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 Acetate(EA)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초

Inhibitory Action of Tsunokaori Tangor Peel on the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 Choi, Soo-Youn;Hwang, Joon-Ho;Ko, Hee-Chul;Park, Soo-Young;Kim, Gi-Ok;Kim, Duck-Hee;Chang, Ih-Seop;Kwon, H.-Moo;Kim, Se-Ja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270-276
    • /
    • 2006
  • We evaluated the effects of extracts of Tsunokaori tangor peel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_2\;(PGE_2)$ in RAW 264.7 cells.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sunokaori tangor peel (EA-TTP) marked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and $PGE_2$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Consistent with these findings, the expression level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proteins were down-regula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dditionally, EA-TTP decreased the expression iNOS mRNA but not COX-2 mRNA. To determine the upstream signaling mechanism for the down-regulation of LPS-induced iNOS express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A-TTP on the degradation and re-synthesis of $I{\kappa}B{\alpha}$. EA-TTP dose-dependently delayed $I{\kappa}B{\alpha}$ degradation and increased $I{\kappa}B{\alpha}$ re-appearance following degradation, suggesting this as the mechanism by which EA-TTP suppressed iNOS gene expression. The EA-TTP also dose-depende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the cellular stress-response protein heme oxygenase-1, and inhibited the LPS-induced sustained activation of extracel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껍질 용매 별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저해 및 질소산화물 소거능 (Evaluation of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nd Nitrogen Oxide Scavenging Activity from Peel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Extracted by Various Solvents)

  • 진동혁;오다영;정헌식;이영근;성종환;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44-253
    • /
    • 2017
  • 치자 껍질의 70% methanol, ethyl acetate (EA) 및 distilled water (DW)의 용매 별 추출물의 total phenol 함량 및 질소 산화물 소거능, 환원력, ${\beta}$-carotene 탈색을 이용한 항산화력 및 지질과 산화 저해능 측정을 통하여 치자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검토한 결과, anthocyanin 함량은 $3.519{\pm}0.635mg/100g\;DW$로 나타났으며, 용매 별 추출 수율은 DW (39.87%), 70% methanol (36.26%), EA (2.88%)로 관찰되었다. 추출 용매 별 항산화 활성은 농도(0.2, 0.4, 0.6 mg/mL)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ontrol로 사용된 ascorbic acid, BHA, trolox 보다는 낮은 활성이 확인되었다. 치자 껍질의 total phenol 함량은 EA, 70% methanol, DW 추출물 순으로 EA 추출물에서 $26.59{\pm}0.20CAE$ (caffeic acid equivalents)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Nitric oxide (NO) radical 소거능에서는 70% methanol (70.32~76.15%), DW (52.66~59.31%), EA (34.65~46.98%)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Nitrite ($NO_2$) 소거능은 70% methanol (34.57~39.33%), DW (32.53~38.47%), EA (27.59~32.62%) 순으로 관찰되었다. ${\beta}$-carotene 탈색 저해능은 DW (41.55~50.97%), 70% methanol (23.37~44.80%), EA (13.37~25.24%) 순으로 동정되었다. Reducing power (optical density)는 70% methanol (0.044~0.127), DW (0.033~0.099), EA (0.026~0.097) 순으로 확인되었다. 지질과산화 저해능은 껍질 추출물 중 70% methanol (56.51~76.21%), EA (54.59~63.34%), DW (47.92~61.11%) 순으로 관찰되었다(p<0.05). 이에, 치자 껍질은 기능성 식품 및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삼 메탄올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from Adenophorae Radix on Melanogenesis)

  • 임난영;권강주;김윤석;백순기;임주락;문연자;우원홍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47-753
    • /
    • 2004
  •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 from Adenophorae Radix (AR) on melanogenesis were investigated in mouse melanoma B16F10 cells. The methanol extract of AR was partitioned into Hexane, Ethyl acetate (EA), Butanol, H₂O, and exogenously added to the culture medium for 72 hours at the concentration of 10, 50, 100 and 200 ㎍/㎖. Of the four partitions, Hexane and EA partion of AR reduced tyrosinase activity, which is the key enzyme for a melanogenesis, as well as melanin contents. But the EA partition was less toxic for B16F10 cells and has more efficient melanin-reducing effect than the former. In addition, the EA partition dramatically lightened the color of cell pellet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 of tyrosinase protein expression. In these results, EA partition of AR reduced melanin synthesis of B16F10 mouse melanoma cells by down regulating the tyrosinase activity and tyrosinase protein expression.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AR is a candidate for an efficient whitening agent which supresses melanogenesis.

인체 병원성 진균에 대한 Bacillus sp. BCNU 2003의 항진균 효과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sp. BCNU 2003 against the Human Pathogenic Fungi)

  • 최혜정;양욱희;김야엘;최연희;안철수;정영기;김동완;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69-274
    • /
    • 2010
  • 항생제 및 항진균제 개발에 있어 미생물 유래 천연 생리활성물질 분리를 통한 선도물질을 확보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며, 신규 물질을 확보하기 위해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생물질의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태백산 일대의 토양에서, 인체에 다양한 감염증을 유발하는 효모와 곰팡이에 대하여 강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BCNU 2003 균주를 분리하여 항진균 활성 물질의 이용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BCNU 2003은 계통적으로는 B. amyloliquefaciens와 B. vallismortis의 subcluster에 속하는 균주로 동정되어 Bacillus sp. BCNU 2003으로 명명하였다. 항균물질 분리를 위해 ethyl acetate (EA) 추출물과 펩타이드 추출물로 나누어 그람양성 세균, 그람음성 세균 및 진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EA 추출물이 6종의 인체병원성 진균에 대해 모든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기회성 감염을 유발하는 A. niger, C. albicans 그리고 Sa. cerevisiae에 대해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냈으며, 균배양액에서 낮은 저해율을 보였던 Ep. floccosum에 대해서도 EA 추출물은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다양한 인체 병원성 진균에 대해 넓은 항균스펙트럼을 가지는 Bacillus sp. BCNU 2003 균주의 활성물질 분리를 통해 특정 항균 및 항진균 물질의 대량생산 조건 등의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한다면, 인체 감염증을 포함한 광범위한 피부치료제의 응용개발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블렌드 조성과 상용화제가 폴리프로필렌/ABS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lend Composition and Compatibiliz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Blends)

  • 박정훈;승유택;김우년;홍존희;홍병권;유태욱;윤호규
    • 폴리머
    • /
    • 제29권1호
    • /
    • pp.19-24
    • /
    • 2005
  •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한 고분자 블렌드에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이축압출기를 통해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universal testing machine(UTM), lzod 충격 시험기를 사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PP/acrylonitrile-butadiene-styrene(ABS) 블렌드의 경우, PP-g-styrene acrylonitrile(PP-g-SAN) 상용화제의 첨가에 의해 기계적 물성이 증가하였으며, ethylene-ethyl acrylate-maleic anhydride(E-EA-MAH-g-SAN) 상용화제의 첨가에 의해서 연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P/ABS/polycarbonate(PC)/Nylon-6,6 블렌드의 경우, ethylene glycidylmethacrylate(E-GMA) 상용화제를 0.5 phr 첨가함에 따라 충격강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P/ABS/PC/Nylon-6,6/poly(methyl methacrylate)(PMMA)/poly(oxymethylene)(POM)/poly(vinyl acetate)(PVC)/poly(butylenes terephthalate)(PBT) 블렌드에서 PP-g-SAN 같은 물리적 상용화제와 E-GMA 와 E-EA-MAH-g-SAN 같은 반응상용화제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이 증가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종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지질과산화 저해능 (Antioxidant Activities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bility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Seed Extracts)

  • 강동수;진동혁;오다영;김한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893-90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seeds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GJE) found in Namhae, Korea. Extraction was performed using three solvents, 70% methanol, Distilled Water (DW), and Ethyl Acetate (EA). We determined the total phenol and phytic acid contents of the extracts to evaluate their nitrogen oxide scavenging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reducing power,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bility. The phytic acid content of GJE was found to be 1.157 mg PAE (Phytic Acid Equivalent) /g DW. The yields of the three extraction processes were as follows: DW, 36.61%; 70% methanol, 30.10%; and EA, 20.40%.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 solvent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0.2, 0.4, and 0.6 mg/mL) (p<0.05), but were lower than those of ascorbic acid, BHA, and trolox. Total phenol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70% methanol extract, followed by DW and EA extracts. Further, nitrogen oxide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the highest for the 70% methanol extract followed by DW and EA extrac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bioactivities of the 70% methanol and DW extracts of GJ seeds were excellent. These extracts can be used as natural antioxidants.

탁리산 용매 분획물의 in vitro 항산화, 주름 억제 및 미백 효과 (In vitro anti-oxidant,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 of solvent fraction from takli-san)

  • 유재묘;강윤환;김동희;박태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219-22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탁리산 열수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항산화, 주름억제, 미백효과에 대한 활성을 검증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이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용매 분획물로 DPPH radical scavenge, ABTS radical scavenge, elastase, tyrosinase 저해활성을 확인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TW-EA)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내에서의 주름억제,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western blot을 실시하였고 비교 검증을 위해 사용한 positive contol보다 TW-EA의 억제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탁리산의 화장품소재로서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맥문동탕 용매 분획물의 UV에 의한 피부손상 개선 효능평가 (UV-induced skin damage improvement effects of solvent fraction from Maekmoondong-tang)

  • 유재묘;강윤환;김보미;김동희;박태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3호
    • /
    • pp.283-290
    • /
    • 2018
  • 맥문동탕 열수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을 이용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e, elastase, tyrosinase 억제 효과를 검증하였고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MW-EA)에서 가장 우수한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세포를 이용한 활성 검증에서는 MW-EA를 처리하였을 때 ROS 저해활성에서 34% ($100{\mu}g/mL$), MMPs 저해 50% ($100{\mu}g/mL$) 이상, 미백 활성에서는 tyrosinase를 25% ($50{\mu}g/mL$) 억제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맥문동탕은 피부개선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만형자 용매 분획물의 미백 개선 효과 (Whitening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Isolated from Vitex rotundifolia)

  • 유재묘;김동희;손준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3호
    • /
    • pp.266-271
    • /
    • 2015
  • 최근에는 hyper-pigmentation에 대한 제품 개발을 위해 melanogenesis의 경로에 대한 이해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만형자(Vitex rotundifolia)의 depigmentation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B16F10 mouse melanoma cell을 이용하여 tyrosinase, MITF, TRP-1, TRP-2 그리고 melanin synthesis의 저해를 확인하였고,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VR-EA)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VR-EA는 tyrosinase와 TRP-1의 경우 각각 53.2, 88.4%의 저해율을 보여 미백에 있어서 효과적인 활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만형자는 melanin synthesis를 효과적으로 막아주어 미백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