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DG PET-CT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26초

Alzheimer's Disease의 대사영상패턴 분석 (Metabolic impairment pattern analysis of the Alzheimer's disease)

  • 주라형;이창욱;정용안;최보영;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4년도 제29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91-95
    • /
    • 2004
  • 알츠하이머병에서는 전산화 단층촬영영상이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구조적, 비특이적 뇌 위축등의 병변을 진단할 수는 있으나 뇌 당대사 및 혈류 분포에 의한 이상 유무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단일광자방출 단층촬영술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이나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술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을 이용한 국소 뇌혈류나 뇌 당대사 변화를 관찰한 진단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SEPCT나 PET영상 위에 직접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를 그려서 ROI를 관찰하여 해부학적 뇌위축과 국소 뇌혈류나 뇌 당대사 변화를 분석하였으나 ROI 방법은 주관적인 영향과 많은 분석 시간을 요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통계적 분석 방법을 이용한 맵핑방법으로 voxel based morphometry 방법을 수행하였고 MMSE 값을 분산분석변수로 하여 영상분석하여 $^{18}$F-labeled 2-deoxyglucose ($^{18}$F-FD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CT 영상을 분석하였다. MMSE 값을 변수로 분석한 voxel based morphemetry 방법에서는 MMSE 값에 의한 대사저하의 변화는 무의미하였다. 알츠하이머병에서는 측두두정엽(temporoparietal cortex)의 cerebral blood flow, oxygen utilization, glucose metabolism은 줄어들고, 일차시각피질, 일차감각피질, 기저핵, 시상, 소뇌는 유지되며 voxel based morphometry 방법은 알츠하이머병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분석방법이다.

  • PDF

PET/CT 검사에서 주입선량의 변화에 따른 적정한 영상획득시간의 평가 (Evaluation of Proper Image Acquisition Time by Change of Infusion dose in PET/CT)

  • 김창현;이현국;송치옥;이기흔
    • 핵의학기술
    • /
    • 제18권2호
    • /
    • pp.22-27
    • /
    • 2014
  • PET/CT검사는 장비의 발전과 더불어 환자의 피폭을 줄이기 위하여 저 선량을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PET/CT scanner의 영상의 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주입선량의 변화에 따른 적정한 bed당 획득시간을 평가하고자 한다. 모형 실험은 NEMA NU2-1994 phantom으로 hot cylinder의 농도를 3, 4.3, 5.5, 6.7 MBq/kg 으로 증가시키고 bed당 획득시간을 30 sec, 1 min, 1 min 30 sec, 2 min, 2 min 30 sec, 3 min, 3 min 30 sec, 4 min, 4 min 30sec, 5 min, 5 min 30 sec 10 min, 20 min, 30 min로 늘려가며 영상을 획득 후 hot cylinder의 농도와 배후 방사능에 4개의 ROI (Region of Interest)을 설정하고 hot cylinder의 농도 와 bed당 획득시간에 따른 변화를 최대 표준섭취계수(Standard Uptake Value maximum, $SUV_{max}$)를 측정 후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 BKG (Background)의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비교해 보았다. 또한 4.3 MBq phantom을 이용하여 검사 대기시간의 변화(15분과 1시간)에 따른 각각의 $SUV_{max}$, SNR, BKG의 표준편차를 비교하였다. 단위 질량당 방사능의 농도가 3, 4.3, 5.5, 6.7 MBq으로 증가하고 또한 각 농도의 time/bed을 1분30초에서 30분까지 늘렸을 때 hot cylinder의 $SUV_{max}$ 값은 bed당 획득시간이 각 방사능의 농도에 따라 30초에서 2분까지는 최대 18.3에서 최소 7.3까지 변화가 심했고 2분 30초에서 30분까지는 최대 8에서 최소 5.6으로 일정한 $SUV_{max}$ 값을 나타내었다. 단위 질량당 방사능의 변화에 따른 SNR은 3 MBq에서는 최소 0.41에서 최대 0.49까지 일정하였고 4.3 MBq과 5.5 MBq에서는 각각 최소 0.23, 0.39에서 최대 0.59, 0.54로 bed당 획득시간이 늘수록 상승하였다. 방사능 농도 6.7 MBq에서는 30초에서 최대 0.59로 높았지만 이후 0.43에서 0.53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BKG (Background)의 표준편차는 3 MBq에서 2분 30초 후부터 0.38에서 0.06으로 낮아졌고 4.3 MBq과 5.5 MBq에서는 1분 30초 후부터 0.38에서 0으로 낮아졌고 6.7 MBq에서는 30초에서 30분 전 구간에서 낮은 0.33에서 0.05이었다. 4.3 MBq 팬텀으로 검사대기시간을 15분과 1시간으로 변화시킨 결과에서는 bed당 획득시간이 2분 30초부터 $SUV_{max}$값이 서로 일정한 값을 보였고 SNR은 1분 30초부터 비슷한 값을 보였다. 위 결과와 같이 단위 질량당 주입된 방사능의 농도를 3, 4.3, 5.5, 6.7 MBq으로 증가시켰을 때 bed당 획득시간이 2분 30초 이상에서는 $SUV_{max}$와 SNR의 값이 서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검사 대기시간의 변화(15분과 1시간)에서도 bed당 획득시간이 2분 30초 이상에서는 $SUV_{max}$와 SNR의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NEMA NU2-1994 phantom 실험의 결과에서 주입되는 방사능의 농도의 변화에도 일정한 $SUV_{max}$와 SNR의 값을 구하기 위한 최소 bed당 획득시간은 2분 30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 획득시간은 장비의 사양과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PDF

유두상 갑상선암과 동반된 기능성 낭종성 부갑상선 선종 1예 (A Case of Functionary Cystic Parathyroid Adenoma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 장우진;정현희;박상현;손세훈;윤지성;이형우;원규장;조인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7권2호
    • /
    • pp.139-145
    • /
    • 2010
  • Cystic parathyroid adenoma is one of rare causes of hyperparathyroidism, and tends to cause increased serum level of parathyroid hormone, alkaline phosphate and serum calcium level similar to when compared to those of solid adenoma. The possibility of a coincidental appearance of primary hyperparathyrodism and nonmedullary thyroid cancer is rare, and often neglected. A 40-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constipation and weight loss for 3 months. The serum calcium, phosphate and alkaline phosphate were 16.6 mg/dl, 2.2 mg/dl and 505 IU/L respectively and serum parathyroid hormone level was 1556.2 pg/mL. Neck US showed mixed nodules at both thyroid lobes, and PET-CT showed a right thyroid nodule without FDG uptake. The patient was diagnosed of primary hyperparathyroidism and underwent parathyroidectomy and a total thyroidectomy. Histopathologic results revealed parathyroid adenoma with cystic change (2 cm greater diameter) in the right lower parathyroid gland and coexistent papillary carcinoma of the right lobe of thyroid gland (infiltrating, 0.3 cm in greater diameter). She remained well and serum calcium, phosphate, parathyroid hormone level were normalized within 24 hours.

  • PDF

Evaluation of absorbed dose in monkey and mouse using 18F-FDG PET and CT density information

  • Kim, Wook;Lee, Yong Jin;Park, Yong Sung;Cho, Doo-Wan;Lee, Hong-Soo;Han, Su-Cheol;Kang, Joo Hyun;Woo, Sang-Keun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8-24
    • /
    • 2017
  • Patient-specific image-based internal dosimetry involves using the patient's individual anatom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radioactivity over time to obtain an absorbed dose calculation. Individual absorbed dose was calculated by accumulated activity multiply S-value of each orga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alculate the S-values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in monkey and mouse and evaluation of absorbed dose in each organ. Self-irradiation S-value of monkey heart self-irradiation was 3.15E-03 mGy-g/MBq-s, lung self-irradiation was 8.94E-04 mGy-g/MBq-s and liver self-irradiation S-value was 2.23E-03 mGy-g/MBq-s. Mouse heart self-irradiation S-value was 1.95E-01 mGy-g/MBq-s, lung was 9.59E-02 mGy-g/MBq-s, and liver was 1.40E-03 mGy-g/MBq-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alculation protocol of image based individual absorbed dose of each organ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Therefore, this study may be applied to calculate human specific absorbed dose.

재발 유두 갑상선암의 부신전이 1예 (A Case of Recurrent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ith Adrenal Metastasis)

  • 김창우;윤지섭;이용상;남기현;정웅윤;홍순원;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0-53
    • /
    • 2007
  • Adrenal metastasis from papillary thyroid carcinoma is extremely rare. We present herein a patient with adrenal metastases from recurrent papillary carcinoma of the thyroid. A 54 year-old woman had received a total thyroidectomy and postoperative radioactive iodine therapy for locally advanc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 One year after initial surgery, distant metastases to multiple organs including right cervical lymph nodes, left upper lung, left 2nd and 3rd ribs, 2nd thoracic vertebra and left adrenal gland were found by 18-FDG-PET-CT whole body scan. She underwent right modified neck dissection, partial resection of left 2nd and 3rd ribs, posterior arch of 2nd thoracic vertebra, left upper lobectomy of lung, and left adrenalectomy. On histologic examination, metastases to the left adrenal gland and cervical lymph nodes were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while other metastatic sites turned out to be anaplastic thyroid carcinomas. Despite aggressive surgery and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her general clinical conditions were getting worse day by day due to regrowing of the anaplastic thyroid carcinoma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ed in Korea.

거대 흉벽 결손에 대한 확장 외복사근 근피판을 이용한 흉벽재건 치험례 (Experience of Reconstruction of an Extensive Chest Wall Defect with Extended External Oblique Musculocutaneous Flap)

  • 김대희;김정헌;송승용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3호
    • /
    • pp.277-280
    • /
    • 2010
  • Purpose: The resection of locally advanced or recurred breast cancers frequently result in large chest wall defects and it leads to a great challenges to cover. Generally simple skin grafts are not a practical option for patients because of their poor cosmetic appearance and prognosis. The latissimus dorsi and rectus abdominis musculocutaneous flap have traditionally been recommended for closure of these large defects. Though the cosmetic result of reconstruction using these flaps is often excellent, but has significant drawbacks. Therefore, we thought that chest wall reconstruction using the external oblique musculocutaneous flap can be an alternative method for extensive chest wall defect related to large, locally advanced breast carcinoma. Methods & Results: We present a case of a 50-year-old Korean female, refered to our department with a left breast tumor for 10 months. CT demonstrate a large tumor on the left anterior chest wall and multiple nodules of varying size in the cervical areas and liver. FDG-PET showed areas of hot uptake throughout the left chest wall, mediastinum and liver. Biopsy was consistent with invasive ductal carcinoma (Grade III). The initial tumor was considered inoperable, so a series of chemotherapy was initiated. Though the size of the breast mass was slightly decreased, the patient continued to suffer from purulent discharge, unpleasant odor and contact bleeding of the mass, the salvage mastectomy was performed. Conclusion: We could reconstruct $23{\times}16\;cm$ sized large chest wall defect, resulting from the resection of a locally advanced breast carcinoma, using an external oblique musculocutaneous flap successfully. Immediate postoperatively checked flap was healthy. Overall result was good without any significant complications and discharged 3 weeks after operation.

이하선에 생긴 침샘관암의 치험례 (A Case Report of Salivary Duct Carcinoma)

  • 박성욱;강상윤;김태헌;김정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5호
    • /
    • pp.607-610
    • /
    • 2008
  • Purpose: Salivary duct carcinoma(SDC) is uncommon but high grade adenocarcinoma arising in the ductal epithelium of salivary glands. SDC is characterized by distinctive clinical and pathologic features. The most important histologic aspect of this neoplasm is its resemblance to ductal carcinoma of the breast. Clinically SDC is defined by cervical lymph node involvement and distant metastasis with a high rate of recurrence and mortality. We described some of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of SDC and the management using case report for our patient. Methods: We present a case of a 40-year-old male with 2-year history of a swelling arising in his left preauricular region. There was a single painless, firm and solid $2{\times}1.5cm$ mass in the left parotid area. Facial nerve function was intact and no cervical lymph node were palpable. In August 2005, we found out $1.7{\times}1.8cm$ sized cystic, nodular lesions that were located in the superficial lobe of left parotid gland through Computed tomography. And then superficial parotidectom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were performed in Jan 2007. Results: Pathologically, the specimen were consisted of homogeneous, chondoid to myxoid type of tissues. It was yellow mass that has multiloculated cystic lesions. In postoperative PET(Positiron emission tomography) CT, there was no evidence of uptaking FDG(Fluorodeoxyglucose) into the deep layers of parotid gland and distant metastasis were not seen. Conclusion: Salivary duct carcinoma(SDC) is a rare but high grade adenocarcinoma related to pleomorphic adenocarcinoma. The prognosis of SDC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umor such as mucoepidermoid adenocarcinoma, adenoid duct carcinoma and acinar cell carcinoma. So we need to study more carefully for accurate diagnosis in early stage of diagnosis. Although radiotherapy has not yet proven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overall survival, the combination of parotidectom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can lead to more favorable results in treating of SDC.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작업화 및 작업복의 방사선 오염 분석 (Radiation Exposure of Hands and Feet from $^{18}F$-FDG in Radio-technologists)

  • 이승재;정석;서수현;박용성;박훈희;오신현;임한상;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5권2호
    • /
    • pp.94-98
    • /
    • 2011
  • 방사선 작업 종사자들의 손 및 작업화의 방사선 오염 정도를 분석하여 외부 방사선 오염과 피폭의 위험도를 예상해 보고, 방사선 작업 종사자들의 점차적인 수적 증가와 장기근무화 되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손 및 작업복으로 인한 방사선 오염 방지를 위한 대책을 강구 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2010년 8월 4일부터 2011년 1월 14일까지 세브란스병원 핵의학과 PET/CT 검사실에 근무하는 방사선사 6명의 손 및 작업화의 방사선 오염 선량을 8시(아침), 12시(점심), 16시(저녁)에 각각 측정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17을 이용하여 프리드만 검정, 양측꼬리검정, 윌콕슨 (표본비교) 검정을 실시하였다. 8시에 측정한 손과 작업화의 오염 선량은 다른 시간대의 선량과 비교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 특정한 경우, 측정된 선량값이 다른 시간대인 12시 16시의 선량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손에 대한 감마선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오염되기 전의 선량을 예상하였으나 작업화의 선량은 예상이 쉽지 않아서 시행되지 않았다.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수적 증가와 장기 근무화 현상을 고려할 때 작은 양의 방사능 오염도 피폭의 축적을 가져옴으로 개인 피폭, 오염 관리에 신경 써야 할 것이다. 비록 손과 작업화의 오염 선량이 관련된 권고안 보다 낮게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방사능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방사선사들은 방사능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다 방사능 피폭 관련 모니터링을 정기적,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등의 적절한 피폭 방지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 PDF

PET/CT 검사에서 매개변수 입력오류에 따른 표준섭취계수 평가 (The Evaluation of SUV Variations According to the Errors of Entering Parameters in the PET-CT Examinations)

  • 김지아;홍건철;이혁;최성욱
    • 핵의학기술
    • /
    • 제18권1호
    • /
    • pp.43-48
    • /
    • 2014
  • PET/CT검사에서 표준섭취계수(standardized uptake value, SUV)는 병소의 악성 여부를 판별하는 지표로서 인체내 각 장기의 생리적인 변화에 대한 정량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그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매개변수를 올바르게 입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 매개변수 중 방사능량, 체중, 방사성 동위원소 섭취시간의 입력오류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측정하여 수용 가능한 결과의 오차범위를 평가하고자 한다. 1994 NEMA 모형 내부에 열소, 테프론, 그리고 공기 3개의 삽입물을 위치시켰다. 총 27.3 MBq의 $^{18}F$를 열소와 배후 방사능 비율이 4:1로 되도록 채우고 GE Discovery STE 16(GE Healthcare, Milwaukee, USA)로 촬영하였다. 촬영 후 입력된 방사능량, 체중, 섭취 시간의 값을 기준 값에서 ${\pm}5%$, 10%, 15%, 30%, 50% 만큼 오차를 발생시킨 후 영상을 다시 재구성하였다. 재구성된 영상에서 각 삽입물 부위에 한 개, 배후방사능 부위에 총 네 개의 관심영역을 그린 후 $SUV_{mean}$과 백분율오차를 측정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기준 영상의 열소, 테프론 그리고 공기와 배후방사능에서의 $SUV_{mean}$은 각각 4.5, 0.02, 0.1 그리고 1.0이였다. 방사능량 오차 변화에 따른 $SUV_{mean}$의 최대값과 최소값은 열소에서 9.0, 3.0, 테프론에서 0.04, 0.01, 공기에서 0.3, 0.1, 배후 방사능에서 2.0, 0.6로 변화된 값을 보였다. 이 때 백분율오차는 모두 동일하게 최대 100%에서 최소 -33%로 나타났다. 체중 오차 변화의 경우 열소에서 2.2, 6.7, 테프론에서 0.01, 0.03, 공기에서 0.09. 0.28, 배후방사능에서 0.5, 1.5로 변화된 값을 보였다. 이 때 백분율오차는 테프론의 최소 -50%, 최대 52%를 제외하고 모두 최소 -50%에서 최대 50% 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섭취시간 오차의 경우 열소에서 3.8, 5.3, 테프론에서 0.01, 0.02, 공기에서 0.1, 0.2, 배후방사능에서 0.8에서 1.2로 변화된 값을 보였다. 백분율오차는 열소와 배후방사능은 최소 -14%에서 최대 17%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테프론의 경우 최소 -11%에서 최대 21%, 공기의 경우 최소 -12%에서 최대 20%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수용 가능한 오차의 범위를 5%로 설정할 경우, 본 실험 결과에서 방사능량과 체중의 오차가 ${\pm}5%$ 이내 일 때 $SUV_{mean}$의 오차가 5% 범위에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고려해 볼 때 검사장비에 입력되는 방사능량과 체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선량검량계와 체중계의 검교정은 오차범위 5% 이내로 이루어져야 한다. 섭취 시간의 경우 삽입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오차 범위를 보였으며 열소와 배후방사능에서 오차가 ${\pm}15%$ 이내일 때 $SUV_{mean}$에 5% 내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검사 시 촬영용 스캐너를 포함하여 두 개 이상의 시계를 사용할 경우 각각의 시간 오차들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PET/CT 검사에서 방사선 종사자 피폭선량 저감에 대한 방안 연구 (A Study to Decrease Exposure Dose for the Radiotechnologist in PET/CT)

  • 조석원;박훈희;김정열;반영각;임한상;오기백;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159-165
    • /
    • 2010
  • 방사선 분야는 건강검진의 증가와 방사선 장치의 발달로 진단에서 치료까지 그 업무의 범위가 확대 및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방사선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 관리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PET 검사에 이용되는 양전자 방출핵종은 511 keV의 감마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의 증가로 피폭선량 저감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환자에게로부터 일정거리 외부선량률을 측정하고 거리에 따른 선량률 변화를 확인하고 차폐를 이용하여 외부선량률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2009년 12월부터 2010년 1월까지 PET/CT 검사를 위해 내원한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Digital surveymeter를 이용하여 선량률을 측정하였다. 산란선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이동식 방사선 차폐체를 설치하고 왼쪽, 중앙, 오른쪽 부분의 100 cm, 150 cm, 200 cm에서 총 12회 선량률을 측정하였다. 환자 선량률 측정은 $^{18}F$-FDG 5.18 MBq/kg을 주사하고 1시간이 지난 후에 선량이 안정되었을 때 즉시 1회를 측정하였다. 이동식 방사선 차폐체를 설치하기 전에 머리, 가슴, 복부, 무릎, 발끝 쪽의 위치에서 10 cm, 50 cm, 100 cm, 150 cm, 200 cm 위치로 총 80포인트에서 측정하였고 이동형 방사선 차폐체를 설치한 후 머리와 가슴, 복부 부분에서 100 cm, 150 cm, 200 cm 거리의 선량률을 측정하여 외부선량률을 확인하였다. 산란선 측정에 대해서는 위치별로 거리에 따라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납 차폐를 하지 않았을 때와 차폐를 했을 때의 등선량곡선을 그렸으며 100 cm, 150 cm, 200 cm에 대하여 두 집단간에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SPSS ver. 12). 점 선원을 이용한 산란선 측정에서 100 cm, 150 cm, 200 cm에서는 p>0.05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선량률이 낮아졌으며 머리 부분이 가장 높은 선량률이 나타났고 발 부분으로 갈수록 선량률이 떨어졌다. 또한 차폐를 하였을 경우 차폐를 하지 않았을 때보다 선량률이 낮아졌으며 100 cm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150 cm, 200 cm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피폭을 줄이기 위해서는 방사선원에서 거리를 멀리하거나 적당한 차폐체를 이용하는 것이 피폭저감에 도움을 준다. 근무자의 동선을 파악하여 적당한 차폐체를 이용한다면 방사선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