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ye Contact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31초

유발 부등상시에서 영향인자에 따른 입체시의 비교 (Comparison of Stereopsis by Influence Factors in Induced Aniseikonia)

  • 정수아;김현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65-471
    • /
    • 2013
  • 목적: 정시안에 유발된 부등상시에서 영향인자들이 입체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 및 전신질환이 없고, 원용 완전교정 굴절력이 등가구면 굴절력 ${\pm}0.50$ D 이내이며, 교정시력이 1.0 이상, AWAYA 부등상시도 1% 이하의 대학생 20명(평균연령 $22.50{\pm}2.72$세, 남자 14명, 여자 6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우위안을 원형구멍카드법(Hole in card method)으로 확인한 후, 우위안 또는 비우위안에 각각 -7.00 D ~ +7.00 D의 콘택트렌즈를 착용시켜 굴절부등시를 유발하고 이를 교정하는 안경을 착용하여 부등상시를 유발한 후 Random Dot Stereo Acuity Test with LEA symbols$^{(R)}$(Vision Assessment Corporation$^{TM}$, USA)를 이용하여 입체시를 측정하였다. 결과: 우위안에 부등상시를 유발한 경우, 굴절부등시 유발을 위한 착용 콘택트렌즈 굴절력이 큰 경우, (+) 콘택트렌즈 착용 후 (-) 안경렌즈로 교정한 경우, 남자인 경우에서 부등상시 유발에 따른 입체시의 저하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결론: 부등상시는 입체시의 저하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굴절부등시 교정 시에는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대학생에게 유도된 소프트 콘택트렌즈 모노비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novision of Fitting soft contact lenses for College students)

  • 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81-188
    • /
    • 2004
  • 모노비전은 한눈은 원용 시력을 위해 다른 눈은 근용시력을 위해 양안에 콘택트렌즈를 교정한 형태를 말한다. 단초점 콘택트렌즈가 각 눈에 이용되는데 환자는 다른 눈을 사용하는 동안 한 눈을 선택적으로 억제한다. 본 연구는 젊은 학생에게 +3.00D 가입시켜 인위적으로 유도된 모노비전의 양안시 기능과 환자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14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우위안 검사를 하여 비우위안에 +3.00D를 가입하여 원용 교정안경을 양안에 장용시켰다. 모노비전의 양안시 기능을 조사하기 위해 입체시 검사를 포함하여 장애물 코스, 물부어 담기, 던지기와 받기, 구슬 분류하기를 시행하여 정상 양안시 상태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입체시는 현저하게 저하되었지만 장애물 코스, 물부어 담기, 던지기와 받기, 구슬 분류하기 등 양안시 기능에 대한 결과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콘택트렌즈 모노비전은 환자 선택과 임상적 지식을 활용하여 처방하면 노안 교정을 위한 효과적이고 권장할 만한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법을 응용하여 학생들의 모노비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실습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z NANOsence II RGP 콘택트렌즈의 시력과 각막에 미치는 임상적 연구 (The Clinical Study on the Visual Acuity and Cornea of ez-NANOsence II RGP Contact Lens)

  • 김덕훈;배한용;한명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5-69
    • /
    • 2007
  • 본 연구는 ez NANOsence II RGP 콘택트렌즈를 사용하여 굴절이상 눈의 피검자에 대한 시력과 각막에 미치는 임상적 검증을 하였다. 피검자는 성인 121명(남성 29인, 여성 92명; 연령은 17세와 43세 사이, 평균 22.86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피검자는 콘택트렌즈 착용 전의 증상을 포함하는 문진을 실시하였고, 또한 콘택트렌즈 착용전후의 눈에 대한 자각과 타각증상 변화도 검진하였다. 시력측정은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여 원거리에서 실시하였고, 굴절검사는 타각적 방법(Topcon KR-8100, Japan)으로 나안 상태에서 실시하였다. 입체시 검사는 Titmus fly(Stereo Optical Co., U.S.A)와 TNO(Tech, The Netherlands)로서 콘택트렌즈 착용 후 근거리에서 시행하였고, 대비감도 진단은 콘택트렌즈 착용 후 대비감도 챠드(pelli-Robertson, USA)로 1m 거리에서 실시하였다. 각막 지형도검사는 콘택트렌즈 착용 후 나안상태에서 ORB scan(Bausch Lomb, U.S.A.)을 사용하였다. 콘택트렌즈의 표면미세구조는 SEM(JSM-5800, Japan)을 이용해서 관찰하였고, 콘택트렌즈의 화학 성분은 EDS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렌즈의 착용 기간이 길수록 피검자는 대게 개선된 시각기능을 획득했다. 2. 렌즈 착용에 따른 눈의 부작용은 거의 없었다. 3. 피검자의 렌즈 사용은 잘하고 있다. 4. 렌즈 착용기간이 길수록 각막의 굴절 값은 약간 감소하고, 곡률반경은 약간 증가하며, 각막난시는 감소(P<0.01)하고, 각막의 중앙부 두께도 감소하였다. 5. 렌즈 사용 기간이 길수록, 입체시와 대비감도는 더욱 정상 값을 가졌다. 6. 각막지형도 분석에서 대부분 피검자들은 착용기간의 차이에도 비슷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7. 새로운 렌즈와 사용한 콘택트렌즈의 표면미세구조는 미세 형태에서 비슷한 상태이다. 8. 새로운 렌즈와 사용된 콘택트렌즈의 화학적 구성 성분은 거의 같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새로운 것과 사용된 콘택트렌즈의 표면 미세구조와 화학적 구성성분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렌즈의 장기 착용에도 피검자의 시기능은 개선되고, 눈의 부작용은 적게 나타났으며, 각막난시 값은 감소되었다. 본 검사는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시각기능은 콘택트렌즈의 성분과 미세구조가 시각 기능에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ez NANOsence II RGP 콘택트렌즈는 굴절 이상 눈의 교정시력에 좋은 효과가 있다고 추측된다.

  • PDF

컬러와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시점 일치 영상 생성 기법 (Generation of an eye-contacted view using color and depth cameras)

  • 현지호;한재영;원종필;유지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642-1652
    • /
    • 2012
  • 일반적인 화상회의 시스템에서는 카메라의 위치가 모니터 중앙에 위치하여 있지 않기 때문에 화자간의 시점 불일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대화 시 현장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컬러 카메라와 깊이 카메라(depth camera)를 이용하여 획득한 컬러 영상과 깊이 정보를 가지고 DIBR(Depth image based rendering) 기반의 시점 일치(eye-contacted) 영상을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생성된 시점 일치 영상에서 발생하는 홀(hole)을 인접 화소 값의 산술평균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채울 수 있는 홀 채움 기법과 객체 경계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깊이 정보에서 획득된 객체의 경계를 확장하여 보정하는 기법이 포함되어 있다. 제안하는 기법으로 생성된 시점 일치 영상은 매우 좋은 화질을 갖는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보였다.

여대생의 렌즈 착용과 관리 행위에 따른 눈의 불편감 조사 (An Investigation of Eye Inconvenience due to the Wearing and Management of Len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장현정;전혜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83-190
    • /
    • 2020
  • 본 연구는 렌즈 착용과 관리 행위를 조사하고 관리방법에 따른 눈의 불편감 간 관련성을 탐색한 상관성 조사연구설계로 1년이상 렌즈를 착용한 여대생 209명의 자료를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여대생들은 40.2%가 매일 렌즈를 착용하고 97.1%가 하루일과 시간 내내 착용한 반면, 매일 세척하는 경우는 45.4%로 나타났고, 단백질 제거 제품등을 세척시 사용하는 경우는 17.7%로 개인적인 관리행위는 미흡했다. 98.1%의 학생들은 렌즈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였고, 안구건조증 증상 자가진단으로 활용되는 안구표면지수(OSDI) 결과, 대상자들은 42.88±15.25점으로 중증의 건상안으로 분류되며, 눈의 건강을 위협받고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렌즈관리에 대한 인식개선과 정확하게 관리하는지에 대한 주기적인 렌즈 점검 및 관리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연성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실태와 부작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using practice of contact lens and side effects)

  • 강향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9-73
    • /
    • 2002
  • 연성콘택트렌즈 착용자 남, 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연령별은 남자 21~23세 43%, 여자 21~23세 58%로 나타났으며 콘택트렌즈 착용기간은 남자 3년이 51%, 여자 3년이 45%로 분포되었고 일일착용시간은 남자 8시간 50%, 여자는 10시간 이상이 52%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 착용 후 각막에 나타나는 안증상으로는 남자는 충혈이 39%, 여자는 건조감이 72%로 서로 다른 증상이 나타났다.

  • PDF

남자대학생들의 각막 형태 연구 (The morphological study of Cornea in Man College Students)

  • 김덕훈;유재태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9-93
    • /
    • 2002
  • 각막의 생리와 형태는 안 굴절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케라토메터에 의한 전방 각막 표면의 측정은 안경사, 검안사 그리고 안과의사에 의해 안경과 콘택트렌즈의 처방에 사용된다. 더욱이 현재 대게 각막 지도 체제는 임상 안경원, 안굴절 센타, 그리고 안과병원에서 사용되어진다. 왜냐하면 이 방법은 이전 도구에 비해서 매우 좋은 자료를 가진다. 저자들은 각막 지도 방법에 의해 남자 대학생들의 각막을 측정하였다. 더욱이 이 자료들은 콘택트렌즈를 위한 임상 실제에서 응용되어질 것이다. 특히 한국에서 많은 남자 대학생들은 시력과 미용을 위해 콘택트렌즈 사용을 한다. 따라서 콘택트렌즈 착용자들은 매년 증가되고 있다.

  • PDF

콘택트렌즈와 안경 착용자의 대비감도 비교 (Comparison of Contrast Sensitivity Between Soft Contact Lens Wearers and Spectacle Wearers)

  • 김재민;이민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19-125
    • /
    • 2007
  •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 착용자와 안경 장용자 그리고 정시안의 대비감도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조사 대상은 만 19-26세로 근시 70안과 정시 30안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근시안 그룹은 안경장용자 48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 22안으로 모두 교정시력이 1.0 이상인 안구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공간 대비감도는 EyeView$^{(R)}$ Functional Vision Analysis software가 포함된 Optec 6500 Vision Tester$^{(R)}$ (Stereo Optical. USA)을 이용하여 Photopic (85cd)과 mesopic (3cd) 상태에서 대비 감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안경장용자는 정시안과 비교하여 모든 조건에서 대비감도에서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는 정시안에 비해 1.5와 12cpd에서 통계적으로 낮은 대비감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대비감도가 낮게 나온 것은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각막 병리로 진행하기 전단계에서 나타나는 각막 문제의 증거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대비감도 검사는 소프트렌즈 콘택트렌즈 평가하는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정상안과 건성안에서 소프트렌즈 피팅 상태에 따른 비침입성 눈물막 파괴 시간의 차이 (The Difference of Tear Break-Up Time by the Fitting States of Soft Contact Lens in Normal and Dry Eyes)

  • 정다이;이흠숙;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39-346
    • /
    • 2010
  • 목적: 정상안과 건성안에 소프트렌즈를 각각 얼라인먼트(alignment) 피팅 또는 스팁(steep) 피팅하였을 때 비침입성 눈물막 파괴 시간(non-invasive tear break-up time, NIBUT)에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성안 검사방법에 따라 정상안군과 건성안군으로 분류된 20~30대 남녀 40안에 polymacon 재질의 소프트렌즈를 얼라인먼트 피팅 혹은 스팁 피팅으로 착용시킨 후 렌즈 착용 전, 착용 직후 및 눈물층이 안정화 되었을 때의 NIBUT를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 얼라인먼트 피팅시 눈물층이 안정화되었을 때는 건성안군의 평균 NIBUT가 정상안군의 값과 차이가 없었으나, 렌즈를 착용한 직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팁한 피팅을 한 경우에 는 렌즈 착용 직후 건성안에서의 평균 NIBUT가 정상안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스팁 피팅하였을 때는 건성안의 65%가 4초 이하의 NIBUT을 나타내어 얼라인먼트 피팅하였을 때보다 30% 가량 그 수가 증가하였다. 건성안에 스팁 피팅을 하였을 때에는 눈물층이 안정화된 후에도 NIBUT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건성안의 경우 소프트렌즈의 착용시 눈물막과의 상호관계가 정상안과는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건성안에 콘택트렌즈를 피팅할 때에는 렌즈 착용으로 인하여 야기되어질 수 있는 불안정한 눈물막 상태가 충분히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장애물 높이에 따른 보행의 운동형상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 (The Kinematic Patterns of Walking according to Obstacle's Height)

  • 정형국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5-63
    • /
    • 2008
  • Background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difference between free walking and obstacle over walking through the naked eye and motion analysis device, and to review merits of obstacle walking training as item of functional assessment in clinical situations. Methods : All participants were male and performed 3 types of walking methods: free walking, obstacle over walking with low block(height=10cm, width=8cm), and obstacle over walking with high block(height=20cm, width=8cm). All walking were performed 3 trials respectively. Results : In the naked eye, initial contact with toes occurred more than heel strike in obstacle over walking, and the flexion angle of hip and knee were increased in obstacle over walking. On interpretations though motion analysis device, cadence, gait speed and weight accept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p<.05). Cadence and gait speed were decreased, and weight accept duration was increased in obstacle over walking. Rotation among three pelvic motions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p<.05), flexion among three hip motions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p<.05) and flexion among three ankle motions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p<.05). Rotation and flexion among three ankle motions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p<.05). Conclusion : Both the naked eye and interpretations of the device presented many difference between free walking and obstacle over walking. In overcrossing obstacles, many participants appeared walking strategy by perform initial contact with toes. Knee flexion was most significant statistically(p<.05) in obstacle over walking with 20cm bloc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