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opsetta grigorjewi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물가자미, Eopsetta grigorjew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Shotted Halibut, Eopsetta grigorjewi in the West Sea from Korea)

  • 최동혁;윤병일;이수정;한경호;권대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7-83
    • /
    • 2024
  • 이번 연구는 서해에 서식하는 물가자미의 식성 및 섭이 특성을 밝히기 위해 419마리 중 공위를 제외한 125개체를 분석하였다. 물가자미의 주 먹이생물은 새우류와 어류로 나타났으며, 새우류 중에서는 마루자주새우가, 어류에서는 멸치와 까나리를 가장 많이 섭식하였다. 계절적으로는 서식해역에 풍부한 먹이생물을 주 먹이생물로 섭식하는 기회주의적 섭식자로 나타났으며, 체장이 커질수록 먹이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새우류에서 어류로 주 먹이생물을 변화시켰다.

동중국해에 분포하는 물가자미(Eopsetta grigorjewi)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Shotted Halibut Eopsetta grigorjewi in the East China Sea)

  • 김영혜;김영섭;강현정;감진구;전영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0-36
    • /
    • 2011
  • 물가자미의 표본은 동중국해 및 동해에서 중형 외끌이기선저인망에 의해 2004년 2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어획된 것이다. 총 389개체 표본의 오른쪽 이석을 연령형질로 사용하여 연령과 성장을 추정하였다. 윤문은 12~3월(주형성시기 2월), 연 1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시기는 2~4월(주산란시기 3월)이었다. 전장과 전중과의 상대성장식은 $TW=0.5091{\times}10^{-2}TL^{3,222}$ ($r^2=0.92$)로 나타났고, 암 수간의 상대성장식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추정된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L_t=46.58(1-e^{-0.14(1+1.32)})$로 추정되었다. 암 수간의 연령별 성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물가자미 (Eopsetta grigorjewi)의 정자변태 및 정자 미세구조 (Spermiogenesis and Spermatozoal Ultrastructure of the Roundnose Flounder, Eopsetta grigorjewi (Teleostei: Pleuronectidae))

  • 안철민;이정식;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30-736
    • /
    • 1999
  • 물가자미의 정자변태과정과 정자의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자변태과정동안 염색질은 과립형태에서 구상으로 점차 응축하여 성숙 정자의 두부에서는 치밀하고 균질하게 된다. 물가자미 정자변태과정 동안 나타나는 특징은 세포질에서 골지체의 소실, 미세섬유의 출현, 미토콘드리아 수의 감소, 용해소체의 출현이다. 이 과정에서 미세섬유는 정자의 형태형성에 관여하며, 골지체의 소실과 미토콘드리아수의 감소는 용해소체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정자는 두부와 미부로 구성되며, 무첨체형이다. 두부 후방에서는 cytoplasmic collar가 관찰되었으며, cytoplasmic collar는 7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진다. 미부에서는 잘 발달된 axonemal lateral fin을 관찰할 수 있다. 미부 편모축사의 횡단면은 "9+2"의 미세소관 구조를 나타내며, 세포질내에 많은 수의 공포를 가진다.

  • PDF

먹이에 따른 물가자미 (Eopsetta grigorjewi) 치어의 에너지 수지 (Energy Budget of Snotted Halibut Juvenile, Eopsetta griorjewi with Two Different Prey Items)

  • 이선식;한경남;윤원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58-364
    • /
    • 2003
  • Gross energy intake fecal, nitrogen excretory and metabolized energy of snotted halibut juvenile, Eopsetta grigorjewi, fed on Tigriopus iaponicus (Group A) and the enriched Artemia nauplii (Group B), were quantitatively investigated and represented as balance equations of energy and material. Absorption efficiency (AE), gross conversion efficiency $(K_1)$ and net conversion efnciency $(K_2)$ were also estimat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efficiency by the prey Gross energy intake, fecal, nitrogen excretory, metabolized and growth energy of Group A were $2.790\pm0.247,\;0.495\pm0.046,\;0.018\pm0.003,\;0.214\pm0.047\;cal\;mg^{-1}\;day^{-1}$ and $2.063\;cal\;mg^{-1}\;day^{-1},$ respectively. The same parameters of Group B were $4.801\pm0.165,\;0.579\pm0.031,\;0.055\pm0.010,\;0.306\pm0.048\;cal\;mg^{-1}\;day^{-1}$ and $3.861\;cal\;mg^{-1}\;day^{-1},$ respectively. Energy budget of Group A and B were represented as 100 C= 7.67 M+17.7 F+0.65 U+73.94 G and 100C=6.37 M+ 12.1 F+1.15 U+80.42 G, respectively, where C, M, F, U, and G represent gross energy intake, metabolized energy, fecal energy, nitrogen excretory (non-fecal) energy and growth energy, respectively. AEs of Croup A and B were $81.52\pm1.89,\;86.79\pm0.70\%,$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However, $K_1\;and K_2$ of Group A and B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with $74.21\pm6.57,\;80.48\pm2.76\%\;and\;91.17\pm7.26,\;92.74\pm2.69\%$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 japonicus is a possible substitute for Artemia nauplii for the snotted halibut juvenile.

한국 남해에 서식하는 물가자미, Eopsetta grigorjewi (Herzenstein)의 재생산 연구 (Reproduction of the Shotted halibut in the southern Korean waters)

  • 차형기;강수경;최정화;오택윤;서영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7권3호
    • /
    • pp.194-202
    • /
    • 2011
  •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Shotted halibut, Eopsetta grigorjewi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samples captured in South Korean waters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09. Gonadosomatic index began to increase in December, and reached maximum between January to March. After spawning it began to decrease from May. Reproductive season was estimated to January-April, with peak in February. Fecundity wa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female, with the clutch size varying from 170,000 eggs in the smallest female (total length, 28.9cm) to 1,300,000 eggs in the largest (total length, 41.5cm). Size at 50% sexual maturity (TL50), determined from mature females, was 28.8cm. Annual reproductive cycles of this species could be divided into six successive stages; immature stage (May-October), nucleolus stage (November-January), yolk vesicle stage (January-February), vitellogenic and ripe stage (January-April) and spent stage (April-May).

물가자미, Eopsetta grigorjewi 자어의 에너지 수지에 대한 먹이 영향 연구

  • 이선식;손규희;한경남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07-308
    • /
    • 2001
  • 자치어 시기의 먹이 상태는 중요한 성장요인이며, 새로운 대체먹이를 찾고자 하는 노력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계속되고 있다. 에너지 수지 모델식에서의 어류의 먹이섭이율, 성장률, 동화효율 등을 통하여 효율적인 먹이 개발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Warren and Davis, 1967) 따라서, 본 실험은 자치어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rtemia와 Tigriopus japonicus를 먹이생물로 하여 에너지 수지모델식의 각 요소들을 측정해보고 각각의 생태 효율을 알아봄으로써 대체먹이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략)

  • PDF

한국산 가자미아목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Revision of the Flounders (Pisces :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김익수;윤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9-131
    • /
    • 1994
  • 1989년부터 1993년 12월까지 우리나라의 전 연안에서 채집된 가자미아목 Pleuronectoidei 어류표본에 대하여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하였다. 한국산 가자미아목의 어류를 풀넙치과 Citharidae, 넙치과 Paralichthyidae, 둥글넙치과 Bothidae 및 가자미과 Pleuronectidae의 4과로 구분하고 여기에 26속 34종으로 분류하여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본 조사기간 채집된 가자미아목 어류 20속 26종의 표본은 재기재하였고, 미세분포지를 기록하였으며, 동종이명에 대하여 검토정리하였다. 본 조사에서 넙치과 Paralichthyidae의 왜넙치 Tarphops oligolepis (Bleeker), 둥글넙치과 Bothidae의 긴가자미 Parabothus kiensis (Tanaka)와 가자미과 Pleuronectidae의 뿔가자미 Pleuronectes pallasii Steindachner의 3종은 한국 미기록종이다. 대부분의 넙치과와 둥글넙치과 어류는 서, 남해안에 주로 분포하였고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 물가자미 Eopsetta grigorjewi와 도다리 Pleuronichthys cornutus를 제외한 가자미과 어류는 대부분 동해안에서 출현하였다. 가자미아목 어류의 대부분은 중국과 일본에 서식하는 어류와 공통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한국 고유종은 없었다.

  • PDF

가자미 삼중자망의 망목 선택성 (Mesh Selectivity in Trammel Net for Flat Fish)

  • 김성훈;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2호
    • /
    • pp.91-100
    • /
    • 2002
  • 삼중자망의 망목 선택성 및 적정망목을 추정하기 위하여 강원도 주문진 해역에서 2000년 8월 10~13일, 11월 9~13일 (18회), 부산 수영만에서 2001년 6월 1일~27일(21회), 시험조업을 행하였다. 또한 주문진 해역에서는 60, 75, 90 105, 135, 150, 180mm의 7가지의 삼중자망으로 조업하였고, 수영만에서는 60, 75, 90mm의 삼중자망과 홑자망으로 비교실험을 행하였다. 망목 선택성 곡선의 분석은 전체 어획량의 약 60%를 차지하는 물가자미(Eopsetta grigorjewi) 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Master curve의 다항식이 포함된 Kitahara(1968)방법을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어획미수는 삼중자망이 2,331미였고, 홑자망이 1,433미였으며, 가자미류가 59.8%~60%였다. 2. 최적 l/m값은 삼중자망이 2.56이었으며, 흩자망이 2.47로 삼중자망이 약 0.1 정도 크게 나타났다. 3. 50% 선택구간은 삼중자망이 1.88~3.36(1.48)로 나타났으며, 홑자망은 2.00~3.02(1.02)로 삼중자망이 약 1.5배 정도 넓게 나타났다. 4. 가자미의 최소성숙체장 265mm에 대한 적정망목은 삼중자망이 약 141mm, 홑자망이 약 132mm로 삼중자망이 약 10mm 정도 크게 나타났다. 5. 적정망목을 사용했을 경우 50% 선택 체장범위는 삼중자망이 265mm~474mm, 흩자망이 265mm~398mm로 삼중자망의 체장범위가 76mm 정도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가자미과(가자미목, 어상강) 자어 10종의 분자동정 및 형태기재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larvae for ten species of the family Pleuronectidae (Pleuronectiformes, PISCES) from Korea)

  • 이수정;김진구;유정화;유효재;지환성;임양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5권4호
    • /
    • pp.335-348
    • /
    • 2019
  • We found ten species of larvae belonging to the family Pleuronectidae as a result of analysis on ichthyoplankton collected monthly from the East Sea, Yellow Sea, Korea Strait and East China Sea between February 2016 and May 2018 using bongo net. The ten species of pleuronectid larva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 morphology. Group A had three or four bars on the lateral side of the tail: Glyptocephalus stelleri, G. kitaharae,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and Hippoglossoides dubius. Group B had a row of melanophores along the dorsal and ventral side of tail: Cleisthenes pinetorum, Eopsetta grigorjewi, Dexistes rikuzenius, and Platichthys bicoloratus. Group C had dense melanophores which are covering trunk and tail entirely except caudal peduncle: Platichthys cornutus and Platichthys japonicus. The three groups did not associate with previous molecular phylogenetic studies except for the G. stelleri and G. kitaharae of the group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