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onential curing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8초

가변 광도 중합에 따른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에 관한 연구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RESINS CURED BY VARIABLE LIGHT INTENSITIES)

  • 임미영;조경모;홍찬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1호
    • /
    • pp.28-36
    • /
    • 2007
  • 본 연구는 광중합형 복합레진 중합 시 기존의 중합법과 가변광도 중합형인 soft start 중합법 및 exponential 중합법 간의 중합수축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3종의 복합레진 (Synergy Duo Shade, Z250, Filtek Supreme) 및 3종의 광조사기 (Spectrum 800, Elipar Highlight, Elipar Trilight)를 사용하였다. 총 중합시간은 40초로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선형 중합수축률의 측정은 linometer를 이용하였으며, 90초간의 선형 수축률을 0.5초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재료별로 각 중합 방법별 시간에 따른 중합수축률을 one-way ANOVA test로 분석하여 최종 중합수축률에 도달하는 시간을 산출하였고, 90초 후 최종 선형 중합수축률을 two-way ANOVA test를 이용하여 재료, 광조사 방법, 재료 및 광조사 방법의 교호작용이 중합수축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90초까지의 선형 중합수축률에 대한 20초까지의 선형 중합수축률의 비를 two-way ANOVA로 비교하고, 각각의 통계치를 95% Scheffe test로 검증하였는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upreme을 제외한 다른 군에서는 재료 및 광조사 방법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중합 수축이 광조사 후 20초 이내에 이루어졌다 (p < 0.05). 2. 90초 후, 최종 중합수축률은 재료 (p = 0.000)와 광조사 방법 (p = 0.003) 모두 유의성 있는 영향을 끼쳤으나, 재료와 광조사 방법 상호간의 작용은 영향이 없었다. 3. 90초 후 최종 중합수축률은 총 광에너지가 가장 낮은 exponential 중합법에서 유의성 있게 낮았다 (p < 0.05). 4. 20초까지의 초기 수축률은 soft start와 exponential중합법 등 가변광도 중합이 conventional 중합법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낮은 수축률을 보였다 (p < 0.05). 본 실험 결과만을 토대로 볼 때, 가변광도 중합법은 초기 중합수축 속도를 감소시켜 수축응력을 감소시킨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총 조사 광에너지의 차이로 인해 그 물리적 성질에 영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향후 이에 대한 더 많은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복합레진의 exponential 중합법이 상아질접착제의 미세인장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XPONENTIAL CURING OF COMPOSITE RESIN ON THE MICROTENSILE DENTIN BOND STRENGTH OF ADHESIVES)

  • 성소래;서덕규;이인복;손호현;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2호
    • /
    • pp.125-133
    • /
    • 2010
  • 접착제를 통해 치아에 접착되는 상부의 복합레진의 빠른 중합은 접착제층에 높은 중합수축응력을 발생시킨다. 중합수축응력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LED 광중합기의 하나인 Elipar FreeLight 2 (3M ESPE, USA)에서는 최초 5초 이내에 광강도를 증가시키는 exponential 중합법을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짧은 시간내에 광강도를 증가시키는 exponential 중합법이 복합레진의 초기 중합수축속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접착제 적용 후 상부의 복합레진을 exponential 중합법과 continuous 중합법으로 중합하여 상아질접착제의 미세인장접착강도를 비교하였다. 3M사의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MP), Single Bond 2 (SB), 및 Adper Prompt (AP)의 세 종류의 접착제를 발치한 대구치의 교합면 상아질에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적용하고, 혼합형 복합레진인 Denfil (Vericom, Korea)을 두 가지광중합방법으로 중합하였다. 접착 후 48시간에 미세인장접착강도를 측정하고, 파절면은 FE-SEM.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접착제에서 중합방법에 따른 접착강도의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Two-way ANOVA, p > 0.05). MP와 SB의 미세인장접착강도는 AP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 < 0.05). 대부분의 파절시편에서는 혼합형 파절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나, 중합방법에 따른 파절양상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5초 이내의 짧은 시간에 광강도를 증가시키는 exponential 중합법은 continuous 중합법과 비교하여 상아질접착제의 미세인장접착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A study of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resins cured by various light intensities

  • Lim, Mi-Young;Hong, Chan-Ui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613-61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exponential curing method with conventional curing and two step soft start curing method on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resins. Three brands of composite resins (Synergy Duo Shade, Z-250, Supreme) and three brands of light curing units (Spectrum 800, Elipar Highlight, Elipar Trillight)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iameter of specimen was 5.5mm and height 1.6mm and the specimen was cured for 40 seconds. The shrinkage was measured by custom made linometer. The amount of linear polymerization shrinkage recorded in the computer every 0.5 second for 90 seconds. Each group was measured 10 times.(omitted)

  • PDF

시멘트 복합체 표면의 자기치유 박테리아 생장 곡선 (Bacteria's Survival Curve on the Surface of Cement Composite)

  • 박지윤;장인동;손다솜;이종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03-204
    • /
    • 2021
  • Bacteria used in self-healing concrete, which arrest the crack, helps increasing the durability is well known. However, the survival and activity of the bacteria are precisely unknown. In this research, to know the bacteria's survival curve on the surface of the cement composite, bacteria's survival curve has been measured by CFU at different curing days. The survival curve of 3 days and 7 days curing does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urvival tendency. However, the slope of death phase of 7 days curing was steeper than the 3 days of curing.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the death phase but for further research, set of interval time will be reduced and observe the lag phase and exponential phase.

  • PDF

Cure Characteristics of Metal Particle Filled DGEBA/MDA/SN/ zeolite Composite System for EMI Shielding

  • Cho, Young-Shin;Lee, Hong-Ki;Shim, Mi-Ja;Kim, Sang-Wook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48-551
    • /
    • 1999
  • The cure characteristics of metal particle filled DGEBA/MDA/SN/ zeolite epoxy resin composite system for EMI shielding were investigated by dynamic DSC run method and FT-lR spectroscopy. As the heating rate increased, the peak temperature on dynamic DSC curve increased because of the rapid cure reaction. From the straight line of the Kissinger plot, the curing reaction activation energy and pre-exponential factor could be obtained. As the post-curing time at 15$0^{\circ}C$ increased, the glass increase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r the thermal stability increased. When the post curing time is too long, the system filled with metallic Al particle can be thermally oxidized by the catalytic reaction of metal filler and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composite for the EMI shielding application may be decreased.

  • PDF

Thermal Properties of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Epoxy-silicone Compound

  • Cho, Young-Shin;Shim, Mi-Ja;Klm, Sang-Wook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5-478
    • /
    • 1999
  • The thermal properties of epoxy resin/siloxane for the electrical insulation were investigated by using dynamic DSC run method. As the heating rate increased, the peak temperature on dynamic DSC curve increased. From the linear relation on the Kissinger plot the curing reaction activation energy and pre-exponential factor could be obtained. The curing activation energy from the straight line of the Kissinger plot was 46.72 kJ/mol.

  • PDF

완속기시(Soft-start) 광조사 방식이 복합레진의 중합 및 수축응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OFT-START LIGHT CURING ON THE POLYMERIZATION AND THE CONTRACTION STRESS OF COMPOSITE RESIN)

  • 위유민;오유향;이난영;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32-34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할로겐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40초간 조사하여 복합레진을 중합한 경우와 플라즈마 광중합기를 이용한 고강도의 중합 및 완속기시 중합 방식, 그리고 LED 광중합기를 이용한 통법의 중합과 완속기시 중합 방식으로 복합레진을 중합하여 발생되는 수축응력을 비교하고 미세경도를 측정하여 중합도를 평가하였다. 내경 7mm, 외경 10mrn의 아크릴릭 주형을 제작하고 외면에 스트레인게이지를 부착시킨 뒤 각각의 광원에 따른 중합모드로 광중합 하였다. 광조사 시점부터 1초 간격으로 600초간 수축응력을 측정하였으며, 중합 24시간 후 각 군의 미세경도를 측정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수축응력 측정 후 시편을 종단하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레진수복물과 아크릴릭 주형 계면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플라즈마 광과 LED 광원의 완속기시 중합방식은 각각의 기본 중합방식에 비해 중합 10분 후에 수축응력 감소를 보였다(P<0.05). 2. 완속기시 중합방식의 플라즈마 광이 가장 낮은 수축응력을 보였으나 미세경도 또한 가장 낮았다(P<0.05). 3. 완속기시 중합방식의 LED 광중합은 기존의 할로겐 광과 LED 광중합 방법에 비하여 낮은 수축응력을 보였다(P<0.05). 4. 완속기시 중합방식의 LED 광으로 조사한 시편의 미세경도는 단일광도로 조사한 할로겐 광과 LED 광중합과 비교하여 유의할만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5. 기존의 할로겐 광과 완속기시 중합방식의 LED로 중합한 시편이 플라즈마 광과 단일강도의 LED로 조사한 군보다 더 나은 변연봉쇄를 보였다.

  • PDF

양생시간에 따른 CLSM의 압축강도 및 압축파 속도 상관성 연구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Compressional Wave Velocity for CLSM According to Curing Time)

  • 한우진;이종섭;조삼덕;김진환;변용훈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11호
    • /
    • pp.5-11
    • /
    • 2015
  • 다짐이 어려운 지중매설물의 밀실한 충전을 위해 저강도 및 고유동성의 특성을 갖는 유동성 채움재(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 CLSM)의 개발 및 현장적용에 대한 연구가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압축파 속도 및 일축압축강도를 측정하여 양생시간에 따른 CLSM의 강성 및 강도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CLSM의 재료는 모래와 실트, 플라이애쉬, CSA계 시멘트, 및 물을 혼합하여 충분한 유동성 및 낮은 강도를 나타내도록 구성하였으며, 플로우, 단위중량, 일축압축강도와 같은 CLSM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경화되기 전부터 CLSM의 강성특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압축파 측정용 셀을 제작한 후, 셀에 트랜스듀서를 접하여 압축파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일축압축강도는 양생초기에 크게 증가하였고,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압축파 속도는 양생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일축압축강도와 압축파 속도 사이에는 지수함수 관계를 보여주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압축파 측정을 통하여 CLSM의 강성변화를 파악할 수 있으며, 경화가 미완료된 양생초기의 일축압축강도 평가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Cure Kinetics of Cycloaliphatic Epoxy/Silica System for Electrical Insulation Materials in Outdoor Applications

  • Lee, Jae-Young;Park, Jae-Jun;Kim, Jae-Seol;Shin, Seong-Sik;Yoon, Chan-Young;Cheong, Jong-Hoon;Kim, Young-Woo;Kang, Geun-Bae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6권2호
    • /
    • pp.74-77
    • /
    • 2015
  • The cure kinetics of a neat epoxy system and epoxy/silica composite were investigated by DSC analysis. A cycloaliphatic type epoxy resin was diglycidyl 1,2-cyclohexanedicarboxylate and curing agent was anhydride type. To estimate kinetic parameters, the Kissinger equation was used.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neat epoxy system was 88.9 kJ/mol and pre-exponential factor was 2.64×1012 min−1, while the activation energy and pre-exponential factor for epoxy/silica composite were 97.4 kJ/mol and 9.21×1012 min−1, respectively. These values showed that the silica particles have effects on the cure kinetics of the neat epoxy matr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