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patorium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9초

서울 남산공원의 식물상과 그 분포 (Flora and Distribution of Mt. nam Park, Seoul)

  • 길봉섭;유현경;김병삼;김현철;전의식;김영식;김창환;윤경원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5_3호
    • /
    • pp.603-631
    • /
    • 1998
  • Flora and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cluded introduced species of Mt. Nam park in Seoul were investigated from 1997 to 1998. The flora was composed of 112 families, 338 genera, 487 species, 1 subspecies, 60 varieties, 11 forma or 559 taca. Whole taxa of Mt. Nam calculated with the other reports were recorded 125 families, 461 genera, 832 species, 2 subspecies, 115 varieties, 14 forma or 963 taxa. Mt. nam area has lost its properties because of road and promenade construction, several park reclaimation, introduction of foreign species and exotic plants, and so on. The urbanized index (UI) was comparatively high at 18.3%. Eupatorium rugosum which shown high shade tolerance comparatively was occupied dominantly in road sides. The natural ecosystem and biodiversity of Mt. Nam were under threatened by introduced species. DBH mod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shown bell shape but that of Quercus mongolica was shown reverse J shape, therefore, it will be occupied in the future this area dominantly by Q. mongolica community. However the vegetation of Mt. nam park area are repressing by superior position in their growth of introduced species included R. pseudo-acacia, Ailanthus altissima and E. rugosum, etc.

  • PDF

남산에서의 임형과 토양 환경에 따른 서양등골나물의 분포 양상 (Distribution Pattern of Eupatorium rugosum in Various Forest Types and Soils in Mt. Namsan)

  • 길지현;심규철;전영문;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5호
    • /
    • pp.291-300
    • /
    • 2004
  • 서울 남산을 대상으로 임형과 토양 특성에 따른 서양등골나물의 출현과 분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양등골나물은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환경부 고시 생태계위해외래식물로 광조건이 좋은 길가와 계곡의 교란된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서양등골나물군락은 소나무림과 아까시나무림 하층에 주로 출현하였으며, 신갈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는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서양등골나물군락의 초본층 식별종은 주름조개풀과 담쟁이덩굴이었다. 서양등골나물의 피도와 우점수종의 피도는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ANOVA, p>0.05). 토양함수량, 유기물 함량, 수소이온농도, 표층의 두께(F-H layers)등 토양 환경 특성과 서양등골나물의 출현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서양등골나물이 출현한 군락에서 토양함수량 및 유기물 함량, 수소이온농도가 서양등골나물이 출현하지 않은 군락보다 다소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표층(F-H층)의 두께와 서양등골나물의 피도는 강한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다(p<0.05).

등골나물 추출물이 인간의 유방암세포인 MDA-MB-231 세포의 이동, 침윤 및 부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upatorium japonicum Extract on the Metastasis, Invasion and Adhesion of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 우은영;박소영;권수진;권규택;김종대;임순성;윤정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13-219
    • /
    • 2011
  • 등골나물은 국화과 여러해살이 식물로 한방에서는 고혈압, 폐렴, 황달, 홍역, 요통 등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등골나물의 꽃 부위를 추출하여 등골나물 추출물이 유방암 세포인 MDA-MB-231 세포의 이동, 침윤 및 부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MDA-MB-231 세포의 이동, 침윤 및 부착은 등골나물 추출물의 농도($0-20{\mu}g/mL$)가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등골나물 추출물은 MMP-9, MMP-2의 활성을 억제하였고, TIMP-1의 발현은 감소시킨 반면 TIMP-2의 발현은 증가시켰다. 또한, 등골나물 추출물은 uPA, VEGF 그리고 ICAM의 mRNA 및 단백질 수준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특히, 등골나물 헥산 분획물이 유방암세포의 이동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등골나물 추출물은 MMP-9, MMP-2, uPA, TIMP-1 및 ICAM의 감소, TIPM-2의 증가를 통해 유방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효능을 지닌 등골나물 추출물을 암전이에 효과가 있는 암예방제나 항암제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서양등골나물 휘발성 추출물의 알레로파시 효과 (Allelopathic Effect of Volatile Extracts from Eupatorium rugosum)

  • 길지현;심규철;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3호
    • /
    • pp.135-139
    • /
    • 2005
  • 서양등골나물의 휘발성 추출물에 포함된 terpenoid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고, 주요 물질 4종에 대한 종자발아와 유식물 생장을 조사하였다. 서양등골나물 정유에 포함된 화합물의 수는 $\beta$-caryophyllene, $\alpha$-terpinenol, chamazulene, bornyl acetate, $\alpha$-pinene등 총 49종이었으며, 그 중 3종은 미확인되었다. 서양등골나물의 정유로부터 분리 확인한 휘발성 화학물질 중 다량 함유되어 있거나 중요한 성분으로 판명된 $\alpha$-pinene, bornyl acetate, linalool 및 terpinen-4-ol 등 4종의 물질에 대한 녹두의 발아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linalool과 terpinen-4-ol에 의해서는 녹두의 종자가 전혀 발아하지 못하여 발아 억제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보인다. 정유 내 화합물에 의한 녹두 유식물의 초기 생장 결과, $\alpha$-pinene과 bornyl acetate에 대한 묘조와 유근의 생장은 농도에 따라 점점 억제되었고, linalool과 terpinen-4-ol에 대해서는 실험구에서 생장 반응이 나타나지 않을 만큼 강하게 억제반응이 나타났다. 생체량에 있어서 $\alpha$-pinene의 경우 58 ${\mu}l$ 이상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bornyl acetate의 경우에는 19 ${\mu}l$ 이상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이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정유 내에 포함된 서양등골나물의 알레로 화합물 중 생물검정에 사용된 $\alpha$-pinene, bornyl acetate, linalool과 terpinen-4-ol은 식물의 발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주요한 물질 중 하나로 생각되며, 특히 linalool과 terpinen-4-ol은 다른 식물의 생장을 감소시키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산 야생식용식물이 당뇨 유발 흰쥐의 혈당과 에너지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rean Wild Vegetables on Blood Glucose Levels and Energy Metabolite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임숙자;원새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39-647
    • /
    • 1997
  • The hypoglycemic effects of five Korean wild vegetables, Aralia continentalis (A. con.), Castanea crenata (C. cre.), Xanthium strumarium (K, str.), Alisma canaliculatum (A. can,) and Eupatorium chinense var. simplicifolium for tripartium (E. tri) which have been utilized for the traditional remedie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Diabetes mellitus was induced in male Sprague-Dawley rats by injections of streptozotocin (STZ) into the tail veins at a dose of 45 mg/kg. Five groups of STZ-induced diabetic rats were fed one of each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10% of the Korean wild vegetable powder and normal and STZ-control rats were fed the control diet for five weeks. The body weight change, feed efficiency ratio (FER) and organ weights were compared. The plasma levels of glucose, protein,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and aminotransferase activity were determined. Mineral (Ca, K, Mg, Na, Cu, Fe, Mn and Zn) contents of the Korean wild vegetables were analyzed. The body weight gain was higher in normal, C. cre., A. can. and E. tri. groups than in the diabetic control group. The FER of C. cre., A. can. and E. tri.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diabetic control group. Liver weight was heavier in A. con., X. str. and A. can. groups compared with the diabetic control group. The weights of kidney were lighter in all five Korean wild vegetable groups than in the diabetic control group. After five weeks, the plasma glucose level tends to be decreased in A. con., A. can. and E. tri. groups. Plasma cholesterol level was decreased the Korean wild vegetables except for X. str. group. Plasma HDL- 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 con., A. can. and E. tri. groups compared with the diabetic control group. Plasma triglyceride and free fatty acid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X. str. group compared with the diabetic control group. Mineral contents were higher in E. tri. (Ca, K, Na and F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akes of A. con., A. can. and E. tri. have a hypoglycemic effect in diabetic rats showing the possibility as the valuable food resources for the prevention of diabetic mellitus.

  • PDF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 보유 유용 식물 탐색 (Screening of Useful Plants with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 이승은;최재훈;이정훈;노형준;김금숙;김진경;정해영;김승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1-449
    • /
    • 2013
  • 본 연구는 식물자원을 재료로 하여 in vitro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함으로써 기능성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유망 후보자원을 발굴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식물추출물 38종을 대상으로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 염증 관련지표(nitric oxide, TNF-${\alpha}$, IL-6, $I{\kappa}B{\alpha}$, iNOS, COX-2) 및 항산화항목(DPPH 라디칼 소거능, LDL 산화저해능) 및 총페놀 함량에 대한 효과를 탐색하고 결과로부터 8종의 시료를 1차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8종의 시료에 대해서는 다시 농도별로 세포증식에 대한 효과, iNOS, COX-2의 발현 및 NF-${\kappa}B$ 전사에 대한 영향, peroxynitrite, ROS, nitric oxide 생성에 대한 $IC_{50}$ 값을 분석하여 보다 가능성이 있는 식물을 유망후보자원으로 선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소사나무(가지), 등골나물(잎), 으름(꽃) 및 개모시풀(뿌리)은 항염증 혹은 항산화활성이 우수하나 농도에 따라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므로 활용에 주의가 필요해보였으며, 어저귀(잎)은 항염증활성과 항산화활성이 비교적 우수하고 실험된 처리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어 향후 in vivo 활성 검정 등 심화연구를 통해 그 활용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서양등골나물의 환경적응력 : 중금속 축적과 Phenolic Compounds의 관계 (Environmental Adaptability of Eupatorium rugosum : Relationship between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and Phenolic Compounds)

  • 김용옥;박종야;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1호
    • /
    • pp.5-12
    • /
    • 2003
  • 서양등골나물의 잎 추출액을 미국자리공을 비롯한 5종의 식물에 처리하여 종자발아와 유식물생장을 조사하였고, total phenolic compounds와 중금속 이온을 서양등골나물의 분포에 따라 잎과 토양에서 분석하였다. 서양등골나물의 잎 추출액에 의한 미국자리공의 초기생장은 10%와 25%농도에서 촉진되었고, 토양 추출액의 total phenolic compounds는 잎 추출액의 total phenolic compound 보다 낮았다. 토양의 total phenolic compounds는 대조구와 10%, 25% 농도로 처리된 토양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자연상태에서 잎 추출액 25%가 threshold 농도임을 확인하였다. 서양등골나물의 total phenolic compounds는 신갈나무림 임상에서 1.66 mg/1, 임연에서는 1.09 mg/l로 조사되었으므로 상부식생에 따른 total phenolic compounds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각 토양에서는 상부식생에 따라 total phenolic compounds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서양등골나 물의 잎 추출액 처리시 애기수영과 강아지풀의 발아율은 50% 이상의 농도에서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차풀의 발아율은 추출액의 농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유묘와 유근생장은 귀화종 그룹보다 자생종 그룹이 2배 이상 억제되었으며, 특히 서양등골나물의 추출액 농도 10%와 25%가 처리된 서양등골나물의 종자발아와 건중량은 대조구보다 촉진되었다. 서양등골나물의 phenolic compounds를 HPLC로 분석한 결과 caffeic acid (460.9 mg/1), benzoic acid (109.7 mg/l), protocatechuic acid (7.3 mg/l), ρ-hydroquinone (6.0 mg/l), cinnamic acid (2.7 mg/l), hydroquinone (0.23 mg/1) 순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서양등골나물의 phenolic compounds 각각에 대한 미국자리공의 발아율은 caffeic acid (460.9 mg/l)치 농도가 높을지라도 이것이 낮은 cinnamic acid와 protocatechuic acid에서 현저한 억제현상을 보였다. 서양등골나물 임상의 토양보다 서양등골나물이 분포하지 않는 토양의 중금속 함량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특히 Al, Fe 및 Mn의 함량이 높았으며 이들 중금속은 total phenolic compound 함량이 높은 잎에 대부분이 축적되었다.

등골나물추출물의 혈관 평활근 세포의 비정상 증식에 대한 억제 효과 및 분자기작 (Effect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Eupatorium chinensis var. simplicifolium Extract on Abnormal Prolifer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 김민정;김지희;이진호;김민아;우근정;김한성;김택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787-795
    • /
    • 2021
  • 등골나물은 오랫동안 음식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한방에서 한약재로 사용되어왔으며, 특히 등골나물 추출물은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보고되었다. 심혈관 질환인 동맥경화증은 동맥 혈관에서 발생하는 만성 염증이며 다양한 질환에 관여하고 있다. 재협착 및 신경병증 증식과 같은 심혈관 질환은 주로 혈관 평활근 세포의 다중 성장인자로 인한 비정상적인 성장과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며, 혈소판유래 성장인자는 손상된 혈관벽에서 방출되며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 및 이동에 관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 및 이동에 대한 등골나물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하였고, 혈소판유래 성장인자로 유도된 혈관 평활근 세포내에서 신호전달 경로를 조사하였다. 혈소판유래 성장인자로 유도된 혈관 평활근 세포에서 등골나물 추출물의 전처리는 세포 증식 및 이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세포 내 신호전달 경로 AKT, phospholipase C gamma (PLC-γ) 및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의 웨스턴 블롯 실험 결과, 이들 경로의 인산화 억제를 확인하였다. 유세포분석 데이터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 세포주기가 등골나물 추출물에 의해 차단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혈소판유래 성장인자가 세포주기와 세포 내 신호전달 인자를 조절하여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억제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는 등골나물 추출물이 혈관 평활근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 및 이동을 차단하여 심혈관 질환 예방에 하나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서울 인왕산의 침입외래식물 특성 및 관리방안 (Invasive alien plant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Measures in Mt. Inwang, Seoul)

  • 차두원;반수홍;오충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9-96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management of the invasive alien plants in Mt. Inwang located in central Seoul. The invasive alien plants are 11 families, 34 genera, 30 taxa, and they are 10.8% of the total vascular plants(314 taxa). The ecosystem disturbed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 environment ministry are 6 taxa : Rumex acetosella, Lactuca scariola, Ambrosia trifida var. trifida,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and Eupatorium rugosum. In the life-form, herbaceous perennials are 13 taxa(35.3%). In the continent of origin, the species from America are 20 taxa(58.8%). In the introduction time, the species of third period are 14 taxa(41.2%). In the diffusion grade, 5 grade species are 14 taxa(41.2%) and they are wide spread species. Mt. Inwang was designated as ecological scenery conservation area of Seoul in 2007. But Mt. Inwang is in high danger by the spread of invasive alien plants and ecosystem disturbed plants, due to artificial factors such as development pressure and the occurrence of byway trail. Therefore, Mt. Inwang needs systematic management of invasive alien plants and monitoring of long-term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