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cherichia coli

검색결과 4,623건 처리시간 0.045초

부산 민락동 오수처리장에서 분리된 장내세균 Klebsiella pneumoniae와 Escherichia coli가 생성한 광범위 베타 락탐(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분해효소의 유형 (The Types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Produced by Enteric Bacteria, Klebsiella pneumoniae and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Sewage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at Minragdong in Busan, Korea)

  • 이훈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3-169
    • /
    • 2009
  • 본 논문은 부산소재 하수처리장 중계시설인 민락오수처리장의 하수에서 광범위 베타 락탐 분해효소(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생성균주를 분리 동정하고 이들이 생성한 ESBL 유형을 조사하였다. 민락오수처리장은 부산 남구 수영구의 민락동 일대에 밀집한 횟집의 하수를 모아서 남구 용호동에 있는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중계시키는 시설이다. 2009 년 1 월 하수 검체로부터 항균제 이중 디스크 확산 시험(double disk synergy test)에 양성반응을 나타낸 19 균주를 1차 시험균주로 선택하였다. 인돌생성 시험 methyl-red, Voges-Proskauer, Simmon's citrate, decarboxylase-dihydrolase 및 당 발효능 생화학 시험을 통하여 Klebsiella pneumoniae (3 균주)와 Escherichia coli (16 균주)가 동정되었다. 이 균들을 공여균주로, Escherichia coli J53 (sodium $azide^r$)를 피전달균주로 하여 접합시험을 실시하여 plasmid로 매개된 4 균주 접합체를 얻었다. 이들로부터 plasmid를 추출하여 PCR로 유전자 증폭을 시켜 유전자를 분석하고 등전점을 조사한 결과 Klebsiella pneumoniae에서 생성된 ESBL 유형은 모두 SHV-12 (3 균주)였고, Escherichia coli에서 생성된 ESBL 유형은 SHV-12/TEM-1 (1 균주)였다.

황금탕 및 황금추출물의 식중독 세균들에 대한 생육억제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Whangkumtang Extract and Scutellariae Radix Extract on the Food-Borne Pathogens)

  • 서진종;이종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606-1610
    • /
    • 2005
  • 각종 식중독의 원인균으로 중요시되는 11종의 균주에 대해서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의 항균력을 검토한 결과, 황금탕 추출물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higella sonnei, Shigella flexneri,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O111 및 Escherichia coli O126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황금 추출물은 Staphy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higella sonnei, Shigella flexneri,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O111, Escherichia coli O126 및 Escherichia coli O157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 모두 항균력이 없었고, Escherichia coli O157에 대해서는 황금탕 추출물은 항균력이 없었으나, 황금 추출물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황금탕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Staphyloccus aureus와 Bacillus cereus에서 40 mg/mL, Shigella flexneri 와 Salmonella Enteritidis에서 100 mg/mL이었고, 황금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Bacillus cereus에서 10 mg/mL, Staphylococcus aureus, Shigella flexneri 및 Salmonella Enteritidis에서 20 mg/mL이었으며,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 모두 Staphyloccus aureus와 Bacillus cereus에 대해 48시간까지 배양하는 동안 최소저해농도 이상에서는 균이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다. 이상에서 황금탕 추출물보다는 황금 추출물의 항균력이 더 강하며, 황금탕 추출물의 식중독 세균들에 대한 항균력은 황금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항균력이 확인된 세균으로 인한 각종 식중독에 황금탕의 사용 가능성을 고려할 만하며, 황금 추출물에 대한 천연 식품 보존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의 미생물 생육 저해 (Microbial Inhibition of Lactic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 박연희;권정주;조도현;김수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1호
    • /
    • pp.35-40
    • /
    • 1983
  • 김치에 분리한 젖산균 20주(株)의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등 5종의 Test organism에 대한 생육저해실험 결과 가장 생육저해능력이 큰 A7 (Pediococcus cerevisiae)와 C4 (Leuconostoc spp.)를 선발하였다. 이 두 균주를 각각 Escherichia coli와 동시에 접종하여 배양한 결과 초기부터 Escherichia coli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약 24시간 후부터는 Escherichia coli의 균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Staphylococcus aureus와 Bacillus cereus에 대하여도 .대체로 비슷한 생육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세가지 Test organism 모두 A7과 배양할 경우 C4의 경우보다 더 큰 death rate constant를 나타내었다 이 혼합 배양액에 catalase를 첨가한 경우 생육저해현상에 영향이 없었으므로 이 두 균주의 생육억계작용은 $H_2O_2$ 생성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7의 배양 여액만을 Escherichia coli 배양액에 첨가한 경우에도 A7균주의 혼합 배양과 동일한 생육저해 현상을 보였으나 여액을 $80^{\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후 가하였을 때는 생육저해작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뿐 아니라 여액에 trypsin 처리한 경우에도 생육저해작용은 크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A7 균주의 생육저해작용은 단백질류 생육저해물질의 생산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 PDF

Escherichia coli O157:H7의 제어를 위한 선학초(Agrimonia pilosa Ledebour) 추출물과 NaCl의 병용효과 (Combined Effect of Agrimonia pilosa Ledebour Extract and NaCl for Control of Escherichia coli O157:H7)

  • 박신;권오진
    • KSBB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168-173
    • /
    • 1998
  • Gamma irradiated and non-irradiated Agrimonia pilosa Ledebour were extracted by 70% ethanol. The combined effects of the Agrimonia pilosa Ledebour extract and NaCl on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 tryptic soy broth were investigated. E. coli O157:H7 decreased ca 1 log cycle by the addition of 2% sample extract, and the anthbacterial activity wa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sample extract was increased. The irradiation effect of the sample on antibacterial activity was not observed. On the treatment of NaCl alone, E. coli O157:H7 was inactivated (ca 3~4 log cycle reduction within 48 hr) in more than 7% NaCl. The higher inactivation(ca 5 log cycle reduction within 48 hr) occurred in the presence of 2% sample extract and 5% NaCl than in the addition of each alone. The extracted antibacterial substance was stable in the pH range of 4.0 to 7.0, heat treatment at 121$^\circ C$ for 15 min, and freezing at -18$^\circ C$ and thawing at 37$^\circ C$. There fore, the sample extract, would substantially increase the food-safety in terms of E. coli O157:H7.

  • PDF

Complete genome sequence of Escherichia coli K_EC180, a bacterium producing shiga-like toxin isolated from swine feces

  • Kim, Hyeri;Cho, Jae Hyoung;Cho, Jin Ho;Song, Minho;Shin, Hakdong;Kim, Sheena;Kim, Eun Sol;Kim, Hyeun Bum;Lee, Ju-Ho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2호
    • /
    • pp.461-464
    • /
    • 2021
  • Escherichia coli normally colonizes the lower intestine of animals and humans, but some serotypes are foodborne pathogens. The Escherichia coli K_EC180 was isolated from swine feces that were collected from a weaner pig. In this genome announcement, E. coli K_EC180 was sequenced using PacBio RS II and Illumina NextSeq 500 platforms. The complete chromosome of E. coli K_EC180 is composed of one circular chromosome (5,017,281 bp) with 50.4% of guanine + cytosine (G + C) content, 4,935 of coding sequence (CDS), 88 of tRNA, and 22 of rRNA genes. The complete genome of E. coli K_EC180 contains the toxin genes such as shiga-like toxins (stxA and stxB).

다양한 발효액의 항균효과와 대장균의 유전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Antibacterial Effect of Various Fermentation Products and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of E.coli)

  • 허지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19-124
    • /
    • 2022
  •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기회감염균이다. 또한 이들 세균은 다제내성(Multiple-Drug Resistance, MDR) 세균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농균, 대장균, 포도알균에 대한 다양한 효능을 지닌 6가지 발효액의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발효액을 섭취했을 때 대장균에서 유전적 발현 변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annealing control primer를 사용하여 유전자발현 분석을 수행하였다. 디스크확산법을 통해 무화과식초와 대봉감식초가 다른 발효액에 비해 억제대의 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토종약초발효소는 항균효과가 없었다. 대장균에 5% 무화과식초를 처리하여 21일간 매일 계대배양하여 Escherichia coli O157:H7 OmpW gene for outer membrane protein W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며, Synthetic construct Lao1 gene for L-amino acid oxidase, complete cds 유전자가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발효액 중에서 특히 무화과식초를 섭취하는 것은 우리 주변에 항상 존재하는 대장균에 대해 방어능력을 더욱 단단하게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나아가 다제내성균에 대한 천연치료제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하수처리수에서 분리된 장내세균의 광범위 베타락탐분해효소의 유형 (Types of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Produced in Enteric Bacteria Isolated from Sewage Plant Drain Water)

  • 김군도;이훈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76-682
    • /
    • 2010
  • 본 연구는 임상검체만이 아닌 주변 생활환경에도 광범위 베타 락탐분해효소를 생성하는 균주(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존재할 경우 그 균주를 분리하고 ESBL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부산 광안리 하수처리 방류수에서 이중 디스크 확산 검사 결과 양성반응을 나타낸 29균주를 선별하였다. 이중 sodium azide에 내성을 가진 피전달 균주인 Escherichia coli J5에 교차접합이 이루어진 15균주를 대상으로 indole, methyl-red, Voges-Proskauer, Simmon's citrate 시험과 decarboxylase-dihydrolase 및 여러 종류의 당 발효 시험 등 생화학 검사를 실시한 결과 Klebsiella pneumoniae(13균주)와 Escherichia coli(2균주)가 동정되었다. 등전점, PCR, 유전자서열 분석을 실시하여 ESBL 유형을 결정하였다. Klebsiella pneumoniae의 ESBL 생성유형은 SHV-12(4균주)와 SHV-12/TEM-1(9균주)의 2종류로 구분되었고, Escherichia coli의 ESBL 생성유형은 TEM-1(2균주)로 판명되었다.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Inoculated on Chicken by Aqueous Chlorine Dioxide Treatment

  • Hong, Yun-Hee;Ku, Kyoung-Ju;Kim, Min-Ki;Won, Mi-Sun;Chung, Kyung-Sook;Song, Kyung-B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742-745
    • /
    • 2008
  •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was evaluated on inoculated chicken by aqueous chlorine dioxide ($CIO_2$) treatment. Chicken samples were inoculated with 6-7 log CFU/g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respectively. The chicken samples were then treated with 0, 50, and 100 ppm of $CIO_2$ solution and stored at $4{\pm}1^{\circ}C$. Aqueous $CIO_2$ treatment decreased the populations of the pathogenic bacteria on the chicken breast and drumstick. In particular, 100 ppm $CIO_2$ treatment on the chicken breast and drumstick reduced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by 1.00-1.27 and 1.37-1.44 log CFU/g, respectively. Aqueous $CIO_2$ treatment on the growth of the bacteria was continuously in effect during storage,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the populations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aqueous $CIO_2$ treatment should be useful in improving the microbial safety of chicken during storage.

Enantioselective Bioconversion Using Escherichia coli Cells Expres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Reductase and Bacillus subtilis Glucose Dehydrogenase

  • Park, Hyun-Joo;Jung, Ji-Hye;Choi, Hye-Jeong;Uhm, Ki-Nam;Kim, Hyung-Kwo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9호
    • /
    • pp.1300-1306
    • /
    • 2010
  • Ethyl (R, S)-4-chloro-3-hydroxybutanoate (ECHB) is a useful chiral building block for the synthesis of L-carnitine and hypercholesterolemia drugs. The yeast reductase, YOL151W (GenBank locus tag), exhibits an enantioselective reduction activity, converting ethyl-4-chlorooxobutanoate (ECOB) exclusively into (R)-ECHB. YOL151W was generated in Escherichia coli cells and purified via Ni-NTA and desalting column chromatography. It evidenced an optimum temperature of $45^{\circ}C$ and an optimum pH of 6.5-7.5. Bacillus subtilis glucose dehydrogenase (GDH) was also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nd was used for the recycling of NADPH, required for the reduction reaction. Thereafter, Escherichia coli cells co-expressing YOL151W and GDH were constructed. After permeablization treatment, the Escherichia coli whole cells were utilized for ECHB synthesis. Through the use of this system, the 30 mM ECOB substrate could be converted to (R)-ECHB.

인체 tau 유전자의 cDNA 클로닝 및 Escherichia coli에서의 발현 (Cloning and Experssion of a Human tau Gene cDNA in Escherichia coli)

  • 정상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8-33
    • /
    • 1994
  • 정상적인 세포에서 tau 단백질은 신경세포의 축색돌기에 있는 미세소관(microtubule)과 결합하고 있지만, Alzheimer병 세포의 경우 그 단백질은 몇몇 신경세포의 체세포 수지상조직(somatodendrite) 부위에 고착되어서 이중나선 섬유(paired helical filament; PHF)의 주성분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뇌에PHF가 축적되는 특성 파악과 그들을 야기시키는 요인분석의 일환으로 다량의 순수한 tau 단백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체 tau 유전자의 cDNA를 클로닝하고 Escherichia coli에서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