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 methane sulfonat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1초

Selectiv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chwanniomyces castellii Mutants with Increased Production of a-Amylase and Glucoamylase

  • Ryu, Yeon-W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2호
    • /
    • pp.95-98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solate and characterize the mutant strains of Schwanniomyces castellii NRRL Y-2477. Mutants were prepared with the treatment of ethyl methane sulfonate. 2-deoxy-D-glucose resistant mutants were isolated and two muta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high production of amylolytic enzymes and their ability to ferment starch. The mutants selected had higher a-amylase and glucoamylase activities than the wild type strain from several other carbon sources. Especially, it was revealed that mutant strain M-9, when cultured in the presence of glucose as a sole carbon source, shows relatively high activities of a-amylase and glucoamylase compared to those of the wild type strain. In result, this mutant strain can be considered as a constitutive producer of amylolytic enzymes. To compare the ethanol production ability of wild type strain and of mutant strains selected, an alcohol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using 100 g/l soluble starch. Mutant strain M-9 did not improve the direct alcohol fermentation of starch, despite its excellent amylolytic activities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mutant strain M-6 produced 37.9 g/l (4.8%, v/v) ethanol by utilizing about 82% of substrate.

  • PDF

Improvement of Permeability to Organic Solvent in Escherichia coli for a Toxicity Biosensor

  • Bae, Hee-Kyung;Shin, Pyong-Kyun;Song, Bang-H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1년도 Proceedings of 2001 KSAM Annual Meeting
    • /
    • pp.14-16
    • /
    • 2001
  • The outer membrane (OM) of gram-negative bacteria acts as an effective permeability barrier against noxious agents including several antibiotics and organic solvents, and lipopolysaccharide (LPS) is the key molecule for this function. Outer membrane modified mutants (Ml-166, M2-42, M3-21) of E. coli DH5$\alpha$/pBSl were selected through a mutation using EMS (ethyl-methane-sulfonate). Among the selected mutants, M3-21 was twice as sensitive as LumisTo $x^{ }$ to benzene and M2-41 was 8 times as sensitive as LumisTo $x^{ }$ to toluene. To identify the structural change in the membrane by mutation, the relative cell surface hydrophobicities and the absorption of the crystal violet to the organisms were measured. All the mutants absorbed more crystal violet than their parent and the absorption of crystal violet increased in cell walls as carbohydrate of lipopolysaccharide decreased. When the cell surface hydrophobicities of DH5/pBSl and its mutants were measured by the BATH, the hydrophobicities of mutants increased compared to their parent in several organic solvents. The difference of lipopolysaccharide between DH5/pBSl and its mutants was identified by various ways such as the SDS-PAGE gel, the screening of LPS molecular weights, the mass spectrometry, and MALDI-TOF.F.

  • PDF

지질과 phycobiliproteins 고생산성 Arthrospira platensis 변이주 분리 (Isolation of Arthrospira platensis Mutants Producing High Lipid and Phycobiliproteins)

  • 김영화;이재화
    • KSBB Journal
    • /
    • 제27권3호
    • /
    • pp.172-176
    • /
    • 2012
  • In this study, microalgae Arthrospira platensis (A. platensis) mutants induced by ethyl methane sulfonate (EMS) and further selection for resistance of cerulenin, a potent inhibitor of fatty acid synthase, were characterized. The mutants selected by $2{\mu}M$, $5{\mu}M$ and $10{\mu}M$ of cerulenin were designated EC2, EC5 and EC10, respectively. Under normal growth conditions, the mutants and parental strain exhibited similar growth pattern. The mutants of A. platensis showed enhanced lipid accumulation and phycobiliproteins (phycoerythrin, phycocyanin). The lipid content of mutants EC2 and EC5 was about 4.4 and 4.8-fold higher than wild type. The phycoerythrin and phycocyanin content of mutants EC2 and EC5 was increased about 1.5 and 6.9-fold and 1.4 and 3.8-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wild type. The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 of mutants was slightly increased. The high lipid and pigment contents exhibited by A. platensis mutants would make an excellent candidate for the production of commercially interesting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수도종자에 EMS와 MMS의 처리조건에 따른 건조저장효과와 품종간차이 (Varietal Differences and Drying Storage Effects for Some Treatment Conditions of EMS and MMS on Rice Seeds)

  • 김영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2권
    • /
    • pp.55-62
    • /
    • 1972
  • 인도형 수도종자(품종 : Dunghan Shali)에 전침지시간과 2% EMS 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습윤한 종자와 건조저장종자에서 생물학적 영향의 한 기준으로서 묘장과 발아율을 조사하였든바 습윤한 종자의 묘장에서 EMS 처리시간의 증가에 따라 그 감소는 특히 36시간 전침지하므로서 크게 나타났고 발아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건조저장한 종자에서는 묘장이나 발아율이 전침지와 처리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율이 크게 나타났다. 저장기간의 변동에 따른 발아율과 묘장에서는 건조 1주일부터 8주일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인도형 수도품종 : Taichung Native No.1, Dunghan Shali 및 IR-8의 건조종자를 2% EMS와 2.5% MMS로 처리하여 품종간에서 건조저장에 따른 생물학적 장해를 조사한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ethyl group의 독성이 Ethuyl group의 화학약품처리에서 보다 묘생장이나 발아율에서 크게 나타났다. 2) 건조저장한 종자에서는 건조후 6-3일까지는 생육장해가 증대되어 최대에 달하였다. 그러나 IR-8에서만 미한 묘생장의 감소를 보였고 발아율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품종간 차이로서는 화학약품별 건조저장일수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감수성에 대한 품종간 유전적 차이 정도로서 인정할 수 있었다.

  • PDF

EMS-induced Mutagenesis for C18 Unsaturated Fatty Acids in Rapeseed (Brassica napus L.)

  • Lee, Yong-Hwa;Kim, Kwang-Soo;Jang, Young-Seok;Choi, In-H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128-133
    • /
    • 2014
  • Rapeseed (Brassica napus L.) oil with high oleic acid content is of great interest for both food and non-food uses. The 'Tamla' variety, characterized by oleic acid content of approximately 69%, was treated with 1% ethyl methane sulfonate (EMS) to induce mutations in the fatty acid biosynthesis pathway. $M_1$ plants were selfed and subsequent generations ($M_2$, $M_3$, and $M_4$ mutants) were analyzed to identify mutants having increased levels of oleic acid. $M_2$ mutants showed oleic acid content ranging from 13.5% to 76.9% with some mutants (TR-458 and TR-544) having up to 74.7% and 76.9% oleic acid, which was an increase of nearly 5% and 7%, respectively, compared to untreated cv 'Tamla'. We selected two $M_3$ mutants with >75% oleic acid content. One mutant (TR-458-2) had increased oleic acid (75.9%) and decreased linoleic acid (12.5%) and linolenic acid (4.4%) contents. The other (TR-544-1) showed increased oleic acid content (75.7%) and decreased linoleic acid (13.5%) and linolenic acid (3.3%) contents. The accumulation or reduction of oleic acid content in the selected $M_4$ mutants was also accompanied by a simultaneous decrease or increase in linoleic and linolenic acid contents. The high-oleic lines could be utilized further in breeding programs for improvement of rapeseed oil quality.

EMS 처리에 의한 풍산나물 콩 돌연변이 집단에서 지방산 조성 변이 (Variation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Soybean'Pungsannamul' Mutation Population from EMS Treatment)

  • 채종현;다칼크리쉬나하리;아세코바소베툴;송종태;이정동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45-50
    • /
    • 2013
  • 새로운 유전자원을 창출하기 위해 풍산나물콩에 EMS를 처리한 후 돌연변이 집단을 육성하고, 돌연변이 계통 중 지방산 함량에 대한 변이체를 찾아 콩 유전육종 재료를 선발하고자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M2 3,744개체중 형태적 변이를 보이는 1,000개체를 선발하여 M4 세대에서 난쟁이형 (3.3%), 엽형변이 (2.6%), 엽록소결핍 (1.5%), 꽃색변이 (1.1%), 엽형변이를 보이는 난쟁이형 (0.2%)의 변이가 관찰되었다. 야생형인 풍산나물콩의 지방산 함량은 palmitic acid 11.6%, stearic acid 3.4%, oleic acid 25.3%, linoleic acid 52.0%, linolenic acid 8.1%를 나타내었다. M4 892 개체의 종자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함량은 각각 7.4~19.7%, 2.2~13.0%, 14.7~49.0%, 31.8~63.9%, 3.9~15.9%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10.8%, 3.8%, 25.3%, 52.0%, 8.1%의 평균을 보였다. 각각의 지방산 별로 선발된 돌연변이 개체들은 다음과 같다. 고 palmitic acid 함량을 나타내는 PE1542 (17.1%), PE3058 (17.0%), 고 stearic acid 함량을 나타내는 PE977 (12.7%)와 저 stearic acid 함량을 나타내는 PE2166 (1.9%), 고 oleic acid 함량을 나타내는 PE450 (44.4%), PE2742 (47.7%), PE3058 (33.4%), 저 linolenic acid 함량을 나타내는 PE594 (4.6%), PE1690 (3.7%)와 고 linolenic acid 함량을 나타내는 PE2166 (12.6%) 등이 선발되었다.

  • PDF

돌연변이 유기에 의한 대두 품종개량연구 -I. 대두에 대한 EMS, EI 및 ${\gamma}$선처리효과비교(예보) (Studies of Soybean Improvement by ${\gamma}$-ray and Chemical Mutagens -I.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EMS, Ei, and ${\gamma}$-rays in soybean(preliminary report))

  • 권신한;임건혁;손청열;은종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9-144
    • /
    • 1969
  • 본실험은 대두품종 장단백일과 Clark의 건조종자에 ${\gamma}$선, EMS, EI, 및 ${\gamma}$선과 화학약품과의 조합처리로써 조열, 내도복, 고단백, 다수성 등 유용한 돌연변이계통을 선발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는데 기초자료로써 처리상대의 돌연변이유기물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1. ${\gamma}$선의 조사는 장단백일에서 선량증가에 따라 발아 및 생잔율에 큰 장해를 주었으나 Clark에서는 일정한 경향을 찾아 볼 수 없었다. EH한 초장에 있어서는 양 품종 모두 선량이 증가 할수록 고도의 유의성이 있는 생장장해를 보였다. 2. Chemical mutagens을 처리한 경우는 양 품종 똑같이 Ei의 농도가 증가함에 유의성있게 발아율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EI의 0.003 Mol. 농도에선 아주 극심한 장해를 나타내고 있다. EMS처리는 발아와 생잔율에 유의성있는 변화를 주지 못했으나 초장에서 장단백일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생육장해가 나타났다. Clark에선 일정한 경향을 찾아 볼 수 없었다. 3. ${\gamma}$선 24KR과 FMS 각 농도를 조합처리한 것은 EMS 단독처리 보다 유의하게 발아율이 떨어졌으며 EI과의 조합처리구에서는 ${\gamma}$선 24KR+EI 0.002 Mol을 제외한 각조합처리의 발아율은 EI 단독처리보다 오히려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생잔율에서는 뚜렷한 경향을 찾지 못하였으나 초장에선 ${\gamma}$-선 24KR+EMS 각 농도조합과 그 단독처리구를 비교할 때, 양 품종 모두 고도의 유의차로 조합처리가 생육장해정도를 크게 나타냈다. EI와 ${\gamma}$-선 조합처리가 저농도에서는 초장의 감소를 나타냈으나 ${\gamma}$-선24KR+EI 0.008Mol. 처리구에선 장단백일의 파종후 21일만 제외하고 단독처리구 보다 초장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4. 일반적으로 본 실험에선 발아율과 생잔율이 EMS 단독 및 ${\gamma}$-선+EMS 처리구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았으며 EI 및 ${\gamma}$-선+EI 처리구에선 그 고농도구에서 발아율을 감소시켰으나 초장에 나타나는 생육장해는 적었고 오히려 촉진되는 경향도 있었다. 5. 발아율, 생잔율 및 초장을 기준으로 한 감수성을 비교해 보건데 대체적으로 장단백일은 Clark에 비해 매감하였으며 이는 그 감수성이 유전인자구성에 따라 크게 차이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 PDF

EMS 유도 내염성 증진 사료용 옥수수 돌연변이체 선발 및 특성 분석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EMS-induced Mutants with Enhanced Salt Tolerance in Silage Maize)

  • 조철오;김경화;서미숙;최만수;전재범;진민아;김둘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406-415
    • /
    • 2020
  • 본 연구는 간척지 내 재배 가능한 내염성 사료용 옥수수를 선발하기 위해 EMS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집단을 구축하고 기내 선발 방법을 통해 내염성 증진 계통을 선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료용 옥수수 모본인 KS140에 다양한 조건으로 EMS를 처리하여 발아율 및 식물의 생육 상태를 조사하였고, 발아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생육에 큰 영향을 주지않는 0.5% EMS를 돌연변이 유도 적정 농도로 선정하였다. 2. 기내 선발 방법을 통해 선발된 내염성 증진 계통 140ES91 계통을 이용하여 0.5% 염분 스트레스 처리 후 표현형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인 KS140 대비 식물의 초장 및 근장의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높은 proline 함량과 기공전도도를 보였다. 따라서 염분 스트레스 시 높은 proline 함량과 기공전도도가 140ES91 계통의 증가된 내염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 내염성 증진 140ES91 계통의 유전변이 분석을 통해 유전자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미노산 변이를 유발하는 39개의 변이 유전자를 확인하였고, 변이 유전자와 내염성의 관계를 증명하기 위한 유전자 기능 분석이 요구된다. 4. 기 보고된 내염성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조사한 결과 ABP9과 CIPK31 유전자는 대조군 대비 염분 스트레스 처리 전후 140ES91 계통에서 높은 발현율을 보였으며, CIPK21 유전자는 염분 스트레스 처리 후 대조군에는 발현이 감소하나 140ES91 계통에서는 발현이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140ES91 계통에서 보이는 내염성 관련 유전자들의 높은 발현율이 140ES91 계통의 내염성에 관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5. 이상의 결과 기내 선발 방법을 통해 선발한 내염성 증진 계통은 간척지와 같은 염류집적 토양에서 작물의 안정적인 재배와 생산이 가능한 내염성 증진 품종 개발의 육종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필수아미노산 고함유 신품종 '하이아미' (A High Essential Amino Acid Properties Rice Cultivar 'Haiami')

  • 홍하철;김연규;양창인;황흥구;이점호;이상복;최용환;김홍열;이규성;양세준;김명기;정오영;조영찬;전용희;최임수;정응기;오세관;오명규;예종두;신영섭;김정주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43-548
    • /
    • 2011
  • '하이아미'는 필수 아미노산 함량 및 조성이 우수한 신소재를 육성할 목적으로 1998년 하계에 EMS를 처리한 진미벼에 5-methyltryptophan (5MT)을 처리하여 단백질 내성 후대 계통을 육성하고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이고 다수성인 계화벼를 인공교배하여 SR24568을 부여하였다. 1999년 $F_1$ 18개체를 양성하여 꽃가루 배양을 실시하여 2001년 $AC_1$ 75개체를 육성하였다. $AC_2$ 세대부터 계통 선발법에 의해 주요 병해충 및 미질검정을 병행하여 필수 아미노산 함량 및 조성이 우수한 계통을 선발하였다. 선발 계통에 대해 2005년 생산력검정을 실시결과 중생이며 필수 아미노산 함량 및 조성이 일반벼보다 우수한 SR24568-HB2310-72 계통을 수원511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 실시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8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 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하이아미'로 명명되었는바, 그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하이아미'의 출수기는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8월 15일로 화성벼보다 3일 늦은 중생종이다. 간장은 83 cm, 이삭길이는 22 cm, 수수는 13개, 수당립수는 119개, 등숙률은 82.9%이었으며, 현미천립중은 20.7 g으로 중립종이다. 2. '하이아미'는 줄무늬잎마름병에는 저항성이나, 도열병, 흰잎마름병, 충해에는 약하다. 3. 내냉성 관련 형질 검정에서 '하이아미는 출수지연일수 15일, 임실률 74%로 내냉성에 강한 편이었고, 등숙기 수발아율은 19.1%이었다. 4. '하이아미'는 현미 장폭비가 1.87인 중단원립이고 쌀 외관은 투명하고 심복백이 없다. 단백질 함량은 6.0%, 아밀로스함량은 18.2%이었고, 식미 관능검정의 총평이 0.39로 밥맛이 매우 우수하였다. 5. '하이아미'는 필수아미노산 총량이 화성벼 대비 31%가 많았으며, 특히 히스티딘, 메치오닌, 라이신의 조성이 우수하였다. 6. 2006-2008 3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하아아미'의 평균쌀 수량은 5.38 MT/ha로 화성벼와 비슷하였다. 7. 재배적지는 중부평야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