 사전보다 사후의 평균치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이 없었으나, 분산분석에서는 그룹간에서는 유의성이 있었다(p <.014). 심박변이평균편차(RMSSD)의 변화에서는 대조군 및 실험군의 사전과 사후의 평균치 차이는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교래곶자왈 숲 삼림욕 후에는 자율신경의 활성이 변화되고 평균맥박도 높아져서 자연치유의 장소로 유용하다고 판단한다.

  • PDF

도시형(都市型) 삼림욕장(森林浴場)의 환경(環境), 욕장식물(浴場植物)의 탐색(探索)과 온도(溫度) 및 광주기(光週期) 반응(反應)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 the Search and the Response to Temperature and Photoperiods of the Plants for Urban Forest Aromatic Bath)

  • 홍성각;강병근;임형탁;손요환;김종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523-532
    • /
    • 1999
  • 본 연구는 자연 삼림욕장을 방문하기 어려운 장애인, 환자, 도시근로자들을 위하여 도시내 건물옥상 또는 유휴공간에 자연 삼림욕장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도시형 온실 삼림욕장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용 저에너지 투입 이중비닐 삼림욕장을 축조하여 겨울철, 여름철 욕장환경을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욕장에 적합한 방향성 자생 및 외래 목, 초본식물들을 탐색하였다. 또한 후보식물들의 겨울철 저온, 여름철 고온에 대한 생장반응과 광주기 반응을 관찰하였다. 겨울철 이중비닐 욕장내 조절된 밤 최저온도는 $-2^{\circ}C$로써 대부분의 초본류는 동사하지는 않았으나 생장이 정지된 상태로 있다가 4월 초에 생장이 개시되었다. 외래초본 중 Catnip faassen's(Nepeta x faassenii)와 Lemon bergamot (Monarda citriodora)는 장일조건에서 생장이 촉진되었다. 이른봄 구상나무, 눈측백나무, 장백소나무와 같은 목본류의 생장율은 주로 밤 최저온도에 영향을 받았으며 광주기조건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온비닐온실에서 자생초본, 방아풀, 들깨풀, 배초향, 더덕은 16시간의 장일조건에서 생장이 촉진되었다. 소나무는 여름철 $40^{\circ}C$이상의 고온에서 수고생장 및 근원경생장이 억제되었다.

  • PDF

산림활동이 우울증 환자들의 호전에 미치는 영향: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과 병원 프로그램 집단, 산림욕 집단, 대조군 비교 연구 (Synergistic Effect of Forest Environment and Therapeutic Program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 우종민;박상미;임성견;김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677-68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숲 환경을 이용한 주요우울장애의 정신사회적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대조군 비교 연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주요우울장애로 진단 받고 현재 정신과 외래에서 항우울제 약물치료 중인 사람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각각 네 집단으로 나뉘어 세 집단은 각각 산림에서 시행한 치유 프로그램, 병원에서 시행한 치유 프로그램, 단순 산림욕에 참여하였고, 나머지 한 집단은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고 일반 진료만 받은 대조군이었다. 이들은 모두 프로그램 전후의 우울증상 변화, 생리적 지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Hamilton Rating Scales for Depression(HRSD), Montgomery-Asberg Depressin Rating Scales(MADR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hort Form Health Survey Questionnaire(SF-36), Heart Rate Variability(HRV)검사를 받았다. 연구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의 HRSD 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MADRS 점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 병원 프로그램 집단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미한 호전을 보였다. HRSD 7점 이하로 정의되는 관해율은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이 가장 높았다. 또한 SF-36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에서만 건강 상태와 관련된 삶의 질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Heart Rate Variability(HRV)에서도 생리적 이완감을 나타내는 HF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산림환경을 이용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외래 치료 중인 우울증 환자에게 적용했을 때 우울증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지만, 우울증상 감소와 관해율에 있어서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 병원 프로그램 집단, 산림욕 집단, 대조군 순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산림기반형 한방치유 관광상품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Consumer Preference for a Forest based Korean Medical Healing Tourism Product)

  • 김정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63-471
    • /
    • 2012
  • 본 연구는 산림기반형 한방치유 관광상품에 대한 수요자 욕구와 선호를 파악하여 향후 보다 표적화되고 차별화된 산림치유 관련 정책 수립과 한방치유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이상 성인남녀 400명을 조사대상으로 성과 연령별, 거주지역별로 비례할당 표본추출법을 사용, 인터넷조사(CAWI)를 실시하여 총 317부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산림기반형 한방치유 관광상품에 대한 이미지는 '산림욕, 숲속 걷기, 나무'가 다수(61.5%)를 차지했고, 선호 의견과 이용 의향은 각각 72.9%와 67.5%로 긍정적인 경향이 높았다. 단지 조성에 적합한 지역으로는 수도권이 53.6%, 강원도가 38.8%로 나타났다. 이용목적은 '스트레스 해소와 재충전', '산림휴양활동', '건강 유지 및 체력 증진'의 순이었다. 선호 치유요법은 '트래킹, 산책 등 걷기요법'이 가장 많았으며 '피트니스, 기체조 등 운동요법'이 그 뒤를 이었다. 상품선택 시 주요 고려 요인은 '이용 비용의 적정성', '음식과 이용 식자재의 적절성', '의료진 및 직원들의 친절성' 등으로 나타났으나 이용편의성과 의료서비스의 질, 관광활동 관련 요인 등 전 요인에 걸쳐 높은 점수를 기록하여 상품에 대한 수요자의 높은 기대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세분시장 별로 이용관련 요인들에 대한 선호에 차이점을 보이고 있어 관련 상품의 기획과 운영 시 차별화 되고 세분화된 수요자 욕구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는 상이한 수요자 선호를 파악함에 있어 인구통계학적 세분 시장만을 규명함으로써 가장 기초적인 단계에 머무른 한계점을 지니고 있어 후속연구에서는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수요자 욕구에 대한 보다 정교화된 규명이 요망된다.

Emission of Far-infrared Ray in Packaging Paper

  • Lee, Ji-Young;Kim, Chul-Hwan;Jung, Ho-Gyeong;Shin, Tae-Gi;Seo, Jeong-Min;Lee, Young-Rok
    • 펄프종이기술
    • /
    • 제40권5호
    • /
    • pp.47-52
    • /
    • 2008
  • The far-infrared ray (FIR) has been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medical therapy, kitchen utensils, bath supplies, and so on. The FIR-emitting agent was used to make functional paperboards to have freshness-maintaining ability. The FIR-emitting agent was dilu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at 0.5% starch solution, and the FIR-emitting solutions were coated on paperboards, i.e., liner. The more the concentration of the FIR radiating agent increased at 0.5% cationic starch solution, the higher FIR emissivity and emission power of paperboards increased. The corrugated boxes made of paperboards coated by the FIR-radiating agents at over 5% dilution concentration endowed mandarin oranges in the boxes with great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those in boxes made of paperboards coated by the agent at below 5% concentration. In addition, it was ascertained that treatment of the FIR agents rarely affected strength properties of paperboards.

산림치유 연구의 국내동향 분석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Forest Therapy in the Korean Journal)

  • 성수현;박종현;이영준;한창현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3-70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f reports on forest therapy so far and analyze the Korean medicine therapy being applied in forest therapy programs. Methods We ran a keyword search on domestic databases with the following keyword 'forest therapy, forest healing, forest treatment, recreational forest, forest bath, forest experience'. The search took place in December 2014 and there was no limit to search time. A total of 334 forest therapy articles have been selected. Results The number of research on forest therapy continued to rise from 1985, with 334 articles being published from 84 journals. When those 188 articles were sorted by their contents and methods, except 146 articles of survey on simple satisfaction, recognition and visting, 94 were clinical studies, 79 were literature studies, 15 were experimental studies. Of the 94 clinical researches, there were 52 CCTs (Controled Clinical Trials), 39 ODs (efficacy studies with either a controlled or an Other than controlled Design) and 3 RCTs (Randomized Clinical Trials). Among the clinical researches, there were a total of 21 studies that used Korean Medicine programs, and meditation was the most popular, being used in 18 studies. Herbal food and tea therapy and Qigong were used in 3 studies each, and Korean medicine music programs were used in 2 studies. Conclusions A systematic and standardized Korean medicine forest therapy program must be developed, and based on the program, more research treating diseases should be conducted.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인 대상별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분석 (The Preference Analysis of Adults on the Forest Therapy Program with regard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김윤희;김은진;김동준;연평식;최병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150-16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성인 대상별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를 분석함으로써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한다. 일반 성인 남 여 516명을 대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 37개에 관한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프로그램의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많은 공변량이 확인되어, 자료를 의미있게 축약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T-검정, 분산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지역, 직업)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37개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축약하기 위하여 베리멕스 직각회전법을 이용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은 7개의 프로그램군(1: 심리치료중심 프로그램, 2: 강의 상담중심 프로그램, 3: 캠핑 산림욕중심 프로그램, 4군: 식이중심 프로그램, 5: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 6: 명상중심 프로그램, 7: 호흡 요가중심 프로그램)과 7개의 독립프로그램(1: 숲속 잠자기, 2: 비전 퀘스트, 3: 물속에 손과 발 담그기 4: 신발 신고 숲속 걷기, 5: 숲 경관 보기, 6: 등산, 7: 숲속 운동회)으로 축약되었다. 이를 중심으로 성별, 연령, 지역, 직업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라서 심리치료중심 프로그램군, 식이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호흡 요가중심 프로그램군, 등산 프로그램에 대해서 남 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연령에 따라서 강의 상담중심 프로그램군, 캠핑 산림욕 중심 프로그램군,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호흡 요가중심 프로그램군, 숲속 운동회 프로그램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에 따라서 심리치료 중심 프로그램군, 강의 상담중심 프로그램군, 식이중심 프로그램군,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비전 퀘스트, 등산, 숲속 운동회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에 따라서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비전 퀘스트, 신발 신고 숲속 걷기, 숲 경관 보기, 등산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대한 다양성을 고려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신기능성 물질 탐색을 위한 침엽수잎의 특수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I) - 펙틴, 탄닌, 테르페노이드의 분석 - (Studies on the Analysis of Special Components of Major Pine Needles for Searching of the New Functional Substances (I) - Analysis of Pectin, Tannin and Terpenoids -)

  • 황병호;이현종;강하영;유순희;조재현;조국란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134-142
    • /
    • 1997
  • 주요 소나무류잎의 특수성분을 분석하여 시판되고 있는 솔잎 가공식품의 기초데이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임산화학 분야의 학문적 기초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하여 실시한 결과, 펙틴은 잣나무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탄닌은 잣나무가 높게 분석되었고, 소나무와 해송은 유사하였다. 테르페노이드 성분중 ${\alpha}$-pinene은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beta}$-pinene은 리기다와 해송에서 높게 분석되었으며, 희귀성분으로는 잣나무에서 sabinene과 citronellol, 리기다에서는 ${\alpha}$-pinene oxide 등이 분석되었다. 특히 소나무잎에 다량 존재하는 성분은 ${\alpha}$-pinene, ${\beta}$-caryophyllene, ${\beta}$-phellandrene, ${\Delta}^3$-carene, phytol 등 이었다. 향기성분의 주체인 ${\alpha}$-pinene, limonene, bornylacetate들이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보다 많이 분석된 것으로 보아 삼림욕의 신선하고 상쾌한 내음의 주체성분이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