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winia amylovora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3초

과수화상병 매몰방재지 토양에서 분리된 8종의 국내 미기록 진균 보고 (Report of Eight Unrecorded Fungi from the Fire Blight Burial Control Soil in Korea)

  • 노형진;서희주;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47-460
    • /
    • 2023
  • 식물병원 세균 Erwinia amylovora 의해 발생하는 과수화상병은 사과, 배 등 장미과에 속하는 식물에 심한 피해를 주고 있다. 병의 빠른 확산을 막기 위해 국내에서는 병이 발생한 사과나무와 배나무에 대해 매몰하는 병관리를 실시해 왔다. 방제방법의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해 매몰한 이병식물과 이병식물 주변의 토양을 조사하였다. 매몰토양 미생물군 조사과정에서 Bisifusarium allantoides, Botryotrichum Domesticum, Microascus verrucosus, Paraphoma pye, Phaeosphaeria culmorum, Ramophialophora globispora, Sordaria tomentoalba, Striaticonidium brachysporum 등이 국내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이들 8종 진균에 대한 형태학적,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보고한다.

Analysis of Endophytic Bacterial Communities and Investigation of Core Taxa in Apple Trees

  • Yejin Lee;Gyeongjun Cho;Da-Ran Kim;Youn-Sig Kwa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4호
    • /
    • pp.397-408
    • /
    • 2023
  • Fire blight disease, caused by Erwinia amylovora, is a devastating affliction in apple cultivation worldwide. Chemical pesticides have exhibited limited effectiveness in controlling the disease, and biological control options for treating fruit trees are limited. Therefore, a relatively large-scale survey is necessary to develop microbial agents for apple trees. Here we collected healthy apple trees from across the country to identify common and core bacterial taxa. We analyzed the endophytic bacterial communities in leaves and twigs and discovered that the twig bacterial communities were more conserved than those in the leaves, regardless of the origin of the sample. This finding indicates that specific endophytic taxa are consistently present in healthy apple trees and may be involved in vital functions such as disease prevention and growth. Furthermore, we compared the community metabolite pathway expression rates of these endophyte communities with those of E. amylovora infected apple trees and discovered that the endophyte communities in healthy apple trees not only had similar community structures but also similar metabolite pathway expression rates. Additionally, Pseudomonas and Methylobacterium-Methylorobrum were the dominant taxa in all healthy apple trees. Our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potential roles of endophytes in healthy apple trees and inform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enhancing apple growth and resilience. Moreover, the similarity in cluster structure and pathway analysis between healthy orchards was mutually reinforcing, demonstrating the power of microbiome analysis as a tool for identifying factors that contribute to plant health.

국내 배나무 꽃에서 분리한 Aureobasidium pullulans MHAU2101의 화상병 발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ureobasidium pullulans MHAU2101 Isolated from Domestic Pear Blossom Against Fire Blight)

  • 오현석;최효원;이용환;이승엽;이미현;오상근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31-341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배나무 꽃에서 분리한 효모의 형태학적 특성 및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종을 동정하고, 사과와 배의 미숙과와 꽃사과의 꽃을 대상으로 화상병 발병 억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효모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기존 A. pullulans의 특성과 일치하였으며, large-subunit (LSU) 26S ribosomal DNA의 D1/D2 영역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A. pullulans (MHAU2101)로 동정되었다. E. amylovora를 미숙과에 접종하기 전에A. pullulans MHAU2101을 처리할 경우 사과와 배의 미숙과에서 모두 화상병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꽃사과 꽃에서 화상병 방제 효과를 검정한 결과, A. pullulans MHAU2101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꽃 감염률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대비 64%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또한A. pullulans MHAU2101 처리구는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암술과 화통 모두E. amylovora의 밀도가 낮았으며 특히 화통에서 밀도가 낮은 특징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 배나무 꽃에서 분리한A. pullulans MHAU2101이 화상병 발병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2015-2019년 국내 과수 화상병 발생 (Outbreak of Fire Blight of Apple and Asian Pear in 2015-2019 in Korea)

  • 함현희;이영기;공현기;홍성준;이경재;오가람;이미현;이용환
    • 식물병연구
    • /
    • 제26권4호
    • /
    • pp.222-228
    • /
    • 2020
  • 과수 화상병을 일으키는 Erwinia amylovora는 국내에서 금지병원균으로 지정되어 화상병 발생 시, 중앙 정부의 진단을 근거로 기주를 매몰하는 공적 방제가 실시되고 있다. 국내 과수 화상병은 2015년 안성, 천안 및 제천의 43농가에서 발생하여 42.9 ha를 매몰한 것을 시작으로, 2019년 발생 지역이 11개 시군으로 확산되었으며, 총 348농가 260.4 ha가 매몰되었다. 배나무 화상병은 주로 경기남부와 충남에서 발생되었고, 발생 건수가 연평균 29±9.2건으로 매년 비교적 고르게 발생되었으며 20-30년생 과수에서 발병 비율이 가장 높았다. 반면, 사과나무 화상병은 주로 경기북부, 강원, 충북에서 발생되었고, 발생 건수가 연평균 41±57.6건으로 2018-2019년 발생건수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20년 이하의 과수의 발병 비율이 높았다. 국내 과수 화상병은 어린 사과나무에서 병의 확산이 빠르므로, 특히 미성숙 과수가 식재된 과원에서는 화상병이 발병하지 않도록 약제를 적기에 살포하는 등 예방을 철저히 하고, 발병 시 신속히 방제해야 한다.

인공접종을 통한 국내 야생 장미과 식물의 화상병 감수성 검정 (Determination of Fire Blight Susceptibility on Wild Rosaceae Plants in Korea by Artificial Inoculation)

  • 박인웅;송유림;오엄지;김요엘;황인선;전미진;안초롱;김진숙;김순옥;오창식
    • 식물병연구
    • /
    • 제29권1호
    • /
    • pp.23-38
    • /
    • 2023
  • Erwinia amylovora에 의해 발생하는 화상병은 2015년 국내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화상병은 벌과 같은 화분매개충, 강한 바람을 동반한 강수와 이병주 전정 작업에 의한 전파 등 많은 경로를 통해 병원균 감염이 진행되어 발생한다. 이 외에도 자생하는 개야광나무속, 산사나무속, 피라칸다속, 벚나무속, 마가목속 등의 장미과 식물이 E. amylovora의 기주식물과 전파원이 될 수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자생하고 있는 장미과 식물의 화상병 감수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다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국내에서 채집한 야생 장미과 식물 10속 25종을 대상으로 화상병 감수성 검정을 진행하였다. 108 cfu/ml 농도의 E. amylovora 균액을 이용하여 채집한 식물의 꽃, 잎과 가지, 과실에 접종하고, 화상병 유사 병징 발현을 관찰하고 PCR을 통해 접종 조직 내의 E. amylovora 검출 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병징 발현과 병원균 검출 결과가 동일한 14종의 야생 장미과 식물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적절한 화상병 방제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rwinia pyrifoliae, a Causal Endemic Pathogen of Shoot Blight of Asian Pear Tree in Korea

  • Shrestha, Rosemary;Koo, Jun-Hak;Park, Duck-Hwan;Hwang, In-Gyu;Hur, Jang-Hyun;Lim, Chun-Ke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6호
    • /
    • pp.294-300
    • /
    • 2003
  •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diseased samples of shoot blight collected from different pear growing orchards of Chuncheon, Korea from 1995 to 1998. Forty-nine strains showed their pathogenicity on immature fruit and shoot of pear. Microbi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tests were performed on these pathogenic strains. One strain, designated as WT3 in this study, was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strain as it was collected from the first outbreak area in Jichonri, Chuncheon in 1995. Further detailed characterization of the strain WT3 was done by PCR amplification using specific primers described previously for distinguishing Erwinia pyrifoliae from its close pathogen Erwinia amylovora. Based on phenotypical, biochemical, and molecular analyses, strain WT3 was identified as a shoot blight pathogen which was the same as E. pyrifoliae Ep16 previously described by a German group in 1999.

과수화상병 저항성 사과대목의 MR5보유 대목별 비교 (Comparison of the Apple Rootstock Cultivar with the MR5 Resistance Traits of Fire Blight Resistance)

  • 권영희;최원일;김희규;김경옥;김주형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48-48
    • /
    • 2020
  • Fire blight, caused by Erwinia amylovora(Burrill), is a destructive disease of apple that damages blossoms, shoots, and woody plant organs. The fire blight disease is a worldwide problem for pome fruit growers because all popular apple cultivars are susceptible to the disease. Recently, fire blight of apple rootstocks has become a serious economic problem in high-density orchard systems in korea. The most commonly used dwarfing root stocks, M.9 and M.26, are highly susceptible to E. amylovora. The objective of the apple rootstock-breeding program has been to develop pomologically excellent rootstocks with resistance to abiotic and biotic stresses, including fire blight. Budagovsky 9 (B.9) apple rootstock is reported to be highly susceptible when inoculated with E. amylovora, although results from multiple trials showed that B.9 is resistant to rootstock blight infection in field plantings. So we tried to collect the apple rootstocks traits of fire blight resistance. The apple genotype Malus Robusta 5 (MR5) represents an ideal donor for fire blight resistance because it was described as resistant to all currently known European strains of the pathogen. The PCR for detecting the MR5 gene using the primers Md_MR5_FL_F/Md_MR5_FL_R.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confirmed some apple rootstocks traits of fire blight resistance showed the MR5. Furthermore, this gene is confirmed to be the resistance determinant of Mr5 as the transformed lines undergo the same gene-for-gene interaction in the host-pathogen relationship MR5-E. amylovora.

  • PDF

항혈청 기반 진단 스트립을 이용한 과수 화상병 현장진단 (On-Site Diagnosis of Fire Blight with Antibody-Based Diagnostic Strips)

  • 허광일;신두산;손수형;오창식;박덕환;이영기;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23권4호
    • /
    • pp.306-313
    • /
    • 2017
  • 최근 한국에서 화상병이 발생하였으며, 그 이후로 이병에 대한 박멸프로그램이 가동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 항혈청기반 진단 스트립의 국내 분리 화상병균 Erwinia amylovora (Ea)에 대한 특이성과 검출민감도 그리고 현장진단에 적용을 평가하였다. 상업화된 Ea AgriStrip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EB strip은 검정에 사용한 모든 한국 Ea 균주들과 가지검은마름병을 일으키는 대부분의 Erwinia pyrifoliae (Ep)에 양성반응을 보여주었다. 사과나무 가지마름병을 일으키는 Pusedomonas syringae pv. syringae (Pss)의 사용한 모든 균주에 음성반응을 보여주었다. 2 스트립 사이에 검출민감도는 유사하였다. 현장진단의 경우, 2가지 스트립은 화상병이 발생한 모든 과수원에서 채취한 화상병징 세균추출액에 대하여 양성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겨울철에 진행된 한 곳의 화상병 현장진단에서는 화상병병징 세균추출액에 음성반응을 보였다. 또한 2가지 스트립은 가지검은마름병이 발생한 과수원에서 채집한 가지검은마름병징 세균추출액에 대해서 양성반응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는 Ea AgriStrip과 EB strip이 화상병 현장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암시한다.

참다래 꽃썩음병 병원세균(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의 스트렙토마이신 저항성 유전자 (Streptomycin Resistant Genes of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the Causal Agent of Bacterial Blossom Blight of Kiwifruit)

  • 박소연;한효심;이영선;고영진;정재성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88-92
    • /
    • 2007
  • 우리나라 참다래 과수원에서 참다래 꽃썩음병을 일으키는 원인 세균인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를 분리하였다. 총 41개 균주 중 스트렙토마이신 저항성을 보이는 2개의 균주를 대상으로 PCR과 염기서열 결정을 통해 저항성 유전자 구조를 조사하였다. PCR결과 스트렙토마이신 저항성유전자는 Tn5359a에 들어 있는 strA-strB 구조인 것으로 밝혀졌다. Xanthomonas campestris와 Erwinia amylovora에서 알려진 IS6100과 IS1133은 발견되지 않았다. strA-strB의 염기서열은 이미 밝혀진 Tn5393a와 동일하였다. 두 스트렙토마이신 저항성 균주는 각각 3개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었으며 저항성 유전자는 그 중 100kb의 플라스미드에 들어 있었다.

미끼식물을 이용한 화상병 감염 기주 매몰지 내 화상병균 제거 효율 검증 및 병 재발 모니터링 (Monitoring the Reoccurrence of Fire Blight and the Eradication Efficiency of Erwinia amylovora in Burial Sites of Infected Host Plants Using Sentinel Plants)

  • 박인웅;송유림;응우옌 트렁 부;오엄지;황인선;함현희;김성환;박덕환;오창식
    • 식물병연구
    • /
    • 제28권4호
    • /
    • pp.221-230
    • /
    • 2022
  • Erwinia amylovora에 의해 발생하는 화상병은 2015년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이후 2021년 기준으로 전국 22개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우리나라는 식물방역법에 따라 화상병이 발생한 사과 및 배 과원은 발생주율을 기준으로 모든 기주식물들을 완전히 제거하여 구덩이에 매몰처리한다. 이후, 3년간 화상병균 전파를 막기 위해 매몰지 위에 기주식물 식재를 금하고 있다. 매몰처리법에 의한 화상병균 박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화상병 감수성 식물을 미끼식물로 이용하여 매몰지에 식재 후 화상병 재발 유무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1년에 매몰처리한 경기도 안성시와 충북 충주시 소재 매몰지 3곳을 선정하여 미끼식물 감시시설을 설치하였다. 화상병 감수성 식물인 사과(부사)를 미끼식물로 선정하고, 각 감시시설당 5주를 식재하였다. 감시시설은 울타리와 그물로 격리하였다. 또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CCTV와 동작감지기, 그리고 현지 기상상황을 기록하는 센서를 설치하였다. 감시시설을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육안으로 화상병 발병 유무를 확인하였다. 미끼식물로부터 화상병 의심 증상을 나타내는 표본을 채취하고 화상병균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과 conventional PCR을 통해 화상병균 감염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현재까지 어떠한 미끼식물에서도 화상병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매몰 후 화상병 기주식물 3년 식재 금지 조항을 완화하는 근거로 본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국내 과수산업과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