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anol extraction

검색결과 1,131건 처리시간 0.028초

느타리, 새송이, 팽이버섯의 용매추출에 따른 항산화활성 연구 (Stud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leurotus ostreatus (Jacq.) Que Pleurotus eryngii and Flammulina velutipes Extracts by Different Solvent)

  • 최진희;김진성;박종대;성정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22-632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al solvent extraction method [Distilled water (DW), 70% ethanol, 99% ethanol] of mushrooms, including Pleurotus ostreatus (Jacq.) Que, Pleurotus eryngii and Flammulina velutipes and improve their usability as natural antioxidants. To analyze antioxidant activities in each mushroom,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cation radical (ABTS+) and fluorescence recovery after photobleaching (FRAP) were measured. All mushrooms show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DW mushroom extract (p<0.001).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P. eryngii and F. velutipes DW and 70% ethanol mushroom extracts (p<0.05). All mushrooms showed the highest activities using DPPH and FRAP assays in the DW extraction method (p<0.001). P. ostreatus (Jacq.) Que and P. eryngii showed the highes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DW extraction method, and F. velutipe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the 70% ethanol extraction method (p<0.001). As a result of comparing IC50 values of DPPH and ABTS+ radicals and FRAP EC50 values, the DW P. ostreatus (Jacq.) Que extract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p<0.001). Pearson's correlation between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all mushrooms (p<0.01). Therefore, extraction of the mushrooms with DW can enhance the extraction of effective bioactive substances and antioxidant activity.

초음파 추출공정을 이용한 닥나무로부터 항산화성분의 추출공정 최적화 (Statistical Optimization of Antioxidant Extraction from Broussonetia kazinoki Using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 이승범;박보라;유봉호
    • 공업화학
    • /
    • 제29권5호
    • /
    • pp.565-57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용매추출공정을 이용하여 닥나무로부터 항산화성분을 추출하고,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하여 추출공정을 최적화하였다. 중심합성계획모델의 반응치로는 추출수율과 DPPH 라디칼소거활성을 설정하고, 독립변수인 추출시간, 주정/초순수 부피비, 초음파 조사세기에 따른 주효과도와 교호효과도를 해석하였다. 추출수율과 DPPH 라디칼소거활성 모두 계량인자의 주효과도와 교호효과도를 모두 고려하였을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주정/초순수 부피비이었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추출공정의 최적화과정을 수행한 결과 최적추출조건은 추출시간(19.92 min), 주정/초순수 부피비(54.23 vol%), 초음파 조사세기(557.65 W)로 나타났다. 이 조건으로부터 예상되는 반응치의 값은 추출수율(38.93 wt%), DPPH 라디칼소거활성(55.33%)으로 나타났다.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천연유화제의 추출: CCD-RSM을 이용한 최적화 (Extraction of Natural Emulsifier from Medicago sativa L. and Sapindus saponaria L.: Optimization using CCD-RSM)

  • 홍세흠;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3권3호
    • /
    • pp.272-27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천연유화제를 추출하여 CCD-RSM을 이용한 추출수율 및 추출물의 거품안정도에 관한 추출공정을 최적화하였으며, 95% 신뢰구간에서 최적화 결과의 통계학적 합리성을 확인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주정/초순수의 부피비와 추출온도, 반응치로는 추출수율과 추출물의 거품안정도로 설정하였다. 주정/초순수 부피비 53.5 vol%, 추출온도 70.9 ℃인 최적조건 하에서 알팔파 추출공정의 최대 추출수율은 26.2 wt%, 추출물의 최대 거품안정도는 44.5%로 예측되었다. 무환자나무열매 추출공정의 경우, 최적조건인 주정/초순수 부피비 60.4 vol%, 추출온도 72.4 ℃에서 최대 추출수율은 31.9 wt%, 추출물의 최대 거품안정도는 47.5%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최적화 결과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 추출공정에 대한 각각의 평균 오차율은 3.4(± 0.3)% 및 5.0(± 0.04)%로 나타났다.

열수추출조건이 동결건조 오미자의 추출 및 항산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flux Conditions on Extraction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eeze Dried-Schisandra chinensis)

  • 박은주;안재준;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50-556
    • /
    • 2013
  • 오미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에탄올 농도(%), 추출온도($^{\circ}C$), 추출시간(h)을 달리한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작용을 확인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추출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에탄올 농도는 50%, 추출시간은 4시간 추출하였을 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산도는 에탄올 농도 50%, 추출시간 8시간, 추출온도 $100^{\circ}C$일 때 가장 높은 적정 산도를 나타내었다. 색도는 명도($L^*$)는 추출온도,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오미자의 주 색상인 적색도($a^*$)는 에탄올 농도, 추출온도,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추출시간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경향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조건별 실험 인자들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에탄올 농도는 총 페놀 및 ABTS 항산화능과 매우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추출시간과 온도에 따른 총 페놀함량은 DPPH 및 ABTS 항산화능, 환원당 함량, 적색도, 적정산도에서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각 실험 항목 사이에서도 모두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오미자의 최적 추출조건은 용매는 50% 에탄올, 추출시간 4-6시간, 추출온도는 $60-80^{\circ}C$의 조건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Antioxidant activity of sesame cake extracts obtaining using various ethanol extraction conditions

  • Lee, Kyoung Ah;Min, Keun Young;Lee, Na-Kyoung;Chang, Kyung Hoon;Cho, Seong Jun;Chung, Won Dae;Paik, Hyun-Dong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38-342
    • /
    • 2017
  •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esame cake extracts prepared using ethanol and hot water were evaluated. Seventy percent-ethanol extracts yielded the highest total phenolic (96.56 mg/g extract) and flavonoid (8.35 mg/g extract) contents. In the ${\beta}$-carotene bleaching and ferric thiocyanate test, 30%-, 50%-, and 70%-ethanol extracts exhibit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at exhibited by 90%-ethanol extracts. However, 90%-ethanol extracts showed greater antioxidant activities in phenyl-2-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test and thiobarbituric acid test using corn oil.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esame cake extracts did not correlate with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however, the results suggest that oxidative stability may be improved by sesame cake extracts.

초미세 분쇄한 삼백초로부터 추출된 phenolic 화합물의 hyaluronidase 억제 효과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ed phenolic compounds from ultrafine grind Saururus chinensis)

  • 박기태;오상룡;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0-26
    • /
    • 2016
  • 본 연구에서 92종의 한약재로부터 물과 ethanol을 용매추출물에 대하여 HAase의 저해에 의한 항염증 효과를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에서는 E. officinalis(86.8%), T. orientalis(80.8%), C. semen(66.5%), M. azedarach(74.7%), S. pubescen (61.3%), S. chinensis(49.15%) 등이 높게 나타났다. Ethanol 추출물에서는 A. altissima와 S. chinensis 추출물이 90% 이상의 높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중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모두 항염증 활성이 높게 측정된 S. chinensis가 선발되었다. 선별된 삼백초의 유효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할 방안을 확립하기 위하여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용매로 물과 ethanol을 선택하여 추출 최적조건을 살펴보았다. Phenolic 성분의 추출을 위한 최적조건은 50% ethanol을 사용하여 12시간 추출이 최적이었다. Phenolic 성분의 추출을 위해서는 ethanol이 물보다 더 효율적이었다. 최적조건에서 추출된 삼백초 추출물의 염증억제 활성은 $100{\sim}250{\mu}g/mL$ phenolic 농도로 첨가했을 때 70~80%의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500{\mu}g/mL$ 이상의 농도로 첨가 시 오히려 염증 억제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삼백초를 초미세 분쇄 하였을 때 추출 수율과 염증억제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초미세 분쇄 기술은 한약재로부터 생리활성물질 추출수율의 증가를 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본(藁本)의 추출용매에 따른 항염, 항산화 및 항균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Effects with Regard to the Extraction Solvents of Ligustici Rhizoma)

  • 황보민;서형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1-78
    • /
    • 2011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anti-inflammation, anti-oxidation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Ligustici Rhizoma (LR) extracted with two kinds of solvents, ethanol and distilled water. Methods : It is prepared two kinds of LR extracts 20, 50, 100 ${\mu}l/mg$ by first. MTT assay way to measure cytotoxicity is formed in Raw 264.7 cell. The anti-inflammation effect is measured by ability to inhibit production of NO in Raw 264.7 cell. The anti-oxidation effect was measur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in HaCaT cell. The anti-bacterial effect was measured by inhibition zone diameter on Propionibacterium acnes. Results : 1. LR (20 ${\mu}l/mg$) extracted with ethanol was showed 80% cytotoxicity, LR (50 ${\mu}l/mg$) extracted with ethanol and LR (20, 50 ${\mu}l/mg$) extracted with water were showed 70% cytotoxicity, LR (100 ${\mu}l/mg$) extracted with ethanol and LR (100 ${\mu}l/mg$) extracted with water were showed 60% cytotoxicity in Raw 264.7 cell. 2. LR (100 ${\mu}l/mg$) extracted with ethanol was showed more significantly inhibitory effect on NO production than the water extraction. 3. Two kinds of LR extraction groups did not show significantly scavenging effect of DPPH radicals. 4. Two kinds of LR extractions did not have a inhibitory effect on Propionibactrium acnes. Conclusion : Two kinds of LR extracts have not cytotoxic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ability to scavenge DPPH radicals and effect to inhibit Propionibactrium acnes. LR extracted with ethanol only have a little effect to inhibit NO production. This study proposes that LR extracted with ethanol is more effective in anti-inflammation.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Acai(Euterpe oleracea Mart.) 기능성분의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Functional Components from Acai (Euterpe oleracea Mart.)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홍주헌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13-722
    • /
    • 2011
  • 본 실험은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추출조건에 따른 Acai 에탄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모니터링하였다. 추출조건에 따른 수율의 최대값은 2.84%이었고, 중심합성계획에 의한 Acai 추출조건별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는 각각 0.9596와 0.9356로 1% 이내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전자공여능에 대한 회귀식의 $R^2$는 0.8842로 5% 이내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추출온도보다는 에탄올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에 대한 pH 조건별 추출조건의 영향은 에탄올 농도가 가장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조건별 anthocyanin 함량은 74.421~291.841 mg/L의 범위였으며, 결과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는 0.9792로 1% 이내의 유의수준에서 인정되었고, 추출온도와 시료에 대한 용매비보다는 에탄올 농도에 많은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ORAC은 137.73~562.94 ${\mu}moles$ TE/g의 범위였으며, 시료에 대한 용매비가 낮을수록, 에탄올농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증가하였다. Acai의 추출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추출물의 특성인 추출물의 수율, 총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anthocyanin 함량 및 ORAC에 대해 contour map을 superimposing하여 얻은 최적추출조건의 범위는 에탄올 농도 28~58%, 추출온도 $60{\sim}68^{\circ}C$, 시료에 대한 용매비가 10~12 mL/g이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감초 중의 glabridin 추출 (Extraction of Glabridin from Licorice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조윤경;김현석;김주원;이상윤;김우식;유종훈;임교빈
    • KSBB Journal
    • /
    • 제19권6호
    • /
    • pp.427-432
    • /
    • 2004
  •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감초 내의 glabridin을 추출하기 위하여 1 mL/min의 일정 유속으로 추출온도, 추출압력 및 보조용매의 종류와 첨가량이 추출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을 이용하여 추출을 수행한 경우 $16\%$의 매우 낮은 회수율이 얻어졌으나, 보조용매로 $100\%$ ethanol과 acetone을 $10\%$의 농도로 첨가한 경우 $4{\sim}5.5$배 향상된 회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보조용매로 ethanol을 사용한 경우에는 추출온도가 감소할수록, 추출압력이 증가할수록 회수율이 증가하였고, acetone의 경우에는 추출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회수율이 증가하였으나, $60^{\circ}C$의 추출온도에서 가장 높은 회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두 보조용매의 경우 모두 50 MPa의 추출압력 조건에서는 회수율이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acetone을 $25\%$의 농도로 첨가한 경우 $94.3\%$의 최고 회수율이 얻어졌으며, 30분 이내에 최고 회수율에 도달함을 확인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대한 보조용매로 ethanol과 acetone을 사용하여 최적의 glabridin 추출조건을 조사한 결과, ethanol은 30 MPa, $40^{\circ}C,\;25\%$의 보조용매 농도에서, acetone의 경우에는 30 MPa, $60^{\circ}C,\;25\%$의 농도조건에서 각각 $96.5\%$$94.3\%$의 최고 회수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유기용매 추출에 비해 $2{\sim}3$배 높은 glabridin 순도를 얻을 수 있었다.

통계학적 최적화를 이용한 아마란스 잎으로부터 폴리페놀 열수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of Polyphenolic Compounds from Amaranth Leaf using Statistically-based Optimization)

  • 조재민;최강훈;신슬기;이지현;김진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315-319
    • /
    • 2016
  • 아마란스 종실 생산의 부산물인 아마란스 잎으로부터 폴리페놀 추출 증대를 위해 열수추출의 주요 공정조건인 추출시간, 추출온도와 에탄올 농도 중심합성법을 이용해 최적화하였다. 폴리페놀의 추출은 추출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추출에 에탄올 농도와 추출시간이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05). 열수추출의 에탄올 농도는 61.6 (v/v%)에서 최대 폴리페놀 추출성능을 보이며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심합성법에 의해 제시 된 2차 회귀방정식의 예측값과 실험값을 비교했을 때 매우 높은 합치도($R^2=0.9566$)를 보였으며 추출온도 $90.1^{\circ}C$, 추출시간 50 min과 에탄올 61.6 (v/v%) 공정조건에서 최대 농도인 12.6 mg GAE/g DM 폴리페놀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