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uding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7초

알파형 반수석고를 혼입한 시멘트 압출 패널의 내화특성 (Fire-Resistance Property of Cement Extruding Panel Mixed with Alpha-Hemihydrate Gypsum)

  • 최덕진;이민재;신상철;김기석;김진만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9-110
    • /
    • 2011
  • Gypsum is an important building material used to provide fire resistance to constructions by reducing their temperature rises. As the hardened gypsum is exposed to fire, evaporation of both the free water and the chemical bond water is easier than that in the cement extruding pan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tilizability of alpha-hemihydrate gypsum to prevent spalling failure of cement extruding panel exposed to fire. This paper reports the fire-resistance property of a controled general cement extruding panel(C100), and gypsum-cement extruding panels(C50A50, A100) according to replacement ratio of alpha-hemihydrate gypsum. As a results, it is found that A100 and C50A50 are more effective to prevent the explosive spalling failure under standard fire condition than C100.

  • PDF

마이크로 드릴링을 이용한 미세압출다이 가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chining of micro-extruding die using micro-drilling)

  • 민승기;제태진;이응숙;이동주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1-166
    • /
    • 2003
  • The micro-extruding die is a die for manufacturing of fine-wire by extruding process. The fine-wire made from the micro-extruding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fields of semiconductor parts and medical parts etc. It is predicted that the demand of fine-wire in industry is more and more increasing. In this study $\phi50\mu m$ micro-drill which is coated with diamond is used for drilling of super micro-hole sizes. For the machining of taper parts of entrance and exit, drill having $\phi50\mu\textrm{mm}$ inclination angle $20^{\circ}$and angle $30^{\circ}$ is used. This is useful for anti tool-breakage and excessive too-wear in drilling process. After micro-drilling, the polishing process by diamond abrasive and polishing wood s carried out for increasing surface roughness.

  • PDF

극세선용 압출다이의 미세구멍 가공기술 연구 (A study on the micro-hole machining for micro-extruding die)

  • 민승기;제태진;이응숙;이동주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2-205
    • /
    • 2002
  • The micro-extruding die is a die for manufacturing of fine-wire by extruding process. The fine-wire made from the micro-extruding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fields of semiconductor parts and medical parts etc. It is predicted that the demand of fine-wire in industry is more and more increasing. In this study $\Phi$ 50${\mu}{\textrm}{m}$ micro-drill which is coated with diamond is used for drilling of super micro-hole sues. For the machining of taper parts of entrance and exit, drill having $\Phi$ 9mm inclination angle 20$^{\circ}$ is used. This is useful for anti tool-breakage in drilling process. After micro-drilling, the polishing process by abrasive is carried out for increasing surface roughness.

  • PDF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사용한 압출경화체의 미시구조 특성 (Microstructure Properties of Cement Extruding Solid using Waste Concrete Powder)

  • 유재성;김진만;선정수;최홍범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5-56
    • /
    • 2016
  • In the recent concrete industry, when producing recycled aggregates, waste concrete powder is by-produced in large quantities; however, since it is not used properly but buried or discarded. This study is to apply the waste concrete powder to a cement extruding panel as filler. Flexural strength and microstructure characteristics of panel is tested in order to improve the economics of the extruding panel. As a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extruding panel replacing silica(No.8) as the waste concrete powder totally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strength and satisfied the target flexural strength of 14MPa, comparing with controlled panel. In addition, we can understand that rich Portlandite and Calcite contributed to develop the strength in all curing conditions from XRD pattern.

  • PDF

압출공정에 있어서 최적압출력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um Computation of Extruding Force for the Extrusion)

  • 오박균;유성관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2년도 제5회 압출 및 인발가공 심포지엄
    • /
    • pp.7-14
    • /
    • 2002
  • To carry out the analysis of the extruding products, it is necessary to get the optimum computation of extruding force for the extrusion. The existing numerical models of the extrusion may be large different from the actual conditions. In this study, accurat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extrusion forming and optimum extruding force should be subjected. It is to develop the numerical models which describes the optimum extrusion force. Therefore, the results should improve accuracy of extrusion forming and cause the energy saving for the extrusion.

  • PDF

폐 콘크리트 미분을 혼입한 시멘트 압출성형 패널의 열적특성 (Thermal Properties of the Cement Extruding Panel with Waste concrete Powder)

  • 최덕진;홍성록;이민재;김장엽;김진만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83-286
    • /
    • 2012
  • According to increase of the waste concrete occurrence, recycling has being important more and more. This study is to recycle the waste concrete powder, which is occurred in dry-process during recycling of construction waste. We have tried the waste concrete powder to apply as the replacement of the silica powder in cement extruding product. As a result, it is satisfied that the autoclave cured pannel of 50% replacement ratio of waste concrete powder staisty the level of the flexural strength of 14MPa stipulated by "KS F 4735 Extruding concrete panel" was the same thermal properties as base specimen.

  • PDF

재고미의 가공처리에 따른 in vitro, in situ 소화율 및 발효성상 평가 (Nutritional Evaluation of Rice with Different Processing Treatments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situ Degradation)

  • 양성재;정은상;김한빈;신택순;조병욱;조성근;김병우;서자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81-29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재고미의 사료가치 평가를 위해 무처리(Control)를 비롯한 Extruding, Roasting, Steam 처리구들의 영양소 성분분석, in vitro 소화율, in situ 소화율을 분석하였다. In vitro 실험에서 Extruding은 건물 소화율과 gas 발생량이 타 처리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가장 낮은 pH를 보였으며, 특히 배양 시간 초기에 소화가 신속히 발생하였다. $NH_3-N$ 함량은 배양 6 h 이후에서 Control이 Extruding, Roasting, Steam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고, 이는 가열처리된 단백질의 반추위 미생물의 이용성 저하에 따른 결과로 보이나, 더 정확한 결과를 위해 건물 소화율 분석뿐 아니라 CP 소화율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VFA 발생량에서는 Extruding이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배양 6, 12 h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Extruding 처리구의 분해가 배양 초기에 주로 이어져 발생한 결과로 추정된다. 전분을 발효시키는 박테리아에 의해 높은 비율로 생산되는 propionate 증가 폭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In situ 소화율은 in vitro의 소화율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나, 이는 실험 방법에 대한 오차로 여겨질 수 있으며, ED(유효분해율)를 통해 in vitro 시험과 소화율의 경향성이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상대적으로 적합한 사료가공 처리방법은 무처리, Roasting 및 Steaming인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무처리(control)의 경우 가공처리에 따른 추가비용 발생이 없으므로 경제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고미가 TMR의 원료로 이용될 수 있다면 국내에서 자급 가능한 사료원료로써 우수한 경제성을 지닐 수 있을 것이다.

대두박의 엑스트루더 처리가 무지개송어의 소화흡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uding Process of Soybean Meal on the Dietary Digestibility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정관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7
    • /
    • 1992
  • 어분의 대체원료로써 대두당의 유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료용 대두정 (H-SBM)과 식품용 미처리 대두당(R-SBM)을 Ex 처리하여, 무지개송어에 있어서 사료중 대두박의 단백질 및 탄수화물의 소화율을 측정하였으며, 트립신 저해 인자 (TI)의 활성과 단백질 소화율과의 관계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H-SBM 및 R-SBM 모두 Ex 처리함으로써 단백질의 소화율이 $95{\%}$까지 개선되었다. 한편, R-SBM의 탄수화물의 소화율은 Ex 처리에 의해 향상되었으나, H-SBM는 개선되지 않았다. 또 Ex 처리에 의해 대두박중의 TI 활성은 대두분 소실되었으며, R-SBM에는 TI의 소실화에 의해 단백질의 소화율이 향상되었으나, 이것이 Ex 처리에 의한 TI의 활성의 소실에 의한 것인지는 본 실험 조건 하에서는 명백히 할 수 없었으며, 금후 구체적인 검토를 필요로 한다.

  • PDF

압착식, 압출식 착유 대마 종실유의 색깔과 주요성분 비교 (Comparison of color and major components of hempseed oils extracted with pressuring and extruding methods)

  • 문윤호;송연상;김광수;이지은;유경단;이영화;이경보;최인성;차영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66-672
    • /
    • 2017
  • 대마[Cannabis sativa L.]는 오랫동안 섬유작물로 재배되었지만 종실의 기름 함량이 많고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아 식용유 원료작물로 유망하다. 오랫동안 대마 종실유를 이용해온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압출식으로 착유하는데, 이용 역사가 짧은 우리나라에서는 대마 종실유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소비자 기호도가 낮은 편이다. 본 연구는 압착식과 압출식으로 착유한 대마 종실유의 성분을 분석하여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압출식 착유기로 착유하면 착유량이 압착식에 비해 많았다. 착유 부산물인 유박은 압출식에서는 으깨어져 얇고 납작하게 배출되지만, 압착식은 종실이 다소 납작해졌으나 종실의 형상을 유지하였다. 압출식 착유 종실유는 압착식에 비해 Chlorophyll A, B 및 Carotenoid 함량이 높아 명도(L)는 낮고 녹색과 황색은 진하였다. 지방산 조성에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icid, ${\gamma}$-Linolenic acid 비율은 압출식 착유 종실유가 압착식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Linoleic acid와 ${\alpha}$-Linolenic acid는 낮았다. 대마 종실유는 총 토코페롤 함량이 많고 그 중 ${\gamma}$-Tocopherol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었는데 압출식 착유 종실유가 압착식에 비해 다소 적었다.

폐콘크리트 미분말 대체율 및 양생방법에 따른 압출경화체의 강도특성 (The strength characteristic of extruding solid according to substitution ratio and curing methods of waste concrete powder)

  • 유재성;김진만;이명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9-50
    • /
    • 2015
  • Recently, by-products from concrete industry are generated in large quantities because of urban redevelopment. Accordingly, waste concrete powder(WCP) inevitably generated in the course of crushing, screening, and separating the waste concrete also show high emission and be increasing gradually, but which is mostly buried with waste concrete aggregate. This is a basic research to increase the value added utilization rate of WCP. We have examined strength characteristic of extruding panel with WCP, depending on the curing methods. The result of study shows similar strength to the base specimen in autoclave curing condition. And in autoclave curing condition, the specimen with WCP of 20% and 30% satisfy the target strength of 14MP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