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ion methods

검색결과 3,481건 처리시간 0.032초

Carotenoids 화학의 연구방법 (Methodology of Carotenoids Chemistry)

  • 김재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60-366
    • /
    • 2001
  • This brief review is organized to integrate methodology of carotenoids chemistry from the author's experimental conceps. The majors include classification of carotenoids. extraction·phase separation, purification. crystalyzation, identification, quantitation, spectroscopic properties, organic reactions, and analytical methods of carotenoproteins. The goal is not write a important conceps of carotenoid but to provide a technical methods that may be useful to researchers of natural products chemistry.

  • PDF

추출 방법에 따른 포도 추출액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grape juice obtained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김미향;곽현지;유병혁;김덕진;윤선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84-790
    • /
    • 2013
  • 가압가열추출(AE), 열수추출(HWE) 및 효소처리추출(EE) 방법으로 추출한 포도 추출액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은 가압추출액이 79.8%, 열수추출액이 82,3% 및 효소추출액이 92.6%로 효소 추출이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pH는 추출 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산도와 당도는 효소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색상에 있어서는 $a^*$$b^*$값은 효소 추출이 5.24 및 5.09로서 열수추출(3.79, 3.83)과 가압가열추출(1.83, 3.16)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L^*$값은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도는 효소추출이 42.1 cP 이었으며 가압가열추출과 열수추출보다 높았다. 유리당은 포도당과 과당의 함량이 높으며, 가압추출과 열수추출보다 효소추출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기산은 사과산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효소 추출이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효소추출이 55.7 mg% 수준으로 가압추출 31.3 mg%와 열수추출 39.5 mg%에 비하여 높았으며, 특히 안토시아닌 함량은 효소추출이 22.1 mg%로 가압추출과 열수추출보다 2~4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환원력에 있어서 효소추출이 가압추출과 열수추출에 비하여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포도 추출에 있어 가압과 가열에 의한 방법보다 효소 처리에 의한 추출이 맛과 색소 성분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며 그에 따른 항산화 활성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 방법에 따른 상지에 배양한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with extraction methods from Phellinus linteus mycelium on Mori ramulus)

  • 박혜미;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65-57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추출 방법에 따른 상지에 배양한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자 열수추출, 초음파추출 및 가압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 수율은 가압추출, 초음파추출, 열수추출 순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총 페놀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가압추출에서 100g당 각각 9.87 g 및 1.90 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ORAC은 가압추출에서 g당 $769.63{\mu}M$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가압추출 $1,000{\mu}g/mL$에서 각각 35.85% 및 51.42%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은 가압추출 $100{\sim}500{\mu}g/mL$에서 29.16~93.89%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FRAP 및 환원력은 가압추출 $100{\sim}1,000{\mu}g/mL$에서 $180.60{\sim}607.93{\mu}M$ 및 0.14~0.51로 나타나 모든 항산화 활성 분석에서 가압추출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가압추출 $100{\sim}1,000{\mu}g/mL$에서 9.66~24.05%로 유의적으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 농도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에 있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유용성분의 효율적인 추출에 가압추출 공정이 적합하다 판단되었다.

추출방법에 따른 미강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ice Bran Extract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함현미;우관식;이유영;박지영;이병원;최용환;김인환;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91-169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미강의 산업적 이용 증대 및 고부가가치 소재개발을 목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추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용매 추출법, 검화 추출법 및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미강 생리활성물질 농축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ABTS 및 DPPH 라디칼 제거능, 환원력,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ABTS 및 DPPH 라디칼 제거능, 환원력 모두 unsaponifiable matter(USM)가 각각 671.7 mg TEAC/g, 330.7 mg TEAC/g 및 $A_{700}=1.1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지질과산화 억제능은 USM 및 supercritical fluid extract(SFE)가 각각 68.7% 및 75.4%로 methanol extract(ME)의 47.8%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검화 추출법으로 제조한 USM은 SFE 및 ME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미강을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추출 방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미강 생리활성물질 농축물은 기능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식품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벼 분자육종을 위한 CTAB DNA 추출 시스템 개량 (Modified CTAB DNA Methods for efficient DNA extraction from Rice (Oryza sativa L.))

  • 이종희;곽도연;여운상;김춘송;전명기;강종래;박동수;신문식;오병근;황흥구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86-290
    • /
    • 2008
  • 본 연구에서 분자육종을 위한 신속 DNA추출법을 개발하고자, 2% CTAB 추출법을 시스템적으로 개량한 Modified CTAB법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DNA 추출용 샘플마쇄는 Voltex mixer, 3개 텅스텐 구슬 및 96 deep well block을 이용하였으며, 5분 이내에 96개 샘플을 분쇄할 수 있었다. 2. Modified CTAB DNA 추출법은 1.5 ml E-tube 대신에 1.2 ml 8연식 tube를 사용하였으며 DNA 추출, PCR작업 및 전기영동까지 일련의 작업이 8채널 멀티피펫을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적으로 개선하였다. 3. Modified CTAB법은 어린잎 뿐 만 아니라 이앙 후 30일째 채취한 잎에서도 DNA 추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육종포장에 재식된 재료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기 입자상물질 시료의 곰팡이 메타게놈 분석을 위한 DNA 추출 및 PCR 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DNA Extraction and PCR Conditions for Fungal Metagenome Analysis of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 강수경;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99-108
    • /
    • 2023
  • 대기 입자상물질(particulate matter, PM) 시료의 곰팡이 메타게놈 분석을 위해 DNA 추출 및 유전자 증폭 시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PM 시료로부터 DNA를 추출하는 방법과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위한 프라이머 및 온도 조건의 최적화를 위하여 다양한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여러 조건에서 DNA 추출 여부를 비교 평가한 결과, bufffer와 proteinase K를 이용하여 20분 동안 화학적 세포 용해 처리와 bead beating 처리를 한 후 상용 DNA 추출 kit를 사용하면 DNA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PCR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ITS2 유전자 영역을 증폭할 수 있는 10개 조합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ITS3tagmix3/ITS4 조합의 프라이머로 annealing 온도 58℃로 하였을 때 증폭된 PCR 산물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 조건에서도 PCR 산물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1차 PCR 산물을 주형 DNA로 사용하여 nested PCR을 수행하면 만족스러운 농도로 ITS2 유전자를 증폭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조건으로 서울 대기 PM2.5를 포집한 필터 시료 15종을 대상으로 DNA 추출과 PCR을 수행한 결과 성공적으로 ITS2 유전자 증폭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적화한 방법은 대기 PM 시료의 곰팡이 메타게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에 활용 가능하다.

직물에 흡착된 양이온계면활성제 정량방법에 관한 연구 (Analytical Methods for Cationic Surfactants Sorbed by Fabrics)

  • 박선경;정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22-428
    • /
    • 2000
  • At present, analytical methods available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cationic surfactants(DSDMAC) on the fabrics are spectrophotometric method based on formation and extraction of the colored ion pair with anionic dye, radiochemical analysis and HPLC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new analytical methods based on the formation of cationic surfactant(DSDMAC)-disulfine blue complex on the cotton fabric. Test methods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DSDMAC-disulfine blue complex on the cotton fabrics are measuring the reflectance of the colored fabric and the absorbance of the methanol solution of DSDMAC-disulfine blue complex extracted from dyed cotton fabric.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the K/S value of the fabric treated with DSDMAC followed by disulfine blue and the amount of DSDMAC sorbed by cotton fabric were obtained. Thus, the amount of DSDMAC sorbed by cotton fabric can be determined by K/S value of the fabric. DSDMAC-disulfine blue complex on the cotton fabric was extracted with methanol. The amount of DSDMAC sorbed by cotton fabric was estimated by measuring the absorbance of the methanol solution extracted from dyed cotton fabric.

  • PDF

Effect of Drying Methods on Longitudinal Liquid Permeability of Korean Pine

  • Lee, Min-Gyoung;Lu, Jianxiong;Jiang, Jiali;Kang, Ho-Ya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5호
    • /
    • pp.49-55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eaming and four different drying methods on the longitudinal liquid permeability of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ieb.et Zucc.) board. Four drying methods were air drying, conventional kiln drying, microwave-vacuum drying and high temperature drying. Darcy equation was used for calculating the specific permeability of the small sapwood specimens taken from the treated boards while capillary rising method was used for the heartwood specimens. The sapwood specimens were extracted with water and benzene-alcohol solution to examine the mechanism of liquid flow in treated woo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pecific permeability and the number of resin canals of the sapwood specimens. Extraction decreased the differences of specific permeabilities of the sapwood specimens between the five treatment methods. The effects of extraction on the longitudinal permeability are different between five treatments. The fluid path in heartwood was observed by dynamic observation method.

폐금속광산 지역 농작물섭취경로의 인체위해도 산정을 위한 생물농축계수와 토양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Soil Extraction Methods for the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of Crop Intake Pathway around Abandoned Metal Mine Areas)

  • 임태용;이상우;윤성택;김순오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1권6호
    • /
    • pp.56-66
    • /
    • 2016
  • Generally, the contribution of crop-intake pathway (CIP) is remarkable in human health assessment (HHA)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Although the crop exposure concentrations (Cp) should directly be used for calculating the average daily dose (ADD) of CIP, the soil exposure concentration (Cs) multiplied by soil-crop bio-concentration factor (BCF) has frequently been used instead of using Cp values. Thus, the BCF values are significant in the HHA, and care should be taken to ensure the reasonable acquisition of BCF values. Meanwhile, the BCF values are known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analytical methods. Nevertheless, they have been calculated from the concentrations of soil and crop analyzed by only one method: total digestion (aqua regia extract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was initiated to seek appropriate soil analysis methods for effective computation of the ADD of CIP. The concentrations of 5 metal contaminants (As, Cd, Cu, Pb, and Zn) in 127 soil samples obtained from 4 abandoned metal mine areas were analyzed by several methods including total digestion and partial digestions using 0.1/1 N HCl, 1M $NH_4NO_3$, 0.1 M $NaNO_3$, and 0.01M $CaCl_2$.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127 crop samples (rice grains) were analyzed by total digestion as well. Using the concentrations of soils and crops, the BCF values of each contaminant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kind of soil extraction methods applied. Finally, the errors between Cp and $C_s{\times}BCF$ were computed to evaluate the relevance of each metho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artial extraction using 0.1 N and 1 N HCl was superior or equivalent to total digestion. In addition, the 0.1M $NaNO_3$ method combined with total digestion is recommended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BCF values.

열수 온도, 에탄올 비율, 추출방법에 따른 마(Dioscorea batatas)의 기능성 및 특성 연구 (Functionalities and Properties of Yam (Dioscorea batatas) Extract Depending on Various Water Temperature, Ethanol Ratio, and Extraction Methods)

  • 김재용;금준석;박종대;성정민;최윤상;최현욱
    • 산업식품공학
    • /
    • 제23권2호
    • /
    • pp.125-133
    • /
    • 2019
  • 마 분말과 생 마의 추출 용매(열수 25, 50, 75, 95℃, 에탄올 25, 50, 75 100%) 및 추출 방법(회분법, 침지법)에 따른 추출물과 추출 후 침전물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았다.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 대부분 생 마 보다는 마 분말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마 분말 50% 에탄올 추출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제거능은 마 분말과 생 마 모두 75% 에탄올 추출법에서 높은 제거능을 보였고, 가압 가열 추출법은 높은 압력과 온도에 의한 항상화 물질의 파괴로 인해 낮은 제거능을 보였다. 조사포닌 함량은 마 분말과 생 마 모두 95℃ 열수 추출법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티로시네이즈 활성 억제능에서는 마 분말의 경우는 95℃ 열수 추출법 또는 가압 가열 추출법, 생 마의 경우에는 95℃ 열수 추출법, 25% 에탄올 추출법 또는 가압 가열 추출법으로 추출한 시료가 가장 티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전물의 RVA 호화특성 결과 대부분 추출법에서 peak viscosity, trough, final viscosity 등이 control에 비해 증가하는 결과가 나온 반면 95℃ 열수 추출법과 가압 가열 추출법에서는 전분 그래뉼의 파괴를 SEM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그로 인한 viscosity 감소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마 분말 75℃ 열수 추출의 경우 전분 그래뉼의 파괴는 SEM에서 관찰되지 않았음에도 viscosity가 감소한 것에 대한 추가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침전물 현탁액의 점도는 마 분말에서 5.82-9.12 cp, 생 마에서 13.88-19.10 cp로 생 마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생 마의 점액 물질에 의한 결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마의 추출물과 침전물의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마를 활용한 소재화, 식품 및 피부미용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데이터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