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ye-tracking

검색결과 447건 처리시간 0.033초

HCI를 위한 시선추적 시스템에서 분해능의 추정기법 (Resolution Estimation Technique in Gaze Tracking System for HCI)

  • 김기봉;최현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0-27
    • /
    • 2021
  • 시선추적은 NUI 기술 중의 하나로 사용자가 응시하는 곳을 추적을 통해 알아낸다. 이 기술은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GUI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의 시선 분석도 가능하게 하여 상업 광고 등에 응용될 수 있도록 한다. 시선추적 시스템은 영상의 품질과 사용자 움직임의 자유도에 따라 허용범위가 달라진다. 따라서 시선추적의 정밀도를 미리 추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시선추적의 정확도는 하드웨어적인 변수 외에도 시선추적 알고리즘을 어떻게 구현하느냐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영상에서 동공 중심의 가능한 최대 이동 거리의 추정으로 동공 중심이 한 픽셀 움직일 때 시선은 몇 도가 바뀌는지 즉, 이론적 최대 분해능이 얼마인지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환경변화에 강인한 눈 영역 분리 및 안구 추적에 관한 연구 (Robust Eye Region Discrimination and Eye Track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 김병균;이왕헌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171-1176
    • /
    • 2014
  • 안구 추적은 눈동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안구의 운동 상태나 시선의 위치를 추적하는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HCI)분야이다. 안구 추적은 사용자의 시선 추적을 이용한 마케팅 분석이나 의도 인식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적용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안구 추적을 수행하는 방법 중에 영상처리를 이용한 안구 추적 방법이 사용자에게는 편리하지만 조명의 변화와 스케일 변화 그리고 회전이나 가려짐에는 추적의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기반의 안구 추적시 발생되는 조명, 회전, 스케일 변화 등 환경변화에도 강인하게 안구 추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두 단계의 추적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Haar분류기를 이용하여 얼굴과 안구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안구 영역으로부터 CAMShift과 템플릿 매칭을 이용하여 강인하게 안구를 추적하는 두 단계의 안구 추적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조명 변화, 회전, 스케일 등 변화하는 환경 조건하에서 실험을 통하여 강인성을 증명하였다.

바지 맞음새 평가 시 전문가와 초보자의 시선추적 및 맞음새 평가 항목의 중요도 비교분석 - Eye Tracking 기법을 이용하여 - (Comparison of Eye Movement and Fit Rating Criteria in Judging Pants Fit Between Experts and Novices - Using Eye Tracking Technology -)

  • 김영숙;송화경;장효웅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30-239
    • /
    • 2017
  • In the clothes industry, there are lack of experts including technical designers who can analyze the fit of clothes.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data available for fit analysis education by distinguishing the differences in standards and aspects of garment fit between experts and novices, through the eye-tracking technology to quantify the sense of fit. For this study, two groups were organized; one composed of 7 experts with over 15 year-experience including technical designers and patternmakers, and the other composed of 7 novices who are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Wearing the goggle type eye-tracker Tobii Pro Glasses 2,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s were required to conduct fit analyses for a pair of pants on a live model. After those experiments, they were required to check the items for fit analysis and assess the importance level of them on a questionnai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ratios of total visit count and total visit duration by each AIO(Area of Interest) of clothes were analyzed through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 The results of eye tracking experiments showed that experts focused on center front and back line, crotch area, and side seam, while novice's fixation points were dispersed around the pant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ts put importance on the center line position and its verticality, front-back proportion of side seam line, and front-back proportion of waist line, 71.4~100% of whom checked them, while 14.3% of the novices checked them.

상황 인식 기반 다중 영역 분류기 비접촉 인터페이스기술 개발 (Technology Development for Non-Contact Interface of Multi-Region Classifier based on Context-Aware)

  • 김송국;이필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75-182
    • /
    • 2020
  • 비접촉식 시선추적 기술은 인간과 컴퓨터간의 인터페이스로서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핸즈프리 통신을 제공하며,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비접촉시스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간 중심의 상호 작용을 위한 상황인식 다중영역 분류기 및 ASSL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을 개발한다. 이전의 AdaBoost 알고리즘은 안구 특징 사이의 공간적 맥락 관계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눈의 커서 포인팅 추정을 위한 안면 추적에서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성능을 제공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비접촉식 시선 추적 및 마우스 구현을 위한 눈 영역의 상황기반 AdaBoost 다중 영역 분류기를 제시한다. 제안된 방식은 여러 시선 기능을 감지, 추적 및 집계하여 시선을 평가하고 온 스크린 커서 기반의 능동 및 반 감독 학습을 조정한다. 이는 눈 위치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눈 특징을 감지하고 추적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을 따라 컴퓨터 커서를 제어하며 칼만 필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추적하며, 가우시안 모델링을 적용함으로써 후처리하였다. Fits law에 의해 실험하였으며, 랜덤하게 대상객체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시선추적성능을 분석하였다. 제안하는 상황인식을 기반 인식기를 통하여 비접촉 인터페이스로서의 활용이 높아질 것이다.

FOV Restrictor를 활용한 가상 멀미 저감 요소 기술연구 (Research on Virtual Simulator Sickness Using Field of View Restrictor According to Human Factor levels)

  • 김창섭;김소연;김광욱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49-59
    • /
    • 2018
  • 가상 멀미는 가상 현실의 대표적 부작용 중 하나로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Field of view (FOV)는 그 중 대표적인 요소 중 하나로, FOV가 줄어들면 가상 멀미는 줄일 수 있으나 임장감 또한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임장감을 유지하면서 가상 멀미를 줄이기 위해 Dynamic FOV Restrictor (Center-fixed FOV Restrictor)가 제안되었으며, 아바타의 속도와 각속도를 반영하여 동적으로 FOV를 제한하였다. 본 연구 그룹에서는 여기에 머리의 회전과 눈의 움직임을 더하여 Eye-tracking Based Dynamic FOV Restrictor (Eye-tracking FOV Restrictor)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FOV Restrictor가 없는 조건과, Center-fixed FOV Restrictor조건, Eye-tracking FOV Restrictor조건의 가상 멀미와 임장감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Center-fixed FOV Restrictor조건의 가상 멀미가 다른 두 조건의 가상 멀미 보다 낮은 것을 확인하였고, 세 조건에서 영장감에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가상 멀미 저감 요소 기술에 대한 해석과 한계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 논의하였다.

웨어러블향(向) 시선추적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ye Tracking Techniques using Wearable Devices)

  • 장재혁;정지우;박정훈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3호
    • /
    • pp.19-29
    • /
    • 2023
  • 시선추적 기술은 사회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추적 기술의 정확성과 편리성 면에서 좋은 성능을 발휘하고 있다. 이는 터치를 하지 않고도 인터페이스(Interface)가 가능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고 할 수 있다. 이 기술은 루게릭 환자와 같이 신체의 한 부분, 한 부분이 서서히 마비되어 최종적으로는 눈을 움직일 수밖에 없는 상황의 환자에게 새로운 의사소통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전의 루게릭 환자는 이 상황에 처하게 되면 가족 간의 의사소통은 물론, 죽음을 기다리는 것 외의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를 수밖에 없었으나, 어렵지만 새로운 의사소통 방법인 눈을 이용한 인터페이스가 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현재로서도 시중에서는 시선추적 시스템과 전용 장비가 존재하나, 누워있는 이들에게는 사용법이 어렵거나, 개당 1200만원 이상의 높은 가격 등으로 인해 접근하기에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수의 약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형태의 시선추적 장치를 제안하고 사회 전반의 미래 기술 성장 가능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선추적 방법을 연구하여, 결론적으로 저사양/고성능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시선추적 시스템을 설계하고 발전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트래킹 Gaze와 실시간 Eye (Real Time Eye and Gaze Tracking)

  • 조현섭;민진경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4-239
    • /
    • 2004
  • This paper describes preliminary results we have obtained in developing a computer vision system based on active IR illumination for real time gaze tracking for interactive graphic display. Unlike most of the existing gaze tracking techniques, which often require assuming a static head to work well and require a cumbersome calibration process fur each person, our gaze tracker can perform robust and accurate gaze estimation without calibration and under rather significant head movement. This is made possible by a new gaze calibration procedure that identifies the mapping from pupil parameters to screen coordinates using the Generalized Regression Neural Networks (GRNN). With GRNN, the mapping does not have to be an analytical function and head movement is explicitly accounted for by the gaze mapping function. Furthermore, the mapping function can generalize to other individuals not used in the training. The effectiveness of our gaze tracker is demonstrated by preliminary experiments that involve gaze-contingent interactive graphic display.

  • PDF

패션 모델 유형 변화에 따른 디자인 인지 차이에 관한 연구 - 시선추적을 활용한 탐색적 분석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Cognition of Design Associated with Changes in Fashion Model Type - Exploratory Analysis Using Eye Tracking -)

  • 이신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7-176
    • /
    • 2018
  • In this study, an eye-tracking program that can confirm a design cognition process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strategic methods to create fashion images, and the program was used to identify what effects fashion models' external characteristics have on the cognition of design. The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an eyemovement tracking experiment and a survey, with the focus on the research problem that differences in models' external uniformity will lead to differences in the eye movement for perceiving models and design as well as the image sensibil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uniformity of model types and the simplicity/complexity of design led to differences in the eye movement directed at design and models and the gaze ratio. Consequently, it is deemed that models should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and the intention of planning when creating fashion images. Second, it was found that in terms of the cognition of design, external conditions of models affect design sensibility. A change in models led to a subtle difference in sensibility cognition even when the design condition did not change. Thus, not only the design but also model attributes are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fashion planning.

Eye Tracking Research on Cinemagraph e-Magazine

  • Park, Ji Seob;Bae, Jin Hwa;Cho, Kwang Su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7권2호
    • /
    • pp.1-11
    • /
    • 2015
  • This study has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groups based on Time To First Fixation, Fixation Duration, Fixation Count and Total Visit Duration, which are eye-tracking analysis indicators on what visual attention is shown compared to the e-magazine produced as regular images related to e-magazines in which experiment subjects have applied cinemagraph images as eye tracking research on the e-magazine produced with cinemagraph images and e-magazines produced with regular images. The experiment sample used e-magazines composed of nine pages while AOI (area of interest) has been set up on each page by classifying image and text regions. A combined 30 people took part in the experiment, which was performed by randomly assigning 15 to the experiment group and 15 to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experiment group recorded a shorter time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e-magazine produced with cinemagraph images through Time To First Fixation. 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in Fixation Duration, a substantial difference did appear between Fixation Duration and Total Visit Duration.

다양한 조명하에서 실시간 눈 검출 및 추적 (Real-Time Eye Detection and Tracking Under Various Light Conditions)

  • 박호식;배철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456-46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조명하에서 실시간으로 눈을 검출하고 추적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능동적 적외선을 이용한 눈 검출 및 추적 방법은 외부의 조명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조명을 이용한 밝은 동공 효과와 전형적인 외형을 기반으로 한 사물 인식 기술을 결합하여 외부 조명의 간섭으로 밝은 동공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도 견실하게 눈을 검출하고 추적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눈 검출과 추적을 위해 SVM과 평균 이동 추적방법을 사용하였고, 적외선 조명과 카메라를 포함한 영상 획득 장치를 구성하여 제안된 방법이 효율적으로 다양한 조명하에서 눈 검출과 추적을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