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lorations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3초

우주생명현상과 성간천체 탐사 전망 (THE PROSPECT OF INTERSTELLAR OBJECT EXPLORATIONS FOR SEARCHING LIFE IN COSMOS)

  • Minsun Kim;Ryun Young Kwon;Thiem Hoang;Sungwook E. Hong
    • 천문학논총
    • /
    • 제38권2호
    • /
    • pp.25-36
    • /
    • 2023
  • Since interstellar objects like 1I/'Oumuamua and 2I/Borisov originate from exoplanetary systems, even if we do not visit the exoplanetary systems, flyby, rendezvous, and sample return missions of interstellar objects can provide clues to solve the mysteries of cosmic life phenomena such as the origin of exoplanetary systems, galactic evolution, biosignatures (or even technosignatures), and panspermia. In this paper, we review space missions for interstellar object exploration in the stage of mission design or concept study such as Project Lyra, Bridge, Comet Interceptors, and LightcraftTM. We also review space missions, OSIRIS-REx and NEA Scout, designed for Near Earth Asteroids(NEA) exploration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basic technologies that can be extended to explore interstellar objects in a velocity of ~ 6AU/year. One of the technologies that needs to be developed for interstellar object exploration is a spacecraft propulsion method such as solar sail, which can catch up with the fast speed of interstellar objects. If this kind of propulsion becomes practical for space explorations, interstellar object explorations will mark a new era and serve as a driving force to provide evidences of cosmic life.

달 탐사를 위한 우주통신에서 텔레메트리 링크에 대한 최대 전송속도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Maximum Data Rate for Telemetry Links in Space Communications for Lunar Explorations)

  • 이우주;윤동원;이재윤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2-49
    • /
    • 2011
  • 달 탐사를 위한 우주 통신 하향링크는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높은 전송속도를 요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달 탐사를 위한 하향링크 S, X, Ku, Ka 대역별로 CCSDS에서 권고하는 변조 및 채널 부호화 기법에 대하여 전송속도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달 탐사를 위한 텔리메트리 링크에 대하여 최대 전송속도를 가지며 링크마진을 만족하는 변조 및 채널 부호화 기법을 제시한다.

인도네시아근해의 참치 및 저서어 어장 개발시험 (Fishing Explorations for Tunas and Demersal Fish in Indonesia Waters)

  • 임기봉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0권1호
    • /
    • pp.19-29
    • /
    • 1974
  • Fishing explorations for tunas and demersal fish on the sea south west from Sumatra, south sea from Java, south sea from Bali and south sea from Soemba were carried out in 1973 by MIS TaeBeak-San (310 tons, 8001P) of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Ageney, R. O. K. The results were found to be valuable for good fishing ground for tunas and demesal fishes.

  • PDF

조상-자손 관계 탐색을 지원하기 위한 XML 타입상속 색인구조의 계층적 구성기법 (XML Type Inheritance Index Hierarchies for Supporting Ancestor-descendant Exploration)

  • 이종학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133-114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XML 데이터베이스에서 XML 질의처리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다차원 타입상속 색인구조(MD-TIX)들의 계층적 구성기법을 제시한다. MD-TIX는 중첩요소와 여러 타입상속 계층으로 이루어진 중첩술어의 조상-자손 관계 탐색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다차원 색인구조를 이용하는 색인기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MD-TIX는 질의에 주어진 Xpath의 길이가 긴 경우에 색인 엔트리의 구성문제 때문에 색인구조의 구축과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주어진 Xpath에서 인접한 두 타입 사이의 직접 관계 탐색을 지원하는 기본 색인구조들을 구축하고, 이들을 바탕으로 Xpath상의 임의의 두 타입 사이의 간접 관계 탐색을 지원하는 유도 색인구조들을 구축한다. 이러한 과정을 전체 길이의 Xpath를 지원하는 하나의 목표 색인구조를 구축하기까지 계층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Xpath 상에 주어진 몇 개의 부경로 탐색만을 지원하기 위한 부분적인 색인계층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Mathematical Knowledge Construction in Computer Based Learing

  • Lee, Joong-Kwoe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5권1호
    • /
    • pp.13-24
    • /
    • 2001
  • Using computer technology in teaching school mathematics creates new instructional environments. The emphases on the use of computer technology in the classrooms and in particular the use of computer-based exploration as a context of mathematics instruction have been reflected in the recommendation of the NCTM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1989). Although the power of using computer technology in the exploration of mathematical problems has been recognized and stressed by many educators, we do not have many research studies on mathematics in computer-based explorations. Especially research has failed to clarify how computer technology can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of mathematics. Up to now most researches on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in computer environments have only focused on classifying programming languages which program language has more random access and rich interrelationship characteristic in relation to conceptual knowledge in humans, and which computer language has more characteristic flavor of procedural knowledge. How computer-based explorations affect the knowledge construction of mathematics, therefore, emerges as an issue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oretical framework. This situation leads to do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using computer explorations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terms of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construction.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탐구성 분석 (Analysis on the Aspect of Learners' Explorations Reflected in High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강오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8권5호
    • /
    • pp.103-11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문제 해결과 프로그래밍' 단원에 대한 탐구성을 분석하였다. 7종 교과서에 Romey 분석법을 적용하였으며, 4개 분석항목인 본문, 자료, 활동, 평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본문, 자료, 활동, 평가의 항목에서 각각 1종, 3종, 6종, 2종의 교과서가 탐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Romey 평가지수를 기준으로 6종 교과서의 본문이 0.175~0.393로 낮게 분포되었으며, 자료 항목에서 4종 교과서가 0.058~0.226로 매우 낮았다. 평가 항목은 5종 교과서가 2~6.333로 매우 높게 분포되었으며, 교과서 간의 편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새로운 교과서가 본문, 자료, 활동의 3개 분석항목에서 이전 교과서보다 탐구성이 향상되었으며, 평가 분석항목은 Romey 지수가 0.916에서 3.194로 크게 증가하여 탐구성이 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Undergraduate Mathematics Enhanced With Graphing Technology

  • Rosihan M. Ali;Kee, Kor-Liew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8권1호
    • /
    • pp.39-58
    • /
    • 2004
  • The School of Mathematical Sciences at University Sains Malaysia has offered a laboratory course on the integration of hand-held technology into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01/2002 academic year. This inquiry-based course highlights the explorations and application of mathematics in a data rich model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course addresses several issues related to the effective integration of such technology into the mathematics curriculum. This paper discusses the appropriate use of graphing technology to present mathematical concepts and to support student's understanding in a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shares knowledge on the new mathematics that was made possible by hand-held technology, and summarizes student reactions to this innovative learning mode.

  • PDF

한국형 달 탐사를 위한 링크 시나리오 설계 및 성능분석 (Link Scenario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Korean Lunar Explorations)

  • 정진우;오장훈;윤동원;김상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A권4호
    • /
    • pp.212-21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달 탐사선이 달 공전궤도에 안착 후 지상국과 가능한 통신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성능을 분석한다. 시나리오에 따라 DSN 또는 국내 지상국만을 사용한 경우로 나누어 통신 가능시간을 분석하고 하루 동안 전송 가능한 총 데이터 처리량을 제시한다.

Design Explorations of Personalizable Electronic Sound and Perfume Accessories

  • Choi, Yongs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269-280
    • /
    • 2022
  • It has been common since ancient times to use fashion accessories to make a positive impression on others and develop personal brands. For this manuscript, I've designed a range of personalized electronic sounds and perfume accessories that use personalized scents and sounds to create memorable experiences. These have built-in auditory and olfactory actuators that can generate unique sound and fragrance signatures from the wearer and the other party. Based on the design explorations, I also discussed the issues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ersonalized electronic sound and fragrance accessories, as well as issues and additional business opportunities for the use of these personalized electronic sound and odor accessories in everyday life.

달 탐사를 위한 한국형 심우주 지상국 (Ground Stations of Korean Deep Space Network for Lunar Explorations)

  • 김상구;윤동원;현광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99-506
    • /
    • 2010
  • 세계 각국은 이미 우주 개발을 위한 치열한 경쟁에 돌입하였으며, 우리나라도 2020년에 달 탐사선 발사 및 2025년에 달 착륙선 발사를 계획하고 있다. 우리나라 달 탐사 계획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심우주 통신 기술 및 지상국 설치등과 같은 심우주 관련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심우주 관련 선진국들과의 협력을 통하여 축적된 경험 및 기술을 바탕으로 한국형 달 탐사 임무에 적합한 심우주 통신 방식을 개발하고 독자적인 지상국을 확보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DSN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하여 국외 DSN과 심우주 통신 기술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링크 마진을 비롯한 여러 가지 기술적 요구사항을 제시하며 우리나라의 달 탐사 계획을 위해 필요한 최적의 지상국 확보 전략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