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eryday life

검색결과 1,384건 처리시간 0.03초

절합된 (비-)경제적 관행의 공간과 사회적 재생산: 북한 시장화에 대한 경제지리학적 접근 (Spaces of Articulated (Non-)Economic Practices and Social Reproduction: Economic Geographical Perspective to the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 김부헌;이승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81-404
    • /
    • 2019
  • 본 논문은 북한 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 결과를 활용하여 북한 내 여러 경제주체들이 경제위기에 어떻게 대응해왔고 이를 통해 나타나는 다양한 경제관행들이 공간성과 어떻게 얽혀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북한의 시장화를 경제지리학에서 최근 논의되고 있는 '길들이기'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북한의 시장화를 이해할 때 우리는 시장화를 헤게모니 권력을 갖는 거대 프로젝트로서 '저편에 놓여 있는' 무엇이 아니라 공간 내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일상생활의 관행을 통해 끊임없이 (재)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경제적 위기와 파열, 경제적 주변화에 대한 경제주체의 대응전략은 경제와 비경제가 절합되어 있는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일상생활의 다양한 대응전략이 경제적, 비경제적 요인들에 의해 중층결정되어 있으며 관행의 효과성은 권력관계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강조한다.

청소년 소비자의 동조적 상표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 캐주얼 의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dolescent Consumers' Behavior Conformity in Brand Choice -Focused on Casual Wear-)

  • 김나연;이기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253-269
    • /
    • 2001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disposition conformity in everyday life and behavior conformity in clothes brand choice, and analyze the effects of disposition conformity and influential variables on behavior conformity in brand choice. For this analysi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78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rough survey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t-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have been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objectives. Main findings are following; First, the 62.8% of the students showed high level of disposition conformity, and the 60.7% of them showed relatively low level of behavior conformity in brand choice. The adolescent consumers'disposition conformity to the reference groups in everyday life is in the order of parents, peer group, and mass media star. Second, the group differences in disposition conformity are diversified by independent variables. Amo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disposition conformity to peer group differ by grade and disposition conformity to parents differ by the parents'education. Sex causes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ll disposition conformity except parents. In economic variables, the perceived level of living raises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disposition conformity to the parent and whole disposition conformity. As the degree of disposable money gets higher in buying clothes, adolescent consumers conform more to the mass media star. Disposition conformity to parents and peer group were also differed by self-esteem. Third, significant variables, which affect the adolescent consumers'behavior conformity in brand choice, are grade, their mother's education, degree of disposable money in buying clothes, and disposition conformity to peer group and mass media star.

  • PDF

읽기/쓰기 문화의 변천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부상(浮上) : 바흐친의 '일상생활의 산문'을 중심으로 (The Transition of Reading/Writing Culture and Emerging Digital Contents-Focusing on Bakhtin's "The prose of everyday life")

  • 구모니카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71-382
    • /
    • 2011
  • 인류가 고대로부터 물려받은 읽기/쓰기 행위는 인류의 의사소통 체계이자 지식정보 전달 체계로서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현상이다. 특히 디지털적 읽기/쓰기로 개개인의 일상사에 의미와 가치가 부여되는 시대, 그야말로 혁명적으로 일상적 담론과 대화들이 증폭된 지금 본 연구자는 이 시대의 '디지털적' 읽기/쓰기 방식과 이에 따른 의사소통 수단을 바흐친의 '일상생활의 산문'을 중심으로 점검하고, 그러한 현상이 새로운 유형의 콘텐츠로 재창조된다는 것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과거 읽기/쓰기는 '기록'의 과정을 통해 '서사의 창조'라는 지점에서 신성성을 부여받아왔다. 그러나 이는 현대로 오면서 데이터 간의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통해 변모하고 있다.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읽기와 쓰기는 선형적 서사성의 결여로 비난 받아야 할 현상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변화의 한 과정이며 결과로 재평가되어야 한다. 읽기와 쓰기 방식의 변화는 콘텐츠의 층위, 지위, 의미, 가치의 변화를 수반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디지텔링'이라는 개념을 제안하여, 디지털 콘텐츠에서의 읽기/쓰기 방식을 새로운 대중문화 현상으로 접근해야 함을 주장하는 바이다.

시민 정보요구 범주화 연구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Citizens' Information Needs)

  • 이지영;김기영;박영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45-269
    • /
    • 2016
  • 본 연구는 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마주하는 문제들을 그 탐색행위의 특성에 기반하여 범주화함으로써 시민들의 정보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보 서비스를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우선, 심층면담을 통해 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직면한 문제에 대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키워드는 정보탐색행위의 특성에 따라 6가지 문제 영역(취미, 법률, 시사, 교육, 건강, 경제)으로 범주화하였으며, 범주화 결과의 타당성을 위해 설문을 통해 각 범주의 선호 정보원의 차이에 대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제 영역 간에 선호 정보원의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이를 통해 취미, 법률, 시사, 교육, 건강, 경제로 구분한 6가지 문제 영역 구분이 어느 정도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기존의 주제별 정보 서비스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을 제기하며, 문제 중심 정보 서비스로의 전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최근 국내외 패션에 나타난 느리게 살기 운동의 영향 (The 'Be Slow'Movement and Its Impact on the Current Fashion)

  • 김윤희
    • 복식
    • /
    • 제52권6호
    • /
    • pp.165-179
    • /
    • 2002
  • This paper begins with the thesis that the so-called 'Be Slow' Movement has not only affected the contemporary life style but also the current fashion trend in the West as well as in Korea. The influence of the 'Be Slow' Movement on the everyday life of Western and Korean society can be documented by recent books, news reports, and many articles from various kinds of mass media and fashion magazines since the year 200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e Slow' Movement is a new cultural phenomenon and ver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century. It has emerged very recently and it could affect the life style o( its followers for a long period of time. Second, the influence of 'Be Slow' Movement on everyday life can be witnessed in many behavioral choices. such as the preference of organic food and natural cooking for food and the preference of rural life and a green patch of land for housing. Some aspects of the way of rearing the children and long-term planning of one's life are also under the influence of 'Be Slow' Movement. In a way. the life style Proposed by the 'Be Slow' Movement is somewhat similar to that of 'Bobos'. Third, the influence of 'Be Slow' Movement on the current fashion trend can be observed in the appreciation of time-consuming labour and increased usage of D.I.Y. clothing. The higher value of fashion goods with handcrafted part or scarce luxury item are good examples of the influence by the 'Be Slow' Movement. One can say that the 'Be Slow' Movement is not retrogression, but a re-creation of time and space to be grateful for one's life. Thus, it is not anti-technology but a commercialism with technology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nd to place people in the center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Consequently, one may say that the 'Be Slow' Movement is a appropriate and affluent way of living.

앙부일구(仰釜日晷) 활동에서 드러난 탈북 학생들의 과학 학습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Science Learning in Angbuilgu Activity)

  • 이지혜;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4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 과학 소재인 앙부일구 과학 활동에서 나타나는 탈북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통해 그들의 과학 학습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우리는 탈북 청소년들과 다른 교육적, 문화적 배경과 연령을 가진 다른 두 개 집단을 비교했다. 본 연구에 적용된 앙부일구 프로그램은 시간에 대한 의미 있는 질문, 일상생활 지식, 한국 전통 과학 지식, 서양 현대 과학 지식을 포함한다. 또 수업 과정은 교사와 학생 간 상호 작용과 실험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이 프로그램은 탈북 청소년 집단, 초등 과학 우수아 집단, 고등 과학 심화 집단의 세 집단에 적용 후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탈북 청소년들의 과학 학습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 청소년들에게 시간의 의미는 생활속에 녹아 있는 자연 그 자체다. 그들은 자연의 시간에 익숙하고 생활 경험이 풍부하다. 둘째, 탈북 청소년은 보완적이고 배려하는, 그리고 인간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는 과학을 선호한다. 이는 새롭고 실용적인 과학을 선호하는 다른 집단들과는 대조적이다. 셋째, 탈북 학생들은 과학 개념 지식이 부족한 반면 일상생활 지식은 풍부하다. 이들의 언어적 표현도 과학적이기 보다는 일상적이다. 넷째, 탈북 학생들은 과학적 사고보다는 일상적 사고에 익숙하다. 이 결과를 통해 한국 전통 과학 소재의 과학 활동 프로그램이 탈북 학생들에게 새로운 과학 지식과 문화적 자긍심을 주고, 그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의 전통 과학 소재는 탈북 학생과 우리 과학 교육 과정의 간문화적 장을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 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실생활 소재 모듈의 개발 (Development of Experimental Modules Using Everyday Life Materials to Enhance Science Process Skills)

  • 김수경;차희영;김중복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54-764
    • /
    • 2005
  • 이 연구는 증등학생의 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실생활 소재 탐구모듈 개발 연구이다. 실생활소재를 사용하여 물, 열, 빛, 운동, 물질과 관련된 물리내용으로 모듈을 구성하였는데, 각 모듈 당 4-6개의 관련 활동들이 포함되어 있고, 각 모듈은 학생용 실험서와 교사용 지도서로 구성되어 있다. 모듈을 현장 물리 교사에게 워크삽을 통해 모듈의 목표, 내용, 활용 측면에서 타당도 평가를 받았는데, 모듈의 목표 측면에서는 79%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내용 측면에서는 77%, 활용 측면에서는 71 %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전체적으로 74 %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모듈의 개선점, 보완점등의 설문을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모듈을 완성하였다.

지체장애 인식에 대한 개념분석

  • 정명실
    • 대한간호
    • /
    • 제35권4호
    • /
    • pp.64-74
    • /
    • 1996
  • In general. social cognition for a disabled person seemed that he was limited aspects of emotion and psychology. Thus he was rejected. avoided. worthless and not accepted. People who have been raised in an ethnic collectivity often acquire from that experience not only basic conceps and attitudes toward health and illness but also fundamental styles of interpersonal behavior and concerns about the world. The effects of this enculuration carryover into health- care situation and also become an important influence on personal activities devoted to health maintenance and disease prevention. Our Korean culture is a state of tradition Confucianism. respects his honor and external feature. Therefore recognition of a disabled person is more specipic. This study uses Walker and Avant's process of concept analysis. The concep of recognition of disabilty can be defined as follows : Recognition of disability is a person's conscious process of sensation. perception. memory and thought and is constructed from value. attitude. emotion and expierince which is dynamics. and in everyday life is feeling that basic activity is not free and occurs interaction of envionment. Attributes of disability recognition are defined as 1) It is feeling that basic activity of his daily life is not free in everyday life. 2) It is a person's conscious process of sensation. perception. memory and thought. 3) It occurs interaction of enviornment. 4) It is constructed from value. attitude. emotion and experience. 5) it is dynamics ( changing but not stasis). Nurse is always suppoted and pushed him. She plans institutional and situational surroundings.

  • PDF

도시노인의 여가공간과 생활세계 (Life World and Experiences of Spaces of Urban Elderly in Korea)

  • 한경혜;윤성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3-121
    • /
    • 2009
  • Increased consensus among gerontologists exist on the need to pay greater attention to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and spati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struction of aged identity and everyday lives of old people. With urbanization, spaces are increasingly age-graded and as a consequence, urban elders are socially isolated from the community.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social interaction patterns in various places specifically designated for the elderly, such as the Senior Center, Senior Welfare Center, and Hall for the Aged in Seoul.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everyday life experiences of space the elderly people residing in the city go through. Data were gathered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Results show that such spaces were important sites for social interaction for urban elderly who lacked social spaces after retirement and active parenting role. Also, it was shown that each place presents different contexts for social interactions and certain components of social class differences existed. Heterogeneity within the participants of each place was also observed. Quite strong stereotypes about certain places were also observed among the urban elders. Based on these results, importance of developing a 'community perspective' in the study of old age is discussed.

  • PDF

인클루시브 디자인 특성을 적용한 가구 디자인 사례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f Furniture Design Applied Inclusive Design)

  • 백은;황소연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5
    • /
    • 2017
  • Even though, a quality of the daily goods and furniture are improving as increasing living standard, the neglected people have been left behind as ever. However, tools and furniture of everyday life a certain class that are alienated are left to the inconvenience of everyday life such as the difficulty of purchase route or incongruity with the surround living space. The design that can solve this problem is the inclusive design. When we look closely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inclusive design, we can find that researches on public facilities and industrial products are actively carried out based on the principles and features of the inclusive design, but studies in the field of furniture design are very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try to study the furniture design incorporating the inclusive design and to include specific stratum without alienating it. The research method is centered on product case analysis and suggested furniture design that 'everyone can use together'. This helps designs in realizing their social values by giving everyone the right to live an equal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