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2

검색결과 23,738건 처리시간 0.05초

Electrowinning에 의한 $LiF-BeF_2-ZrF_4$ 용융염에서 Zr 금속 분리 (Separation of Zr metal from $LiF-BeF_2-ZrF_4$ Molten Salt by Electrowinning)

  • 우문식;유재형;권수한
    • 분석과학
    • /
    • 제13권6호
    • /
    • pp.759-765
    • /
    • 2000
  • 전해제련법을 이용하여 $LiF-BeF_2-ZrF_4$ (67-27-6 mol%) 용융염에서 Zr 금속 분리실험을 수행하였다. $LiF-BeF_2$ (72-28 mol%) 용융염과 $LiF-BeF_2-ZrF_4$ (67-27-6 mol%) 용융염의 분해 전압은 각각 -1.55, -1.35 volt로 측정되었고, Zr 분리실험 결과 인가전압 범위는 -1.4 -1.5 volt 사이가 적당하였다. 인가전류가 증가할수록 전착량은 증가하나 전류효율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ZrF_4$의 기화로 인하여 전착량과 전류효율이 감소하였다.

  • PDF

Genetic Evaluation of F1, F2 and F3 Crosses of Hariana with Friesian, Brown Swiss and Jersey

  • Dutt, Triveni;Bhushan, Bharat;Srivastava, B.B.;Bhat, P.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5호
    • /
    • pp.470-474
    • /
    • 1998
  • Data on the first lactation performance traits of $F_1$, $F_2$ and $F_3$ crosses covering the period from 1972 to 1995 of a total of 803 dairy cows of three genetic grades maintained at Livestock Production Research Farm, Indian Veterinary Research Institute, Izatnagar were analysed. Three genetic grades were 1/2 Friesian + 1/2 Hariana (FH), 1/2 Friesian + 1/4 Brown Swiss and 1/4 Hariana (FBH) and 1/2 Friesian+ 1/4 Jersey + 1/4 Hariana (FJH). Age at first calving increased by 7% and 8% in $F_2$ and $F_3$, respectively, over the $F_1$ in FH. The reduction in age at first calving at $F_2$ and $F_3$ levels by 2-7% over the $F_1$ was observed in FBH and FJH. The lactation milk yield of $F_1$, $F_2$ and $F_3$ crosses was $1,943{\pm}100.3$, $2202{\pm}120.5$ and $1,925{\pm}123.2kg$ in FH; $2,014{\pm}76.7$, $2,264{\pm}91.5$ and $2,096{\pm}123.9kg$ in FBH and $2,005{\pm}87.0$, $2,414{\pm}94.4$ and $2,093{\pm}121.1kg$ in FJH, respectively. The lactation milk yield improved by 12-20% in $F_2$ crosses in various genetic grades. The performance of $F_1$ was, however, maintained in FH $F_3$ crosses, it improved by 4% in FBH and FJH $F_3$ crosses. The lactation lengths and calving intervals were nearly the same for $F_1$, $F_2$ and $F_3$ crosses in FH while lactation lengths and calving intervals were reduced by 3-11% in $F_2$ and $F_3$ crosses in FBH and FJH genetic grades. The milk yield/day of lactation length and milk yield/day of calving interval increased by 16-35% in $F_2$ and 2-14% in $F_3$ over the $F_1$ in various genetic grades. It is recommended that a sufficiently large effective population size of these three genetic grades be maintained by inter se matings and rigorous selection of sires so for developing a genetic base population for new breed development.

ADDITIVE ρ-FUNCTIONAL INEQUALITIES

  • LEE, SUNG JIN;LEE, JUNG RYE;SEO, JEONG PIL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23권2호
    • /
    • pp.155-162
    • /
    • 2016
  • In this paper, we solve the additive ρ-functional inequalities (0.1)${\parallel}f(x+y)+f(x-y)-2f(x){\parallel}$ $\leq$ ${\parallel}{\rho}(2f(\frac{x+y}{2})+f(x-y)-2f(x)){\parallel}$, where ρ is a fixed complex number with |ρ| < 1, and (0.2) ${\parallel}2f(\frac{x+y}{2})+f(x-y)-2f(x)){\parallel}$ $\leq$ ${\parallel}{\rho}f(x+y)+f(x-y)-2f(x){\parallel}$, where ρ is a fixed complex number with |ρ| < 1. Furthermore, we prove the Hyers-Ulam stability of the additive ρ-functional inequalities (0.1) and (0.2) in complex Banach spaces.

ON EQUIVALENT NORMS TO BLOCH NORM IN ℂn

  • Choi, Ki Seong
    • 충청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5-334
    • /
    • 2006
  • For $f{\in}L^2(B,d{\nu})$, ${\parallel}f{\parallel}_{BMO}=\widetilde{{\mid}f{\mid}^2}(z)-{\mid}{\tilde{f}}(z){\mid}^2$. For f continuous on B, ${\parallel}f{\parallel}_{BO}=sup\{w(f)(z):z{\in}B\}$ where $w(f)(z)=sup\{{\mid}f(z)-f(w){\mid}:{\beta}(z,w){\leq}1\}$. In this paper, we will show that if $f{\in}BMO$, then ${\parallel}f{\parallel}_{BO}{\leq}M{\parallel}f{\parallel}_{BMO}$. We will also show that if $f{\in}BO$, then ${\parallel}f{\parallel}_{BMO}{\leq}M{\parallel}f{\parallel}_{BO}^2$. A homomorphic function $f:B{\rightarrow}{\mathbb{C}}$ is called a Bloch function ($f{\in}{\mathcal{B}}$) if ${\parallel}f{\parallel}_{\mathcal{B}}=sup_{z{\in}B}\;Qf(z)$<${\infty}$. In this paper, we will show that if $f{\in}{\mathcal{B}}$, then ${\parallel}f{\parallel}_{BO}{\leq}{\parallel}f{\parallel}_{\mathcal{B}}$. We will also show that if $f{\in}BMO$ and f is holomorphic, then ${\parallel}f{\parallel}_{\mathcal{B}}^2{\leq}M{\parallel}f{\parallel}_{BMO}$.

  • PDF

APPROXIMATELY QUINTIC MAPPINGS IN NON-ARCHIMEDEAN 2-NORMED SPACES BY FIXED POINT THEOREM

  • KIM, CHANG IL;JUNG, KAP HUN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3권3_4호
    • /
    • pp.435-445
    • /
    • 2015
  • In this paper, using the fixed point method, we investigate the generalized Hyers-Ulam stability of the system of quintic functional equation $f(x_1+x_2,y)+f(x_1-x_2,y)=2f(x_1,y)+2f(x_2,y)\;f(x,2_{y1}+y_2)+f(x,2_{y1}-y_2)=f(x,y_1-2_{y2})+f(x,y_1+y_2)\;-f(x,y_1-y_2)+15f(x,y_1)+6f(x,y_2)$ in non-Archimedean 2-Banach spaces.

수도원연품종간잡종에 있어서의 생육일수와 불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rowth duration and hybrid sterility in remote cross breeding of cultivated rice)

  • 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71
    • /
    • 1968
  • 수도원연품종간 교배육종에 있어서 지리적 생태품종 간의 잡종 초기 세대의 생육일수와 불임성의 변이에 관한 지견을 얻고자 대표적인 Indica와 Japonica 그리고 그중간형인 Beaumont 품종과 Ponlai등 7개 품종을 상호 교배하여 IRRI(북위 $14^{\circ}$17')에서 $F_1$ 을 10시간 및 14시간 조명하에서 $F_2$를 단일건계의 자연일장하에서 재배하고 수원(북위 $37^{\circ}$16')에서도 $F_1$을 10시간 및 자연일장하에, $F_2$$F_3$을 자연일장하에 각각 재배하고 출수일수 및 불임율을 조사 연구하였다. 1. 출수일수 : 1) $F_1$들은 10시간 단일하에서는 조생이 만생에 대해 우성 내지 초월성으로 나타났고 14시간 장일하에서는 우성 내지 불완전 우성으로 나타났는데 IRRI와 수원에서 모두 같았다. 2) IRRI에서 단일시기에 재배된 $F_2$는 조생이 만생에 대해 불완전우성이며 분리는 연속적이었다. 수원에서 조기재배된 $F_2$는 대부분의 조합에서 조생이 불완전우성이거나 중간성으로 적기 재배된 $F_2$는 대부분의 조합에서 만생이 불완전 우성이거나 중간성으로 나타났다. 3) 극단의 만생간의 조합에 있어서도 유효 출수 가능한 초월분리 개체가 있었다. 4) 기본영양생장성이 긴 품종들의 조합에서는 변이의 폭이 넓었고 신품종의 평균과 친계열평균 변이계수와에는 높은 상관이 있었다. 5) $F_1$이나 중간친으로 $F_2$집단의 평균 출수일수를 예측할수 있으며 $F_2$평균과 $F_3$계통 평균과에도 높은 상관이 있었으나 IRRI에서 재배된 $F_2$개체와 수원에서 재배된 $F_3$계통간의 상관은 없었다. 6) IRRI에서 재배된 $F_2$와 수원에서 재배된 $F_3$계통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조정된 heritability가 매우 낮아서 출수일수에 관한 선발의 효과는 단일감응성 품종에 대해서는 기대하기 어렵다. 7) $F_1$$F_2$의 평균 출수일수는 정역교배간에 차가 없거나 극소하였다. 8) 잡종의 단일감응성 측정치를 친계열별 평균과 이 평균으로 부터의 편차로 구분 계산하여 단일감응성에 기여하는 양친들의 효과에 따라 친품종을 감응성품종과 비감응성 품종을 구분 할 수 있었다. 9) 단일감응성은 $F_1$이 양친보다 높으며 $F_2$, $F_3$으로 세대가 진전함에 따라 낮아진다. 10) 온도차에 따른 $F_1$의 출수일수 반응은 양친품종보다 작으며 장일과 단일하에서의 온도반응의 차이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2. 불임율 : 1) IRRI에서도 수원에서도 다같이 $F_1$의 불임은 조합에 따라 차가 크며 친품종의 불임율과 상관이 없었다. 또 10시간 단일하에서는 14시간 장일하에서 보다 불임율이 높았다. 2) $F_1$에서 불임이 높았던 조합이 $F_2$에서도 높았으며 단일감응성이 높은 품종과 고온감응성이 높은 품종간의 조합에서 불임이 높았고 그 분산의 폭도 넓었다. 3) $F_2$ 평균은 $F_1$보다 낮으며 $F_3$계통들의 평균은 $F_2$평균보다 낮아 세대가 진전됨에 따라 불임율이 낮아지며 $F_3$에서는 조합간의 차가 현저하지 못하게 되었다. 4) $F_2$에 있어서는 화분불임과 종실불임간에 상관이 미약하였다. 5) $F_1$$F_2$평균의 불임율에는 정역교배간에 차가 없었다. 6) 잡종 불임을 잡종강세에서와 같이 Griffing의 방법에 따라 조합 능력 검정을 한 결과 SCA 효과는 GCA효과보다 컸는데 SCA효과가 특히 큰 것은 감광성이 높은 품종과 감온성이 높은 품종간의 조합들이였다. 7) IRRI에서 재배된 $F_2$와 수원에서 재배된 $F_3$과에는 불임에 관해 상관이 낮으며 $F_3$에서는 $F_2$에서보다 불임율이 낮아졌다. 8) $F_2$에 있어서 출수일수와 불임율과에는 상관이 거의 없었다.

  • PDF

ADDITIVE ρ-FUNCTIONAL EQUATIONS IN NON-ARCHIMEDEAN BANACH SPACE

  • Paokanta, Siriluk;Shim, Eon Hw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25권3호
    • /
    • pp.219-227
    • /
    • 2018
  • In this paper, we solve the additive ${\rho}$-functional equations $$(0.1)\;f(x+y)+f(x-y)-2f(x)={\rho}\left(2f\left({\frac{x+y}{2}}\right)+f(x-y)-2f(x)\right)$$, where ${\rho}$ is a fixed non-Archimedean number with ${\mid}{\rho}{\mid}$ < 1, and $$(0.2)\;2f\left({\frac{x+y}{2}}\right)+f(x-y)-2f(x)={\rho}(f(x+y)+f(x-y)-2f(x))$$, where ${\rho}$ is a fixed non-Archimedean number with ${\mid}{\rho}{\mid}$ < |2|. Furthermore, we prove the Hyers-Ulam stability of the additive ${\rho}$-functional equations (0.1) and (0.2) in non-Archimedean Banach spaces.

사냑형 간섭계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변압기유 내에서의 외부 음향 주파수 모니터링 (Applied Sound Frequency Monitoring in the Transformer Oil Using Fiber Optic Sagnac Interferometer)

  • 이종길;이승홍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88-294
    • /
    • 2015
  • 광섬유 사냑 간섭계는 음향 및 진동과 같은 물리적 변화량을 탐지하는 센서로 잘 개발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변압기유가 채워진 원통형 캐비티에 음압이 발생되었을 때 한 개의 루프내에 설치된 광섬유 배열 센서를 이용하여 음향을 탐지하였다. 서로 다른 외부 음향 주파수 $f_1$$f_2$를 피에조 재료를 이용하여 발생시키고 주파수는 5 kHz에서 90 kHz까지로 선정하였다. 실험 결과 광섬유 센서는 하모닉 성분인 $f_1$, $f_2$, $2f_1$, $2f_2$, ${\mid}f_1-f_2{\mid}$, ${\mid}f_1+f_2{\mid}$의 주파수를 탐지하였다. 제안된 광섬유 센서 배열은 변압기 내의 부분 방전으로 인한 음압과 진동과 같은 물리량을 모니터링 하는데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