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textbooks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과 일본 중학교 가정교과서 '소비생활' 관련 단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구성개념 비교 (Comparing 'Consumer Life' of Korean and Japanese Home Economics Textbooks Through ESD Concept)

  • 유난숙;정효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73-8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현행 중학교 가정교과서 '소비생활과 자원관리' 관련 단원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구성개념(다양성, 상호성, 유한성, 공평성, 연계성, 책임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두 나라 중학교 가정교과서에 ESD 구성개념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대상은 한국과 일본 각 세 개 출판사에서 발간된 가정교과서(총 6개 출판사)의 '소비생활과 자원관리' 분야의 교육내용으로, 한국 교육과정 내용요소 '청소년기의 소비생활', '청소년의 자기 관리', 일본 교육과정 내용요소 '금전의 관리와 구입', '소비자의 권리와 책임'과 관련된 단원이 이에 해당된다. 현행 중학교 가정교과서 '소비생활과 자원관리' 관련 단원에 ESD 구성개념이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분석한 결과, 한국의 경우, 책임성(23.36%)이 제일 많이 반영되었으며, 상호성(22.43%), 연계성(19.63%), 공평성(18.69%), 유한성(10.28%), 다양성(5.61%) 순으로 반영되었다. 반면, 일본의 경우, 연계성(21.74%)과 상호성(21.45%)이 많이 반영되었으며, 공평성(16.23%), 책임성(13.91%), 유한성(13.33%), 다양성(13.33%) 순으로 반영되었다. 한국의 경우 ESD 구성개념별로 반영된 비율이 서로 차이가 많이 난 반면, 일본의 경우 연계성과 상호성 외에 다른 ESD 구성개념이 대체로 골고루 반영되었다. 한국의 교과서에서는 합리적이고 윤리적인 소비생활을 실천하는 면에서 책임성을 많이 강조하였다. 일본의 교과서에서는 소비자단체를 통한 소비자 문제 해결 및 지원,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 및 국제사회의 협력 등을 다룬 점에서 연계성을 많이 강조하였고, 개인과 가족의 소비 행동이 사회, 경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점에서 상호성을 많이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과 일본 가정교과서에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 소비자를 키우기 위한 요소들이 반영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고등학교 환경 교과서에 사용된 환경 용어에 관한 연구

  • 장미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0권2호
    • /
    • pp.121-132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field and composition of environment related terminology used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to find out uniformity and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development for the future establishement and replacement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imultaneous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erms used in middle school textbooks were found out to be 334, while those used in high school were 717. Total terms used were 870(759 kinds) and those recorded in the environmental terminology dictionary were 362 including synonyms. 2. Of those 870, 211 terms(24.25%) which were the same words have been used in interlinked connection with the Middle and High schools. While 136 terms(15.63%) have been used in the only middle, and 524 terms(60.23%) have been used in the only high schools. In middle and high school environmental tort books 211 (24.25%) terms were the same interlinked terms. Of those extracted terms, 136(15.63%) were used in the middle school 'environmental' textbooks and in high school, 524(60.23%) were used in 'environmental science' book. These results shows that there is big gap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contents and we will need mere consideration in selecting the terms and better substance. 3. The same terminologies used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total number of 676. In those terms 257 kinds(76.26%) were used in middle school 'environmental' text books, and 563 kinds(78.52%) in high school 'environmental science' text books. Here are some details : 1) Terms used as same meaning but different in expression in middle school : 83 kinds, 192 terms(11.99%). 2) Differently expressed in the same tort book in kiddie school - 20 kinds(2.64%) in high school - 61 kinds(8.04%) 3) Differently expressed term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 51 kinds(6.72%) 4) Same meaning in 3 expressions or more : 19 kinds 4. Of the examined terms 362(including 43 synonyms) were defined in environmental dictionary which is 41.8% of the total words. In the future specialization in utmost fields will be needed 5. When dividing those examined terms according to the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the most terms were used in nature and pollution fields following environmental preserving, artificial environment and environmenatal counterplan. In middle schools the most used terms were in the field of environment pollution, preservation, counterplan, and santiation. There results reflects the education goals and objectives of middle schools. But for the middle school 'environment' curriculum moret uniform distribution are needed and for the high schools' 'enironmental science' program, the fields in artificial environment, industrization, urbanization, and sanitation should be intensified.

  • PDF

체육과에서의 환경교육 강화 방안 (The Intensification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 조미혜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2권1호
    • /
    • pp.189-204
    • /
    • 1999
  • Recently, the interest in artificial environment made by mankind as well as natural environment has been increased. This interest in the environment began to be reflected in the physical education, which environmental problems affect modern people's living quality as a crucial factor affe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ur life. Furthermore, since we entered the era of mass sports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 has dealt with destruction of natural environment by constructing golf courses, ski slopes, etc., destruction of ecosystem by water sports, mountaineering sports, aero sports, etc., and noise pollution near the sport fac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s to reinforce environmental education in many ways in the physical education concerning environmental problem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7th curriculum for physical education which can be thought to be teaching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described the contents in detail. Also, this paper established the orientation and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 and examined some importa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ed some considerations concerning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 textbook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connecting with the 7th curriculum for physical education, which is to suggest a means to connect physical education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smoothly. The physical education has an attribute that its activities like swimming, climbing mountains, and camping are performed outdoor. The physical activities in the physical education are, of course, performed in the environment, so we had better implemen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cluding such physical activities at the same time with physical education. Also, there should be efforts so that the education through environment, the education about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 in the environment can be implemented along with the physical education.

  • PDF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분석 (Content Analyses of Housing Area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by 2007 Revised Curriculum)

  • 이영심;장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1-148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 주생활 영역의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차기 기술 가정 교과서 개발 및 교사의 교육내용 재구성 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2011년 적용된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교과서 11종 전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주생활 영역은 교과서마다 분량의 차이가 있었으나 각 단원별 용어, 표/그림, 읽기자료 활동자료 등이 풍부하여 실천 문제 중심의 수업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새롭게 추가된 근린환경과 친환경적 주생활 등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앞으로의 교과서 개발에는 중요한 현안인 저출산, 고령화와 녹색생활의 관점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네트워크로 환경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 PDF

중학교 가정과 소비생활 영역의 핵심 교육내용 분석 - 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Core Contents in Comsumer Area from 1st to 2009 Revis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 주수언;박명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50
    • /
    • 2015
  •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 중 소비생활 영역의 교육내용 변천 및 내용특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소비생활 영역의 교육과정 편성 및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가정과 교과서 중 소비생활 영역이며, 분석 방법은 내용분석법과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사용하여 각 시기별 소비생활 영역의 교육내용 변천 및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교육과정 시기에 따른 가정과 교과서 소비생활 영역의 핵심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교육과정 시기에 따른 가정과 교과서 소비생활 영역의 내용특성은 어떻게 변천하였는가? 분석결과 시기별 소비생활 영역의 교육내용 변천과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차시기는 경제생활 중심의 절약과, 2-4차시기는 가사노동 및 자원관리를 교육내용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는 시기적으로 볼 때 우리나라가 1962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시작으로 자원관리를 통한 근검절약을 강조하는 시기와 교육내용을 함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4차시기 교과서에 소비생활 단원이 중단원으로 도입되고 5차시기에 소비생활 영역이 독립단원으로 분리되어 강조되었다. 이는 1987년 소비자보호법이 개정되고, 한국소비자보원이 설립되는 등 정부차원에서 소비자보호에 대한 관심이 성숙단계에 이른 시기이다. 이를 바탕으로 6-7차 시기에는 청소년의 소비생활이 강조되었다. 셋째, 2007개정 교육과정 시기는 2007년 소비자보호법이 소비자기본법으로 전환되고, 소비자 주권을 강조하는 등 소비자교육 패러다임이 전환된 시기로 소비자권리와 함께 책무가 강조되고 있다.

한.일 중학교 가정교과서의 녹색생활교육 내용분석 (Content Analyses of Green Life-Educational Materials in Korean and Japanese Middle School Horne Economics Textbooks)

  • 박미정;조재순;장상옥;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7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가정 교과서에 실린 녹색생활교육 학습자료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l학년과 2학년의 한국 교과서 8권과 일본의 중학교 교과서 2권을 포함하여 총 10권을 분석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가정교과서 분석 결과, 한국 교과서는 모든 영역의 학습자료 유형 중 표/그림/사진 자료가 가장 많고 용어/용어 설명이 많았던 반면, 일본은 구체적인 활동자료가 모든 영역에서 가장 많았다. 학습자료 유형이나 분량은 교과서별 영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과정에 명시된 것은 모든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었다. 자기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과 교과서를 개발할 때에는 구체적인 녹색생활교육 내용을 명시하교 학습자료를 단순 지식보다는 태도와 행동의 변화나 실천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 PDF

초등학교에서 황사에 관한 환경교육 교재의 개발과 적용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ext Book about the Asian Dust in the Elementary School)

  • 천종숙;문윤섭;허양원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2호
    • /
    • pp.51-6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icate the elementary environmental textbook in order to solve its problem and to improve attitude related to the Asian dust. The results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ed that three groups who composed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had recognized the serosities and problems caused by the Asian dust form TV, and that such problems was associated with increase of the desertification and the global warming. Especially the student group insist that the cause in Asian dust is due to the natural phenomena or industrialization. Second, as a result in analysis on the Asian dust through both textbooks o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and subsidiary textbooks, contents concerning Asian dusts was little or noting. In addition, in the subjects of Science, Society and Health for the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y were explained partially as one of the air pollutants. Third, the elementary environmental textbook on the Asian dust was developed for the 5th and 6th grade students. The textbook is composed of four contents on the material which is harmful of the human health and life in Asian dust, the special news of Asian dust, and the best answer to solve Asian dust as well as the cause and the source of Asian dust. Forth, as a result in classes using the environmental textbook developed by four themes about the Asian dust, its application is meaningful in the level of p value in the view of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the experiment group. They was more improved in 37%, 14%, and 15%, respectively,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textbook related to Asian dus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useful tool to understand the right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which makes an effort on its effective manag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 PDF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지질학 탐구활동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Inquiry Activities in Geology of High School Earth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the U.S.)

  • 배현경;정공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626-639
    • /
    • 2008
  •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개선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지질학 영역에 있는 탐구 활동이 탐구내용, 탐구과정, 탐구상황 면에서 평가되었다. 탐구활동의 내용에서, 한국 교과서는 단원 당 5.8개로 미국 교과서의 단원 당 4개보다 더 많은 탐구활동 개수를 포함하고 있었다. 한국 교과서는 대부분 도표나 그래프 등 자료해석에 관련된 탐구활동을 포함하고 있고 미국 교과서는 스스로 조작하는 실험이나 자료변형 그리고 직접설계 할 수 있는 탐구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탐구활동 1개당 사용된 탐구과정 개수는 한국 교과서가 평균 1.8개인 반면 미국 교과서는 3개로 미국 교과서가 한국 교과서보다 더욱 다양한 탐구과정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탐구과정 요소는 추리와 자료해석으로 이 두 요소의 비율은 한국 교과서는 평균 73.3%이고 미국 교과서는 46.2%였다. 즉 한국 교과서는 특정 탐구과정 요소만을 강조하였고, 이런 고르지 못한 탐구과정 요소의 분포는 학생의 통합능력 신장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통합적 탐구과정에서 미국교과서는 7개의 모든 요소가 다 제시되었지만 한국 교과서는 단지 2개 내지 4개의 요소만이 제시되어 한국 교과서가 미국 교과서보다 학생들이 다양한 탐구능력을 함양할 수 있게 하는 탐구활동을 제공하는데 있어 취약점을 갖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탐구상황 분석에서 한국교과서는 다소 단편적 인이고 실생활과 관련이 낮은 탐구 상황이 제공되었고, 미국 교과서는 좀 더 실생활과 관련되어 적용된 탐구 상황의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환경 교과서 환경보전 단원에 대한 학습동기모델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the ARCS Model of Motivation on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 Environment Textbooks)

  • 허만규
    • 환경생물
    • /
    • 제26권4호
    • /
    • pp.343-348
    • /
    • 2008
  • 본 연구는 ARCS의 학습동기모델 전략(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을 중학교 환경교과서의 [환경보존]단원에 적용하기 위하여 다른 수업 방식과 비교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2학년 135명에게 적용하기 위하여 학생들을 수업전략에 따라서 그룹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그룹은 전통주의 방식에 의한 수업을 받는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두 번째는 구성주의 수업방식을 받는 학생, 세 번째는 ARCS전략을 사용한 구성주의 수업방식을 받는 학생들로 이루어졌다. 사전 인지 검사를 통해 적용하기 전의 선인지를 조사하였다. 학습이 이루어진 후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의 인지, 학업성취도, 학습동기 등을 조사하였다. ARCS전략을 사용한 구성주의 수업방식을 받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평균적으로 다른 그룹의 학생들보다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ARCS전략을 사용한 구성주의 수업방식이 다른 두 그 수업방식에 비해 환경보전 단원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학습동기를 유발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우리나라 학교환경교육 현황과 발전과제 - 교사의 요구조사와 6차 교육과정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n Schools : The present and the Task)

  • 최석진;김정호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1권1호
    • /
    • pp.251-274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in environmental education by schools which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6th curriculum and to propose the future agenda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n, we have investigated teachers' consciousnes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nalysed the 6th curriculum and textbooks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Most teachers thought of 'participation' as important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but they actually could not practice it because of various preventing factors. 2. Most teachers thought that there were no efforts to reform textbook system and school conditions. 3. The content and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duplicated and vague in each subject. Th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thes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 systematic goal strategy of environmental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2. We must allot appropriate roles to each environment related subjects for efficient environmental education 3. The opportunity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for teachers of environmental education must be expanded.

  • PDF