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ical leadership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6초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리더신뢰와 발언행동의 직렬다중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members' Innovative Behavior: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Trust in Leader and Voice Behavior)

  • 김수;장은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9-18
    • /
    • 2022
  • 조직성과는 리더의 행동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지니고 있고 다양한 리더십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리더십의 유형과 그에 따른 역할은 다양하지만 현재 중국 조직은 지속적으로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조직의 지속적 발전과 성과 향상을 위해 윤리적 요소들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중국 조직내에서의 역할을 규명하고 이에 따른 성과 수준을 검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성과와 관련하여 오늘날 혁신을 요구하는 상황을 기반으로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더 나아가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구성원의 리더에 대한 신뢰와 발언행동의 다중직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중국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 336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를 통해 윤리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혁신행동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을 향상시키는 과정에서 리더신뢰와 발언행동의 다중직렬 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총체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조직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윤리적 리더십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으며 윤리적 리더십 연구 측면에 기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리더십과 성과향상에 대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리더십이 윤리적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on Ethical Nursing Competency)

  • 김남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022-1032
    • /
    • 2023
  • 본 연구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리더십, 윤리적 간호역량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고,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과 리더십이 윤리적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28명이었으며, 연구대상자에게는 연구 동의를 구한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변수의 특성에 따라 통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간호역량은 의사소통(r=.67, p<.001), 리더십(r=.56,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간호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의사소통(𝛽=.52, p<.001)과 리더십(𝛽=.23, p<.001)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회귀모형은 유의하였으며(F=155.74, p<.001) 모형의 설명력은 48%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이 학부에서부터 윤리적 간호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리더십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윤리적 리더십과 직무 자율성이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 : 윤리풍토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and Job Autonomy on Proactive Administra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Ethical Climate)

  • 박정민;최도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634-650
    • /
    • 2022
  •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와 이론검토를 통해 적극행정의 의미를 구체화하고, 윤리적 리더십과 직무 자율성이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토를 거쳐 275개의 설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윤리적 리더십과 직무 자율성이 적극행정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리더의 윤리적 속성이 높을수록, 직무수행 시 담당자가 가지는 자율성이 높을수록 적극행정이 실현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직무 자율성과 적극행정 사이에서 윤리풍토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윤리적 리더십과 적극행정 사이에서는 그 효과를 가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윤리풍토가 높은 경우 직무수행을 위한 자율적 행위를 긍정적으로 수용할 가능성이 높아 적극행정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윤리적 리더십과 윤리풍토 각 변인은 적극행정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바, 적극행정이 조직 내 윤리적 측면과 상당한 관련성을 가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윤리적 리더십이 안전을 만든다." :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Ethical Leadership Makes Safety" :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Safety Behavior)

  • 김병직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1-59
    • /
    • 2022
  • Considering that extant studies on safety behavior have paid insufficient attention to the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on employee's safety behavior. This paper delves into the influence of CSR on safety behavior and its intermediating mechanism such as mediator and moderator. To be specific, the current paper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s psychological safety in the CSR-safety behavior link, also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psychological safety. As expected in the hypothe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at CSR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psychological safety, which has a positive (+) impact on safety behavior. Also, employee's psychological safet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SR and safety behavior. Lastly, ethical leadership moderated the CSR-psychological safety link.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Followers'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 Park, Jonghy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269-276
    • /
    • 2020
  • 최근 조직에 이익이 되는 비윤리적 행동을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이라 정의하고 이를 야기하는 원인으로 리더십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교환이론 및 사회 정체성 이론을 바탕으로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영향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파악하였다. 10개 서울 및 수도권 기업 90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윤리적 리더십의 발휘가 구성원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이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영향관계의 검증을 통해 윤리적 리더십 발휘의 의도치 않은 부정적 효과에 대한 인식의 제고 및 효과적인 윤리적 리더십 발휘를 위한 방안,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윤리적 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thical Leadership on the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Job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 박병규;원상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548-559
    • /
    • 2019
  • 오늘날 기업은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환경에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발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지속가능경영을 달성하기 위해 기업윤리헌장을 채택하고 다양한 방법들을 동원하여 실행함으로써 경영투명성을 강화하고 있다. 즉, 조직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은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인적자본의 핵심역량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 내 리더가 발휘하는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윤리적 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9년 3월 6일부터 3월 27일까지 서울 경기 소재의 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30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은 임파워먼트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은 이직의도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먼트는 이직의도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는 매개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경영환경에서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임파워먼트의 역할을 알 수 있었다.

Ethics in the State-Owned Companies (SOC) in the public sector: A thin line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ethical leadership.

  • Nevondwe, Lufuno;Nembambula, Phophi;Mangammbi, Mafanywa Jeffrey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
    • /
    • 2015
  • Ethics suggest that all persons are by nature moral, as it would not be possible for humans to exist collectively or even individually without an innate ethical sense. In order for the public sector to thrive in business, the board of directors needs to be guided by ethics and take into account the abiding interests of humanity and public good. It is argued in this paper that the abuse of power in the public sector has often been associated with unethical leadership and conducts which undermines the ubuntu notion. The irregularities which often arise in the awarding of tenders in the state-owned companies are some of the challenges that are prone to the public sector. In order to address these challenges and promote a flourishing democracy it is argued that ethical leadership as envisaged in the King III Report needs to be adhered to by the boards of directors.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direction and control of ethics in any organisation is vital especially where the line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ethical leadership has become blurred.

Ethics in the State-Owned Companies (SOC) in the public sector: A thin line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ethical leadership.

  • Nevondwe, Lufuno;Nembambula, Phophi;Mangammbi, Mafanywa Jeffrey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8-22
    • /
    • 2014
  • Ethics suggest that all persons are by nature moral, as it would not be possible for humans to exist collectively or even individually without an innate ethical sense. In order for the public sector to thrive in business, the board of directors needs to be guided by ethics and take into account the abiding interests of humanity and public good. It is argued in this paper that the abuse of power in the public sector has often been associated with unethical leadership and conducts which undermines the ubuntu notion. The irregularities which often arise in the awarding of tenders in the state-owned companies are some of the challenges that are prone to the public sector. In order to address these challenges and promote a flourishing democracy it is argued that ethical leadership as envisaged in the King III Report needs to be adhered to by the boards of directors.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direction and control of ethics in any organisation is vital especially where the line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ethical leadership has become blurred.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간호관리자의 리더십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Leadership Styles of Nursing Managers on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조윤정;정석희;김희선;김영만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79-49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ffect sizes of leadership styles of nursing managers on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Method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ISMA and MOOSE guidelines. Participants were nurses working in hospitals. The intervention involved nursing managers' leadership styles; the outcome assessed was nurses' turnover intention. This was an observational study design. Eleven databases were searched to obtain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or English. Of the 14,428 articles reviewed, 21 were included i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omprehensive Meta-Analysis and R software programs were used. Results: The total effect size r (ESr) was - 0.25 (95% confidence interval: - 0.29 to - 0.20). Effect sizes of each leadership style on turnover intention were as follows: ethical leadership (ESr = - 0.34),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Sr = - 0.28), authentic leadership (ESr = - 0.23), transactional leadership (ESr = - 0.21), and passive avoidant leadership (ESr = 0.13). Ethical leadership was the most effective style in decreasing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Conclusion: Positive leadership styles of nurse managers effectively decreas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and negative leadership styles of nurse managers effectively increas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he ethical leadership style is the most effective in decreasing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however, it requires careful interpretation as its effects are reported by only two studies. This study contributes to addressing the high turnover rate of hospital nurses and developing positive leadership styles of nurse managers in hospital settings.

Authentic Leadership and Construction Superintendent Effectiveness

  • Broughton, Benjamin;Lee, Soon-Jae;Ryu, Jay Sang;Talley, Kimberly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6권4호
    • /
    • pp.15-23
    • /
    • 2016
  • The construction industry suffers from declining productivity and lack of trust between stakeholders and among the public. Increasing technical, regulatory, environmental and ethical challenges face the sector and necessitate a new type of leader. Authentic leadership is a relatively new construct that focuses on a leader demonstrating self-awareness, relational transparency, an internalized ethical and moral perspective and balanced processing. This study uses the Authentic Leadership Questionnaire to measure construction superintendent's levels of authentic leadership and compares them to effectiveness rating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higher authentic leadership scores and effectiveness and this study concludes that authentic leaders are more effective superinten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