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clid geometry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3초

Euclid 원론과 Clairaut 원론의 비교를 통한 기하 교육에서 논리와 직관의 고찰 (Revisiting Logic and Intuition in Teaching Geometry: Comparing Euclid's Elements and Clairaut's Elements)

  • 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0
    • /
    • 2021
  • Logic and intuition are considered as the opposite extremes of teaching geometry, and any teaching method of geometry is to be placed between these extre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logical and intuitive approaches for teaching geometry and to derive didactical implications by taking Euclid's Elements and Clairaut's Elements respectively representing the extremes. To this end, comparing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each book, we analyze which propositions Clairaut chose from Euclid's Elements, how their approaches differ in definitions, proofs, and geometrical constructions, and what unique approaches Clairaut took. The results reveal that Clairaut mainly chose propositions from Euclid's books 1, 3, 6, 11, and 12 to provide the contexts that show why such ideas were needed, rather than the sudden appearance of abstract and formal propositions, and omitted or modified the process of justification according to learners' levels. These propose a variety of intuitive strategies in line with trends of teaching geometry towards emphasis on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different levels of justification. Specifically, such as the general principle of similarity and the infinite geometric approach shown in Clairaut's Elements, we could confirm that intuition-based geometry does not necessarily aim for tasks with low cognitive demand, but must be taught in a way that learners can understand.

Euclid 원론과 Pardies 원론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uclid's Elements and Pardies' Elements)

  • 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3-53
    • /
    • 2020
  • Euclid's Elements has been considered as the stereotype of logical and deductive approach to mathematics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Nonetheless, it has been criticized by its dryness and difficulties for learning. It is worthwhile to noticing mathematicians' struggle for providing some alternatives to Euclid's Elements. One of these alternatives was written by a French scientist, Pardies who called it 'Elemens de Geometrie ou par une methode courte & aisee l'on peut apprendre ce qu'il faut scavoir d'Euclide, d'Archimede, d'Apllonius & les plus belles inventions des anciens & des nouveaux Geometres.' A precedent research presented its historical meaning in traditional mathematics of China and Joseon as well as its didactical meaning in mathematics education with the overview of this book. However, it has a limitation that there isn't elaborate comparison between Euclid's and Pardies'in the aspects of contents as well as the approaching method. This evokes the curiosity enough to encourage this research. So,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Pardies' Elements and Euclid's Elements. Which propositions Pardies selected from Euclid's Elements? How were they restructured in Pardies' Elements? Responding these questions, the researcher confirmed his easy method of learning geometry intended by Pardies.

수학사적 관점에서 본 피타고라스 정리의 증명 (Proof of the Pythagorean Theorem from the Viewpoint of the Mathematical History)

  • 최영기;이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4호
    • /
    • pp.523-533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피타고라스 정리에 대한 피타고라스와 유클리드의 증명의 의미를 역사적, 수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피타고라스의 닮음비에 의한 증명 방법은 통약성이라는 수에 대한 가정에 근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 유클리드는 통약성이 필요 없는 분해 합동이라는 순수한 기하학적 방법으로 다시 증명하였다. 피타고라스 정리의 증명에서 엿볼 수 있는 피타고라스와 유클리드의 기하에 대한 다른 접근 방식을 현 학교 기하의 바탕이 되는 Birkhoff와 Hither 공리계와 연관하여 논의하였다. Birkhoff는 엄밀하게 정의된 실수 개념을 상식으로 수용하여 현대수학적인 평면 기하 공리계를 제안하였으며, Hilbert는 실수 개념에 의존하지 않는 순수한 기하학을 추구했던 유클리드적 정신을 계승하였다. 따라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대한 닮음비와 분해합동을 이용한 증명, 또 넓이에 의한 증명과 넓이가 같음에 의한 증명의 차이는 전통적인 유클리드의 종합기하적 전개와 현대수학적 전개사이의 갈등이라는 기하 교육에서 아직도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논점과 관련이 있다.

  • PDF

'점'과 '선'에 관한 수학적 분석과 교과서 분석 (Mathematical analysis and textbooks analysis of 'point' and 'line')

  • 이규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39-5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점'과 '선'을 '크기' 관념에 주목하여 수학적 분석을 하고, Euclid 기하의 관점에서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1의 기본도형 내용영역과 미국 기하(Geometry)의 교과서 서술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점'과 '선분'을 '크기' 관념에 주목하여 수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1) '무한소'의 인정과 배제, 2) '측도론'과 '집합론'에 따라 수학적 관점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점'과 '선'에 관한 교과서의 서술을 Euclid 기하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1) 대부분의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1의 기본도형 내용영역에서는 '크기'가 있는 점과 선을 소개 혹은 직접 그리는 학습활동을 제시한 후, 점과 선의 '관계'를 서술하는 방식으로 전개하고 있었으나, 2) 대부분의 미국 기하 교과서에서는 크기가 있는 점과 선을 소개한 후, '무정의 용어'인 점과 선에 대하여 기하에서의 '점은 크기가 없고', '선은 두께가 없음'을 각각 명시적으로 서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1의 기본도형 내용영역에서의 점과 선에 관한 서술이 잠재적으로 Euclid 기하의 관점에 해당하지 않는 수학적 직관을 생성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교수학습 과정에서 이에 대한 언어적 표현의 주의가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Pardies의 《기하 원론》 탐구 (Study on Pardies' 《ELEMENS DE GEOMETRIE》)

  • 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291-313
    • /
    • 2018
  • This study aims to analyze Pardies' ${\ll}$Elements of geometry${\gg}$. This book is very interesting from the perspectives of mathematical history as well as of mathematical education. Because it was used for teaching Kangxi emperor geometry in the Qing Dynasty in China instead of Euclid's which was considered as too difficult to study geometry. It is expected that this book suggests histor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because it appeared in the context of instruction of geometry in the seventeenth century of mathematical history. This study includes the analyses on the contents of Pardies' ${\ll}$Elements of geometry${\gg}$, the author's advice for geometry learning, several geometrical features, and some features from the view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of which the latter two contain the comparisons with other authors' as well as school mathematics. Moreover, some didactical implications were induc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초.중등 수학 교과서에서 기하 양 사이의 비례관계의 전개 방식에 대한 역사적 분석 (A review on the change of content and method of geometry in secondary school with a focus on the proportional relations of geometric figures)

  • 권석일;홍진곤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1-114
    • /
    • 2006
  • 현 중학교 기하는 그 내용적 근원을 $\ll$Eulcid원론$\gg$ 에 두고 있으나, 그 체제 및 내용 전개 방식에 있어서는 $\ll$Eulcid원론$\gg$과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이는 현 수학 교과서의 기하 부분이 $\ll$Eulcid원론$\gg$이 가지고 있는 수학적 엄밀성과 형식성을 완화시켜 교육적으로 건전한 출발점을 찾고자 하였던 여러 파지 시도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하의 내용 중에서 기하 양 사이의 비례관계는 Euclid 당시의 그것과 오늘날의 방법이 매우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비례관계가 교육적 난점을 가지고 있었음을 드러낸다. 본 논문은 비례관계를 교육함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시도되었던 변화 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여 이로부터 중학교 기하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Byrne의 'Euclid 원론'에 기초한 증명 지도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Teaching of Proofs based on Byrne's Elements of Euclid)

  • 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173-192
    • /
    • 2013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하영역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 중 하나는 엄밀한 형식적인 증명대신 도형의 성질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활동으로의 대치이다. 이는 수학교육의 꾸준한 논쟁거리였던 증명 교육과 관련한 학습자의 이해 수준 및 어려움을 고려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기하 증명시 경험하는 어려움 중 도형을 지칭하는 문자 및 형식적 기호를 사용한 증명 작성, 기호로 길게 제시된 증명 이해에서 비롯되는 형식적 특성의 것에 주목한다. 증명의 아이디어와는 별개로 문자 및 기호 사용에서 비롯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문자 대신 채색된 그림이라는 시각적 표현을 이용함으로써 독자의 학습을 쉽게 하려고 했던 Byrne의 'Euclid 원론'에 사용된 증명 방법을 이용하여 지도해봄으로써 오늘날 기하 수업에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기하 단원의 세 개 정리에 대한 증명을 원문, 역동적 표현, 교사의 판서 등 세 개의 매체를 활용한 Byrne의 방법으로 지도하고, 학생들의 활동결과 및 학생과 교사의 설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대안의 장단점을 토대로 적용 가능성을 논의한다.

  • PDF

수학사 고찰을 통한 교과서의 닮음 정의에 대한 분석과 비판 (An Analysis and Criticism on the Definition of the Similarity Concept in Mathematical Texts by Investigating Mathematical History)

  • 최지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4호
    • /
    • pp.529-546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닮음 개념의 변천 과정에 대한 수학사 고찰을 바탕으로, 현재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닮음 정의를 분석하고 비판하는 것이다. 우선, 피타고라스학파의 닮음 정의, Euclid ${\ll}$원론${\gg}$의 닮음 정의, Clairaut의 ${\ll}$기하학원론${\gg}$의 닮음 정의, Birkhoff와 Beatly의 ${\ll}$기초기하학${\gg}$, SMSG의 ${\ll}$기하학${\gg}$의 닮음 정의를 분석하고, 현재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닮음 정의를 분석하였다. 수학사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의 닮음 정의를 세 가지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확인된 문제점에 대한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 PDF

졸트 공리의 역사적 고찰 (A historical study of de Zolt's axiom)

  • 조경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261-287
    • /
    • 2017
  • De Zolt's axiom which is a precise formulation of Euclid's Common Notion 5, "the whole is greater than the part", for the notion of 'content' holds in any Hilbert plane. In this article, we study the history of de Zolt's axiom which has its origin in Euclid's Common Notions, and introduce an example of a plane geometry in which de Zolt's axiom does not hold. We show that there is no area function in this geometry and every square is equidecomposable with a square which is properly contained in the first one. From this we also show that there are two equidecomposable rectangles which have the same base and do not have the same altitude, and there is a rectangle which is equicomplementable with an emptyset.

Clairaut의 <기하학 원론>에 나타난 역사발생적 원리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historico-genetic principle revealed in Clairaut's )

  • 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351-364
    • /
    • 2003
  • Clairaut의 <기하학 원론>은 Euclid의 <원론>의 논리-연역적인 전개 방식에 대항하여 역사발생적 원리에 입각하여 쓰여진 최초의 기하 교재이다. 본 논문은 <기하학 원론>을 고찰함으로써 Clairaut가 생각한 역사발생적 원리를 파악하고, 아울러 학교 수학에의 적용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기하학 원론>의 내용 전개 방식으로부터 저자의 기본 아이디어에서 비롯된 다섯 가지 특징을 추출한다. 필요에 의한 기하의 출현, 실생활 문제 해결을 통한 접근, 초보자에게 자연스런 방법으로서 직관적 요소와 논리적 요소의 조화, 기본 원리의 파악, 활동적 원리의 구현. 이러한 특징은 Clairaut의 역사발생적 원리를 구체적으로 드러내며, 기하 영역의 교재 구성 및 교수 실제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학교 기하에서 매우 유용한 두 개의 정리를 예로 들어 그의 역사발생적 원리를 재음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