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iobotrya japonica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4초

비파 씨로부터 Tyrosinase 저해 활성물질의 분리 (A Tyrosinase Inhibitor Isolated from the Seeds of Eriobotrya japonica)

  • 김태훈;신승렬;김태완;이인철;박문영;조철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35-441
    • /
    • 2009
  • 비파 씨를 MeOH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n-hexane, EtOAc, n-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이중 tyrosinase, DPPH 및 SOD 활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 분획에 대해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6개의 페놀성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 데이터 해석 및 표품과의 HPLC 직접 비교를 통하여 benzaldehyde (1), chlorogenic acid (2), caffeic acid (3), benzoic acid (4), ferulic acid (5) 및 amygdalin (6)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중 benzaldehyde (1)는 125 mg/mL농도에서 tyrosinase저해활성이 70.8%로 나타나 positive control인 kojic acid의 56.3%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분리한 화합물 중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2.5 mg/mL 실험농도에서 chlorogenic acid (2)와 caffeic acid (3)가 각각 43.7, 81.5%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비파 씨의 SOD 활성물질은 chlorogenic acid (2)임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의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tyrosinase 및 라디칼소거능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비파 씨의 식물 화학적 성분에 대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copolamine으로 유도된 기억력 손상 동물모델에서 비파엽 추출물의 학습 및 기억력 개선 효과 (Anti-amnesic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Leaf Extract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Rats)

  • 배동혁;김지혜;나주련;김유진;이준열;김선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99-806
    • /
    • 2014
  • 본 연구는 scopolamine으로 유도한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감퇴 동물모델에서 비파엽 추출물의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어졌다. 6주령의 SD-rat(male)을 총 5개 군으로 분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donepezil(1 mg/kg b.w.)을 처리하였다. 15일간 24시간 간격으로 EJE를 50, 200 mg/kg b.w. 농도로 전처리(경구투여) 하였으며, 16일째에 농도별로 EJE 및 양성대조군으로서 donepezil을 투여하고 scopolamine을 복강투여(1 mg/kg b.w.) 하였다. Water maze test와 passive avoidance test를 통해 scopolamine으로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EJE의 기억력 및 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 scopolamine에 의해 감소된 기억력 및 학습능력이 EJE를 투여함으로써 유의적으로 회복 및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copolamine에 의해 인지능력과 함께 감소된 운동능력의 평가를 위해 수행한 rotarod test 및 vertical pole test에서는 scopolamine의 투여로 감소된 균형감각, 협응력 그리고 grip strength와 같은 운동능력들이 EJE의 투여로 유의적으로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copolamine에 의해 증가한 AchE의 활성과 감소한 Ach의 함량이 EJE의 투여로 각각 개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EJE의 scopolamine으로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인지능력 개선과 감퇴한 운동능력의 향상 및 cholinergic neurotransmission system의 강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성과들로 비파엽 추출물이 퇴행성뇌질환인 AD 치료와 학습 및 기억력 개선에 있어 효과적인 대안으로서 보다 더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비파잎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쥐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Leaves Extract on Obese Mice Induced by High-Fat Diet)

  • 이소미;박문영;김옥경;이정민;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202-1207
    • /
    • 2016
  • 본 연구는 비파잎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쥐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였다. 8주 동안 고지방식이에 100 mg/kg b.w., 500 mg/kg b.w.의 비파잎 추출물을 보충한 그룹과 고지방식이군만을 제공한 그룹을 비교하였다. 비파잎 추출물은 식이섭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체중증가를 줄이고 내장지방의 축적을 억제하였다. 또한, 비파잎 추출물을 급여한 군은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혈중 지질, 간지질의 축적, 혈중 렙틴 농도를 감소시켰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고지방식 이와 함께 급여한 비파잎 추출물은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장 지질 농도를 개선하고 혈장 렙틴농도를 감소시키므로 항비만 효과를 가진 천연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비파(Eriobotrya japonica) 열매 추출물의 산화방지능과 미백 효과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fruit extracts)

  • 윤민규;박기철;조윤섭;김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80-287
    • /
    • 2022
  • 비파 열매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드 함량, 산화방지능을 확인한 결과 전중 열매에서 가장 높은 총페놀 함량과 산화방지능(ABTS법)을 보였다. 진왕 열매는 전중 열매와 비교하여 총페놀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지만, 가장 높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산화방지능(DPPH법)을 보여주었다. 세 품종의 비파 열매추출물은 B16F1 흑색종 세포 내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켰으며, 특히 전중과 진왕 열매 추출물은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하지만 전중 열매 추출물(125 ㎍/mL)을 제외한 모든 처리군에서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저해시키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중품종의 열매 추출물은 천연 산화방지제 및 피부미백 소재로의 활용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db/db 마우스에서 비파의 혈당 저하 효과 (Hypoglycemic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E. japonica) in db/db Mice)

  • 김은;김민숙;류동영;민오진;백흠영;김용재;김현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9-165
    • /
    • 2009
  • E. japonica is a well-known medicinal plant in Japan. The leaves of E. japonica were reported to have a hypoglycemic action. However, seeds of E. japonica are discarded and not used. To elucidate for anti-diabetic effects of E. japonica, Type 2 diabetic mice were allocated to control group, E. japonica leaf, and seed extract group. Animals were fed a 2018S Teklad global 18% protein rodent diet. Animals were received daily oral injections of E. japonica leaf or seed extract at a dose of 200 mg/kg body weight for 6 weeks. Body weight, food intake and water intake, and total adipose tissue weight of anima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feeding of E. japonica leaf extract. All E. japonica extract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fasting blood glucose, glycosylated hemoglobin levels, size of adipocytes and serum adiponectins. However, they did not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serum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in the diabetic anima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 japonica seed and leaf extracts have a antidiabetic effect by controlling of blood glucose and decrease of size of adipocytes in db/db mice and seed extract is more effective in hypoglycemic action than leaf extract.

비파 부위별 추출물이 3T3-L1 세포와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oquat(Eriobotrya japonica Lindl.) Extracts in Different Aerial Components on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and Pig Preadipocytes)

  • 이환;이재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63-873
    • /
    • 2016
  • The curr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seeds, flesh or leaves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and male pig preadipocytes. The cell number was measured with the MTT assay after trypsin digestion. The cell differentiation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 activity and triglyceride(TG) content. No cytotoxicity was observed from the loquat flesh and leaf ethanol extracts at concentrations of 5, 10, 25, 50, 100 or $200{\mu}g/mL$ in 3T3-L1 cells and pig preadipocytes. However, the cell viability of neither cell line were affected by up $50{\mu}g/mL$ of loquat seed ethanol extract. Treatment with the loquat seed and leaf ethanol extracts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terminal differentiation of both cell lines in a dose-dependent manner, as confirmed by the decrease in the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GPDH) activity and TG content. Treatment with the loquat seed and leaf ethanol extracts inhibited the GPDH activity and reduced the TG content of both cell types more effectively than that with the loquat flesh ethanol extract. The most potent anti-adipogenic effect was obtained in the case of the ethanol extract of loquat seeds.

Entomosporium mespili에 의한 비파나무 점무늬병 발생 (Occurrence of Leaf Spot on Eriobotrya japonica Caused by Entomosporium mespili in Korea)

  • 서상태;박미정;신현동;김경희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228-231
    • /
    • 2011
  • 2008년부터 매년 전라남도 고흥군에 위치한 비파나무 묘포장에서 잎에 점무늬 증상이 관찰되었다. 전체 묘목의 50% 이상에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났으며, 결국 잎이 일찍 떨어지고 수세가 약화되는 피해가 나타났다. 병반으로부터 관찰된 균은 Entomosporium mespili로 동정되었다. 이 균은 단포자 분리되어 KACC 44727 균주로 보존되었다. 인공접종 실험을 통하여 병원성을 검정하여 코흐의 원칙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국내에 비파나무 점무늬병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비파의 품종별 항산화 활성 평가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 Fractions of Leaves from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by Cultivars)

  • 신현진;김경희;황혜림;김나영;김성환;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029-103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비파잎의 품종 중에서 대방, 부방, 재래종의 비파잎을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농축한 후 이를 여러 용매로 추출 분획하고 분리한 다음 이 분획들의 품종에 따른 비파잎의 ursolic acid 함량을 분석하고 품종 간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84.93~478.5 mg/g GAE로 부탄올 분획물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80% 에탄올, 물 분획물 순으로 나타났다. 3품종 중에서 총 폴리페놀 화합물이 가장 높은 품종은 재래종 품종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품종 모두 부탄올 분획물이 가장 높았으며, 3품종 중에서 재래종 품종의 $IC_{50}$값이 0.18 mg/mL로 분석되어 각 분획물 및 3품종 중 가장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3품종 모두 에틸아세테이트(54.99~60.86%) 분획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3품종 중 부방 품종의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파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ursolic acid 함량은 3품종 중에서 대방 품종이 51.41 mg/g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부방: 39.85 mg/g, 재래종: 31.13 mg/g). 이상의 연구 결과로 비파잎의 80%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은 부방 품종에서 비교적 높은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지니고 있으며, ursolic acid 함량은 대방 품종에서 높은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유효한 생리활성을 나타낸 품종별 비파잎에 대한 연구는 비파잎의 산업적 이용에 효율적인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항생제(抗生劑) 내성(耐性) 화농균(化膿菌)의 생육(生育)을 억제(抑制)하는 한약재(韓藥材) 탐색(探索)에 관(關)한 硏究(연구) (A Study on Screening of Oriental Medicines Against Antibiotics-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박원영;서운교;정지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00-316
    • /
    • 1998
  • The various oriental herbal medicines, which have usually been used for treatment of reducing fever, purging intense heat and detoxication, were screened to determine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d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against antibiotics-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mong the 23 oriental medicines tested, the water-soluble extract of Coptis japonica showed very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ntibiotics-sensitive and -resistant S. aureus. A little activity was found in the extra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Eriobotrya japonica and Prunus mume against antibiotics-sensitive S. aureus and in that extracts of P. mume, Schizandra chinensis and S. baicalensis against antibiotics-resistant S. aureus. When C japonica was used, the high antibacterial activity was shown against Bacillus subtilis and other extracts showed a little or no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 subtilis and E. coli as a control. 2.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antibiotics-resistant S. aureus were found in the ethanol-soluble extract of C japonica. Other ethanol-soluble extracts of S, baicalensis, S. chinensis and P. mume showed a little activity against both antibiotics-sensitive and antibiotics-resistant S. aureus. 3. Among the medicinal herbs tested,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C. japonica showed very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pathogenic S. aureus and both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subtilis used as a control. 4. When the water-soluble extracts of C. japonica and S. baicalensis,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against antibiotics-sensitive S. aureus were $20mg/m{\ell}\;and\;30mg/m{\ell}$, respectively. The MICs of the ethanol-soluble extracts of C. japonica and P. scabriosaefolia were $7.5mg/m{\ell}\;and\;12mg/m{\ell}$, respectively. 5. For the MICs against antibiotics-resistant S. aureus, the water-soluble extracts of C. japonica and P. mume showed $15mg/m{\ell}\;and\;10mg/m{\ell}$, respectively. The MICs of the ethanol-soluble extracts of C. japonica and P. mume were $13mg/m{\ell}\;and\;20mg/m{\ell}$,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was found in both water- and ethanol-soluble extracts of C. japonica against antibiotics-resistant S. aureus. And the water- and ethanol-soluble extracts of S. baicalensis, S. chinensis and P. mume showed comparatively high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both antibiotics-sensitive and -resistant S. aureus.

  • PDF

비파엽 품질 비교 분석을 위한 Triterpenic Acid의 추출 방법 (Development of an Effective Extraction Method for the Quality Control of Eriobotrae Folium : Determination of Triterpenic Acids)

  • 이경인;박문영;표병식;김선민
    • 생약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2-66
    • /
    • 2010
  • In result of analysis for the content determination of ursolic acid(UA) and oleanolic acid(OA) in extract of Eriobotryae folium using HPLC with UV detector, UA in chloroform extract of Moo-mok variety was showed highest content(2.7843 mg/g). And OA in ethyl acetate extract of Dae-bang variety was showed highest content(0.5898 mg/g). These result suggest that direct extraction using organic solvent(chloroform or ethyl acetate) was useful method for rapid quantitative analysis of UA and OA without preprocessing such as drying or fractio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