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luation of lecture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33초

대학 강의 질 개선을 위한 강의 평가 문항 분석 - 서울대학교 이공계열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Evaluation Inquiry of Lectures for the Improvement on University Lecture Quality - Focused on Liberal Art Courses of Engineering and Science Schools at SNU -)

  • 이희원;강호선;정연순;허은녕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4호
    • /
    • pp.52-63
    • /
    • 2005
  • 대학의 교육경쟁력 강화가 곧 국가경쟁력 강화와 연계된다. 서울대학교는 그간 대학교육의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여러 방안을 시행하여 왔으며 그 중 대표적인 한 방법이 강의 질의 개선을 위한 강의평가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강의평가는 학생과 교수가 평가의 주체가 되지 못할 뿐 아니라 대학의 본부나 평가 위원회에서 개설된 강좌나 담당교수에 대한 평가로 사용하고 있다. 이때 잘못된 강의평가 방식을 사용할 경우 강의평가가 원 목적인 교수와 학생과의 대화증진으로 인한 강의 개선의 역할보다는 강의 평가 점수를 이용한 강좌의 서열화 및 교수의 업적 평가의 용도만 사용될 우려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의의 서열화나 교수의 업적 평가를 위한 강의 평가가 아닌,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강의 평가 방식을 연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교수들을 대상으로 현재 시행중인 강의평가방식에 대 한 의견을 조사하고, 국내 대학에서 활용하고 있는 강의평가 방식과 평가 문항을 분석하였다. 특히 서울대학교 이공계열 교양과목을 평가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수강소감서 문항을 분석하고 현재 시행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강의평가 방법에 대한 고찰과 함께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강의 평가를 위한 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고찰함과 동시에 평가가 강의의 질 개선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개선점을 모색하였다.

4년제 간호대학(과)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Practicum of Fundamentals of Nursing in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 변영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9-176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practicum of fundamentals of nursing in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Method: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design surveying status of practicum of fundamentals of nursing from 47 schools. The instruments developed by investigator based on Shin's(2003) finding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AS and the content analyses. Result: 1) The aim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um were 'the acquirement of knowledge on fundamental nursing skill and attitude, and their implementations'. 2) 45 schools had their own practicum labs and the number of a group was 5 or 6. The mean number of student was 37.8 and the mean size of the labs was 169m2(${\pm}\;93.6$). 3) The credit of lecture and practicum ranged from 3 to 4 and in 32% schools, one professor and one teaching assistant were responsible for the practicum of fundamental nursing. 4) The teaching methods of practicum were shown as demonstration, role play, case study presentation, special lecture, video, computer simulation, and so forth. 5) The practice evaluation was used practice examination and students' self evaluation. Conclusion: The studies require of the contents and the evaluation method corresponding to the course objectives.

  • PDF

토픽 모델링 기반 비대면 강의평 분석 및 딥러닝 분류 모델 개발 (Analyzing Students' Non-face-to-face Course Evaluation by Topic Modeling and Developing Deep Learning-based Classification Model)

  • 한지영;허고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67-291
    • /
    • 2021
  •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전 세계적인 팬데믹으로 교육 현장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대학에서는 보조 교육 수단으로 생각했던 원격수업을 전면 도입하였고 비대면 수업이 일상화되어 교수자와 학생들은 새로운 교육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비대면 강의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강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코로나 전과 후로 변화된 대학 강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코로나 전과 후의 강의평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강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대학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또한, 딥러닝 언어 모델인 KoBERT를 기반으로 0.84의 F1-score를 보이는 토픽 분류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강의의 만족, 불만족 요인을 다각도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강의 만족도의 지속적인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SW 역량 인증제 관련 교과목 강의 평가 및 성과 분석 (Evalu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Lectures related to SW Competency Certification System)

  • 박혁규;강윤정;이민혜;원동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1-263
    • /
    • 2022
  • 소프트웨어 인력 수요에 대응해 소프트웨어 교육 체계를 혁신하고 창의 융합 사고를 갖춘 소프트웨어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 SW 중심대학 사업이 진행 중이다. 이 사업은 2015년 8개 대학을 선발하여 시작하였고, 2022년 9월 현재 기준으로 44개 대학이 참여 중에 있다. 2018년에 선정된 원광대학교 SW 중심대학 사업단은 SW 역량 강화를 위해 SW 역량 인증제를 채택하여 학생들의 관련 프로그램 참여를 활성화였다. 본 논문에서는 SW 역량 인증제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고, 관련 과목 학습자의 강의 만족도 및 인증제의 성과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제시된 분석 결과를 통해서 SW 역량 인증제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 PDF

환기시스템 설치 강의실에서 시스템에어컨과 팬코일유닛의 열쾌적성 및 환기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and Ventilation Performance in the Lecture Room with Ventilation System and Two Different Air-conditioning Systems: System Air-conditioner or Fan Coil Unit)

  • 한창우;노광철;오명도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7권11호
    • /
    • pp.1079-1087
    • /
    • 2005
  • In this paper, thermal comfort and ventilatio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 the lecture room with the ventilation system and two different air-conditioning systems, system air-conditioner or fan coil unit, were evaluated by experimental and numerical methods. We compared the measured data with the computational results of the predicted mean vote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dditionally the ventilation effectiveness was calculated numerically. From a viewpoint of the uniformity of PMVs in the lecture room, the thermal distribution performance of the system air-conditioner was more effective than the fan coil unit.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ventilation effectiveness were barely affected by the type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웹기반의 건강사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Multimedia Content for a Physical Examination and Health Assessment Course)

  • 오복자;김일옥;신성례;정회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94-1003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Web-based multimedia content for Physical Examination and Health Assesment. Method: The multimedia content was developed based on Jung's teaching and learning structure plan model, using the following 5 processes: 1) Analysis Stage, 2) Planning Stage, 3) Storyboard Framing and Production Stage, 4) Program Operation Stage, and 5) Final Evaluation Stage. Results: The web based multimedia content consisted of an intro movie, main page and sub pages. On the main page, there were 6 menu bars that consisted of Announcement center, Information of professors, Lecture guide, Cyber lecture, Q&A, and Data centers, and a site map which introduced 15 week lectures. In the operation of web based multimedia content, HTML, JavaScript, Flash, and multimedia technology(Audio and Video) were utilized and the content consisted of text content, interactive content, animation, and audio & video. Consultation with the experts in context, computer engineering, and educational technology was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these processes. Conclusions: Web-based multimedia content is expected to offer individualized and tailored learning opportunities to maximize and facilit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erefore, multimedia content should be utilized concurrently with the lecture in the Physical Examination and Health Assesment classes as a vital teaching aid to make up for the weakness of the face-to- face teaching-learning method.

SERVQUAL을 이용한 이러닝 학습자의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Measuring learner satisfaction in e-learning using SERVQUAL)

  • 구희진;박영택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1-170
    • /
    • 2010
  • Diffusion of e-learning has been accelerated according as the convenience and effectiveness have been increased rapidly due to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However, there has been few studies on systematic evaluation of its performance. SERVQUAL model was applied to evaluate the service quality of a 100% on-line lecture opened in a major Korean university. Two classes, one for 71 undergraduate students, the other for 79 graduate students, were opened for the lecture. The gaps between the expected service and the perceived service scores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sex, age, and e-learning experience. Although the gap scor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the gap scores among the other comparative groups were different. The perceived score of the older group with more than thirty ages was lower than that of the younger group. It seems that the older group evaluated the score based on the practical use of the subject since they are part-time students with jobs. Also, the perceived score of the group with previous e-learning experienc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 no e-learning experience. It seems that the experienced group evaluated it compared with the previous e-learning satisfaction. As it might be expected, the groups with higher perceived scores had stronger intention to recommend the e-learning lecture to other students.

대학에서의 식품과 영양 교양 과목의 사이버 컨텐츠 개발을 위한 조사 (A Study to Develop Food and Nutrition Cyberclass Contents for Nonmajor University Students)

  • 박명순;김성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539-545
    • /
    • 1999
  •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food and nutrition cyberclass contents for nonmajor students at university. We investigated universities which offered food and nutrition related courses in 1998 by a telephone survey in order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lecture contents for the nonmajor university students. We investigated to select the most needed lecture contents for the students, 15 questions on evaluation of cyberclasses which they took. The number of subjects were 140 students of ‘C’university who registered for nonmajor food and nutrition course in 1998. Among 140 students, 80 were cyberclass students and 60 were non cyberclass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ing : Fifty-five universities out of 62 had curriculums on food and nutrition in 1998 and 36,802 students attended the non major food and nutrition lectures. 84.9% of the respondents had their own computes and the main application mostly used was word processing. Additionally, 33.3% of them used on-line communications and 81.4% of them used internet. The most interesting subject of the respondents was ‘disease and nutrition management’. The male respondents were concerned more about ‘alcohol and health’, whereas the females were concerned about ‘obesity and weight control’.

  • PDF

웹 기반의 자바 프로그래밍 강의 교안 개발 (The Development of a Web-based Java Programming Course Contents)

  • 이충기
    • 공학교육연구
    • /
    • 제5권1호
    • /
    • pp.3-18
    • /
    • 2002
  • 최근에 인터넷과 웹의 이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를 교육에도 활용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교육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웹 기반 강의의 장점은 언제 어디서나 저렴한 비용으로 교육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웹을 이용하여 자바 프로그래밍을 배우고자 하는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바 프로그래밍을 웹 기반 강의로 가르치기 위한 교안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교안들은 프로그래밍 기법과 관련된 내용이 부족하고 흔히 실습 환경과 분리되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안 개발 방법과 개발 사례를 제시한다. 또한 교안의 학습자들에 의한 교안 평가 결과를 보고한다.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인터넷 기반 교육용 컨텐츠 개발 및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Internet-Based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Teacher Librarian's Competency)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55-373
    • /
    • 2009
  • 최근 학교도서관에서는 도서관협력수업을 통해서 교과학습과 동시에 정보활용능력을 신장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즉, 수업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사서교사 양성 체제는 제도적으로 미흡하고, 커리큘럼 편성에 있어서 사서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기반의 사서교사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컨텐츠를 개발하고, 컨텐츠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터넷 기반의 사서교사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컨텐츠는 강의 전용 저작도구인 LectureMAKER v2.0으로 제작하였으며, 5점 척도의 20개 문항으로 구성된 지필 검사지로 사전 사후 분석을 실시하여 개발한 컨텐츠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레빈의 등분산 검증과 대응표본 t-검정 기법을 적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